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당

연구분야 : B0200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75

STNet ID : 1000034

한자 : 國民黨

y06-01 조직/단체명

설립자

안재홍 (安在鴻)

소재지1

대한민국 (大韓民國)

구분

정당 (政黨)

설립일자_t

1945.09.01

해산일자_t

1947.07.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정당 [ 政黨 ]

南京國民政府時期 在美中國留學生의 實態와 影響

The Actual Condition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America during the Nanjing Nationalist Government and the Effects

중국사연구 | 79 | 2012 | 동양사

해방 후 平洲 李昇馥의 신국가 건설운동

Lee Seung-bok’s Post Liberation Nation-building Movement

숭실사학 | 24 | 2010 | 기타역사일반

정당리더십과 권위주의 계승정당의 진화 : 대만의 국민당 사례

Party Leadership and the Evolution of Authoritarian-Successor Party : the KMT Case under Lee Teng-hui Party Leadership

한국정치학회보 | 44 | 4 | 2010 | 정치외교학

정당리더십과 권위주의 계승정당의 진화 : 대만의 국민당 사례

Party Leadership and the Evolution of Authoritarian-Successor Party : the KMT Case under Lee Teng-hui Party Leadership

한국정치학회보 | 44 | 4 | 2010 | 정치외교학

臺灣民进黨以意识形态立黨的原因和过程分析-Ⅰ

A Study on the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in Taiwan-Ⅰ

중국학논총 | 30 | 2010 | 중국문화학

臺灣民进黨以意识形态立黨的原因和过程分析-Ⅰ

A Study on the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in Taiwan-Ⅰ

중국학논총 | | 30 | 2010 | 중국문화학

2012년 대만 대선과 마잉주정부의 대내외정책 전망

2012 Presidential Election in Taiwan and the Policy Direction of Ma Ying-jeou's New Government

국방연구 | 55 | 1 | 2012 | 정책학

1945년-1950년 중ㆍ미관계와 “중국 상실론” 비판

Sino-U.S. Relations during 1945 to 1950 and analysis on “Lost China”

동양사학연구 | 111 | 2010 | 역사학

1945년-1950년 중ㆍ미관계와 “중국 상실론” 비판

Sino-U.S. Relations during 1945 to 1950 and analysis on “Lost China”

동양사학연구 | | 111 | 2010 | 역사학

냉전체제 형성기(1945~1948) 中華民國의 한국인식 - 국민당 언론의 한국 기사를 중심으로 -

China’s Understanding toward Korea in the Formative Period (1945~1948) of the Cold War System : Focusing on Korea-related Reports of Chinese Nationalist Party Mass Media

동북아역사논총 | 29 | 2010 | 역사학

1920년대 재북경 대구․경북인의 국민당 활동

The National Party Activities of Daegu and Gyeongbuk Persons of Beijing in 1920s.

대구사학 | 100 | 2010 | 역사학

1920년대 재북경 대구․경북인의 국민당 활동

The National Party Activities of Daegu and Gyeongbuk Persons of Beijing in 1920s.

대구사학 | 100 | | 2010 | 역사학

마잉저우 등장후 양안관계의 변화와 문제점

Study for Change and Issues of Ma Ying-jiu's Cross-Strait Relations Policy

정치·정보연구 | 13 | 2 | 2010 | 정치외교학

마잉저우 등장후 양안관계의 변화와 문제점

Study for Change and Issues of Ma Ying-jiu's Cross-Strait Relations Policy

정치·정보연구 | 13 | 2 | 2010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