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류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기질/품질/형질/성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6956

STNet ID : 1001702

한자 : 風流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3-02 국경일/기념일명 국경일/기념일명

팔관회 [ 八關會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성산별곡 () [ 星山別曲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유산기 [ 遊山記 ]

RT (관련어)

 

 

풍류방 [ 風流房 ]

관서․관북 지역의 시가 향유 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of Enjoyment of Siga at Kwanseo and Kwanbuk Area in Chosun Dynasty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한국적 미의식의 다양성과 유형별 분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iversity of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he Classification Through its Types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詩社 硏究의 回顧와 展望

A Review and prospect on the Studies of Sisa[詩社]

漢文學報 | 25 | 2011 | 한문학

향가에 나타난 밤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Night Expressed in Hyangga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

朝鮮時代 南漢江 實景山水畵 硏究

The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of the Namhanggang River in the Joseon Period

온지논총 | 26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時代 南漢江 實景山水畵 硏究

The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of the Namhanggang River in the Joseon Period

온지논총 | | 26 | 2010 | 기타인문학

‘東’의 誕生 - 水雲 崔濟愚의 ‘東學’과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

The Birth of East - Focus on Suun Choi Jewoo’s Donghak and Bombu Kim Jeongsol’s Dongbanghak -

양명학 | 26 | 2010 | 철학

‘東’의 誕生 - 水雲 崔濟愚의 ‘東學’과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

The Birth of East - Focus on Suun Choi Jewoo’s Donghak and Bombu Kim Jeongsol’s Dongbanghak -

양명학 | | 26 | 2010 | 철학

‘선연동(嬋娟洞)’ 시 연구 -기생의 무덤을 소재로 한 시가 중심으로-

Study on a Chinese Poetry Based upon Sunyeondong, the Graveyard for Gisaengs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연동(嬋娟洞)’ 시 연구 -기생의 무덤을 소재로 한 시가 중심으로-

Study on a Chinese Poetry Based upon Sunyeondong, the Graveyard for Gisaengs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唐代 自然詩와 敦煌歌辭에 나타난 ‘배(舟)’ 이미지 考

A study on ‘Ship(舟)’ Image of the poems and Dun Huang Songs in Tang's Dynasty

석당논총 | 47 | 2010 | 기타인문학

唐代 自然詩와 敦煌歌辭에 나타난 ‘배(舟)’ 이미지 考

A study on ‘Ship(舟)’ Image of the poems and Dun Huang Songs in Tang's Dynasty

석당논총 | | 47 | 2010 | 기타인문학

문방사우의 교육문화적 의의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significances of the four precious things of the study(文房四友)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방사우의 교육문화적 의의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significances of the four precious things of the study(文房四友)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시와 산문에 나타난 김범부의 영향

A Study on the Korean Thinker Kim Bumbu's Influence on the Essays and Poetry of the Korean Poet Seo Jungju

국제언어문학 | 23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여항 가객 작품에 나타난 경제 상황과 문화적 지향 - 김천택과 김수장의 경우를 중심으로

Economic Situation and Cultural Direction through the Works of Lyeohang Gagaek - Focusing on the case of Kim Cheontaek and Kim Sujang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최치원 ‘國有玄妙之道’설의 재해석* -‘한국 고대 신선사상의 지속과 변용’의 시각에서-

再論崔致遠‘國有玄妙之道’說 -從韓國古代神仙思想的繼續和變遷的角度來看

도교문화연구 | 34 | 2011 | 종교학

한국의 다(茶) 문화 고찰

A Study on Tea Cultural of Korea

일본어문학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한국의 다(茶) 문화 고찰

A Study on Tea Cultural of Korea

일본어문학 |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애정시조에 활용된 ‘술’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Liquor Used in Sijo Related with Love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애정시조에 활용된 ‘술’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Liquor Used in Sijo Related with Love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취락(醉樂)시조의 제양상

Acts on the Drinking Sijo

한민족문화연구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취락(醉樂)시조의 제양상

Acts on the Drinking Sijo

한민족문화연구 |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혜원 신윤복 풍속화의 성 풍류적 특징 연구 -에로티시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x poetical expressed through the genre painting of Shin yun-bok -Focusing eroticism-

동양예술 | 19 | 2012 | 기타미술

김지하 미학의 전통과 반(反)전통 - ‘그늘 미학’을 중심으로 -

Kim ji-ha's tradition and opposition of aesthetics -In center ‘Shady aesthetics’-.

동남어문논집 | 1 | 31 | 2011 | 기타국어학

고운 최치원의 학문정신: 현묘지도(玄妙之道)설에 담긴 혼종과 관용의 사상을 중심으로

孤雲崔致遠的學問精神: 從玄妙之道說看混融和寬容的思想

철학연구 | 93 | 2011 | 철학

이정구의 가곡과 풍류에 대한 인식 고찰

A Study on the Cognition of Kagok and Refinement of Lee Jeonggu(李廷龜)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樓亭문화의 미의식에 관한 고찰

Beauty of 'Scenic Pavilion' as a Space for 'Elegant Life'

동양예술 | 17 | 2011 | 기타미술

한국선도의 기원과 근거 문제

韓國仙道之起源與根據問題

도교문화연구 | 34 | 2011 | 종교학

정악에 나타난 삶의 의미

A classical music of Korea, jeong-ak and a meaning of our life

국악교육 | 30 | 30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정악에 나타난 삶의 의미

A classical music of Korea, jeong-ak and a meaning of our life

국악교육 | 30 | 30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西臺 金冲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A Study on the spiritual sphere in Seodae Kimchoong's poetry

온지논총 | 32 | 2012 | 기타인문학

최치원과 도교의 관계문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고유선도와 중국도교의 관계를 중심으로-

对于崔致遠與道敎關係問題之批判的檢討 -以固有仙道⋅中國道敎之關係爲中心-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조선후기 풍류의 선가仙家적 지향에 대한 연구― 청가묘무, 풍악, 풍월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n Orientation toward Seonga(仙家) in Pungryu(風流)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 With a Focus on Cheonggamyomu, Pungak, and Pungwol -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