동학농민전쟁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647

한자 : 東學農民戰爭
기타 : Donghak Peasant War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동학농민혁명 () [ 東學農民革命 ]

열녀전의 경계와 균열

Boundaries and Cracks in Stories about Faithful Women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녀전의 경계와 균열

Boundaries and Cracks in Stories about Faithful Women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894년 일본 언론의 동학농민전쟁 인식 ― 『時事新報』와 『國民新聞』을 중심으로

The Japanese press’ perception of the Dong’hak Peasantry War in 1894 ― Examination of the Shisa Shinbo(時事新報) and Gukmin Shinmun(國民新聞)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1894년 일본 언론의 동학농민전쟁 인식 ― 『時事新報』와 『國民新聞』을 중심으로

The Japanese press’ perception of the Dong’hak Peasantry War in 1894 ― Examination of the Shisa Shinbo(時事新報) and Gukmin Shinmun(國民新聞)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19세기 조선과 베트남의 토지개혁론에 대한 비교사적 검토 - 토지소유를 둘러싼 제도와 관습의 차이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Land Reform Theories in Korea and Vietnam during the 19th Century – With a Special Focus on the Differences in Landownership Institutions and Customs -

역사학보 | 206 | 2010 | 역사학

19세기 조선과 베트남의 토지개혁론에 대한 비교사적 검토 - 토지소유를 둘러싼 제도와 관습의 차이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Land Reform Theories in Korea and Vietnam during the 19th Century – With a Special Focus on the Differences in Landownership Institutions and Customs -

역사학보 | | 206 | 2010 | 역사학

개화기 서양인들의 동학 인식 -기독교의 영향과 관련하여-

The Westerner' Understanding of the Donghak in the late 19th century

동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

19세기 지배질서의 변화와 정치문화의 변용 -仁政 願望의 향방을 중심으로-

Changes of the Ruling order and the transformation of political culture in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course of the Common people's desire for Benevolent rule-

韓國史學報 | 39 | 2010 | 역사학

19세기 지배질서의 변화와 정치문화의 변용 -仁政 願望의 향방을 중심으로-

Changes of the Ruling order and the transformation of political culture in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course of the Common people's desire for Benevolent rule-

韓國史學報 | | 39 | 2010 | 역사학

어느 서양인의 눈에 비친 소래마을의 동학농민전쟁

The Dong Hak Peasant War in Solrea village as seen by a Westerner

동학연구 | 28 | 2010 | 기타인문학

어느 서양인의 눈에 비친 소래마을의 동학농민전쟁

The Dong Hak Peasant War in Solrea village as seen by a Westerner

동학연구 | | 28 | 2010 | 기타인문학

동학농민전쟁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 전남 장흥 지역의 사례를 단서로

New Possibilities in the Study of the Tonghak Peasant Revolution : with a special focus on the Changhŭng area

동학학보 | 19 | 2010 | 역사학

동학농민전쟁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 전남 장흥 지역의 사례를 단서로

New Possibilities in the Study of the Tonghak Peasant Revolution : with a special focus on the Changhŭng area

동학학보 | | 19 | 2010 | 역사학

1920-30년대 새로운 ‘동학농민전쟁상’의 형성

Formation of a New Perception of the Tonghak Peasant War during the 1920s-30s

사림 | 36 | 2010 | 역사학

1920-30년대 새로운 ‘동학농민전쟁상’의 형성

Formation of a New Perception of the Tonghak Peasant War during the 1920s-30s

사림 | | 36 | 2010 | 역사학

동학의 儒彿仙 삼교합일이 의미하는 사회적 성격

The social nature of meaning to unify thought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Immortal Taoism of Donghak

孔子學 | 20 | 2011 | 기타유교학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역사교과서 서술 내용의 새로운 모색 -동아시아적 시각과 ‘나눔과 배려’의 정신을 중심으로-

New examination on descriptions on Donghak peasant war in history textbooks -Focuses on East-Asian views and the spirit of ‘Sharing and caring’ -

역사와 담론 | 62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