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정책

연구분야 : B090103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사회복지학일반 > 사회복지정책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8266

한자 : 家族政策
영어 : family policy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회 정책 [ 社會政策 ]

지역별 기혼여성의 일-가족 양립갈등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of Married Women by Region

사회과학연구 | 21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지역별 기혼여성의 일-가족 양립갈등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of Married Women by Region

사회과학연구 | 21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秦漢代 주택의 구조와 가족생활

秦漢時期民間房屋的結構與家庭生活

동양사학연구 | 112 | 2010 | 역사학

秦漢代 주택의 구조와 가족생활

秦漢時期民間房屋的結構與家庭生活

동양사학연구 | | 112 | 2010 | 역사학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

Factors associated with Lowest Low Fertility and Strategies for the Policy of Family-friendly Environments for Fertility Increase in Busan Metropolitan City

한국인구학 | 33 | 2 | 2010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

Factors associated with Lowest Low Fertility and Strategies for the Policy of Family-friendly Environments for Fertility Increase in Busan Metropolitan City

한국인구학 | 33 | 2 | 2010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가족정책, 복지국가의 새로운 역할 : 보편성과 다양성에 대한 요구

Family Policy and Emerging Role of Welfare State in Post-industiral Society

한국가족복지학 | 33 | 2011 | 사회복지학

자녀유무별 여성임금격차(Family gap) : 소득분위에 따른 비교연구

Family Gaps Across the Wages Distribution in Korea

사회복지연구 | 43 | 2 | 2012 | 사회복지학

중앙행정기구 조직개편의 정치: 보육·가족정책 담당기구를 중심으로

Politics of Governmental Reorganizations: Focusing on Childcare & Family Policy Agencies

한국정치연구 | 19 | 2 | 2010 | 한국정치사회

중앙행정기구 조직개편의 정치: 보육·가족정책 담당기구를 중심으로

Politics of Governmental Reorganizations: Focusing on Childcare & Family Policy Agencies

한국정치연구 | 19 | 2 | 2010 | 한국정치사회

복지국가의‘자녀유무별 여성임금격차(Family gap)'비교연구 : 가족정책과 노동시장구조의 영향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family gap in Welfare States :The Role of family policy and labor market structure

사회복지연구 | 41 | 2 | 2010 | 사회복지학

복지국가의‘자녀유무별 여성임금격차(Family gap)'비교연구 : 가족정책과 노동시장구조의 영향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family gap in Welfare States :The Role of family policy and labor market structure

사회복지연구 | 41 | 2 | 2010 | 사회복지학

현재 자녀수를 결정하는 변인분석:자녀양육 관련 변인, 자녀가치 관련 속담, 가족정책 표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Low Fertility in Korea: Focus on the Parenting of Child Care, Proverb Related to Value of Child, Motto of Korean Family Policy

아동과 권리 | 14 | 2 | 2010 | 교육학

현재 자녀수를 결정하는 변인분석:자녀양육 관련 변인, 자녀가치 관련 속담, 가족정책 표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Low Fertility in Korea: Focus on the Parenting of Child Care, Proverb Related to Value of Child, Motto of Korean Family Policy

아동과 권리 | 14 | 2 | 2010 | 교육학

‘자유선택’ 정책설계내 계층과 젠더 문제 -한국 보육정책의 형성과 재편을 중심으로-

Stratification and Gender in ‘Free Choice’

한국가족복지학 | 30 | 2010 | 사회복지학

‘자유선택’ 정책설계내 계층과 젠더 문제 -한국 보육정책의 형성과 재편을 중심으로-

Stratification and Gender in ‘Free Choice’

한국가족복지학 | | 30 | 2010 | 사회복지학

보수주의 복지국가들의 가족정책적 경로의존성에 대한 연구 - 독일과 스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th Dependancy of Family Policies in Conservative Welfare States - focused on Germany and Switzerland

한독사회과학논총 | 21 | 2 | 2011 | 지역학

다문화가족정책을 통한 사회통합수준 분석 - Castles and Miller의 모형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Level of Social Integration of 3 Countries through Multi-Cultural Family Policies : Focused on Castles and Miller Model

인문연구 | 62 | 2011 | 기타인문학

복지국가의 가족정책이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분석

The role of family policy in explaining gender role attitudes: a comparative multi-level analysis of welfare states

사회보장연구 | 28 | 2 | 2012 | 사회복지학

(탈)상품화와 (탈)가족화를 중심으로 본 가족정책의 변화와 한계: 프랑스와 독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Family Policies focused on (de)commodification and (de)familization: the case of France and Germany

한국가족복지학 | 33 | 2011 | 사회복지학

메르켈 정부 수립 이후의 복지정책 변화와 방향 - 가족복지정책을 중심으로

"Eine Studie ueber die Familienpolitik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

한독사회과학논총 | 21 | 2 | 2011 | 지역학

Bienestar, familia y problemas de cuidado en América Latina

라틴아메리카에서의 복지, 가족 및 돌봄의 문제

라틴아메리카연구 | 23 | 4 | 2010 | 지역학

Bienestar, familia y problemas de cuidado en América Latina

라틴아메리카에서의 복지, 가족 및 돌봄의 문제

라틴아메리카연구 | 23 | 4 | 2010 | 지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