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8497

한자 : 社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사단 법인 [ 社團 法人 ]

高峰 奇大升의 人間學 考察

An Study on the Gi Gobong's the view of Human being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모종삼의 칸트비판은 정당한가?

Is Mou Zongsan’s criticism of Kant right?

가톨릭철학 | 14 | 2010 | 철학

모종삼의 칸트비판은 정당한가?

Is Mou Zongsan’s criticism of Kant right?

가톨릭철학 | | 14 | 2010 | 철학

마음의 理氣와 자연의 理氣 정약용의 四端七情論爭 평가에 대한 재평가

Li-gi of Mind-heart and Li-gi of Nature: A Revaluation on Jeong Yak-yong's Evaluation on Four-Seven Debate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마음의 理氣와 자연의 理氣 정약용의 四端七情論爭 평가에 대한 재평가

Li-gi of Mind-heart and Li-gi of Nature: A Revaluation on Jeong Yak-yong's Evaluation on Four-Seven Debate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정정제두와 정약용 『맹자』 주석의 인간학적 이해

The Understanding of the Jeong Jae-du and Jeong Yak-yong's Interpretation on the Works of Mencius Basing on the Humanics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맹자의 직관 윤리학의 진화론적 이해

Evolutionary Understanding on the Confucian Intuitive Ethics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맹자의 직관 윤리학의 진화론적 이해

Evolutionary Understanding on the Confucian Intuitive Ethics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맹자의 도덕 감정론에서 부끄러움의 의미

Meaning of Shame in Mengzi's Moral Theory

철학논총 | 66 | 4 | 2011 | 철학

퇴계의 심성론을 통한 한국적 여성주체 형성 이론의 가능성

Theoretical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Korean Feminist Subjects through Toegey's mind theory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20 | 2012 | 유교학

高峯의 性理學과 修養論

Kobong(高峯)'s Philophy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修養)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실천이성비판』의 자기 사랑의 단절 의미로 읽어본 『맹자』의 사단(四端)

Eine Verstaendnis fuer die Si Dan(四端) in dem Mengtzu unter dem Gesichtspunkt der Bedeutung des Abbruchs der Selbstliebe in der Kriktik der praktischen Vernunft

철학연구 | 116 | 2010 | 철학

『실천이성비판』의 자기 사랑의 단절 의미로 읽어본 『맹자』의 사단(四端)

Eine Verstaendnis fuer die Si Dan(四端) in dem Mengtzu unter dem Gesichtspunkt der Bedeutung des Abbruchs der Selbstliebe in der Kriktik der praktischen Vernunft

철학연구 | 116 | | 2010 | 철학

退溪 四七論에서 四端의 純善함에 대하여

A Study on Pure good of Four Beginning in Toegye’s Four Seven Debate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주자의 ‘횡설’과 ‘수설’: 프레임으로 보는 주자의 성향과 감정 이론

Semiological Analysis of Zhu Xi's Moral Psychology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있음으로부터 되어감으로* - 조선유학의 도덕감정론 -

From Being to Becoming: Moral Emotions in Korean Neo-Confucianism

유교사상문화연구 | 43 | 2011 | 유교학

法政策學的 觀點에서 본 民法上 法人關聯規定 改正案

Reform-Entwurf auf das Recht der juristischen Person im KBGB in Hinblick auf Rechtspolitik

법과정책연구 | 12 | 2 | 2012 | 법학

맹자에서 감정의 문제

The Problem of Emotion of Mencius

철학논집 | 20 | 2010 | 철학

맹자에서 감정의 문제

The Problem of Emotion of Mencius

철학논집 | 20 | | 2010 | 철학

민법상 法人編 改正의 주요 쟁점에 관한 考察

Eine Betrachtung über den wichtigen Inhalt der KBGB- Reform auf dem Gebiet des Rechts von juristischer Person

법학논고 | 34 | 2010 | 법학

민법상 法人編 改正의 주요 쟁점에 관한 考察

Eine Betrachtung über den wichtigen Inhalt der KBGB- Reform auf dem Gebiet des Rechts von juristischer Person

법학논고 | | 34 | 2010 | 법학

퇴계 이황의 사단칠정론-리발설(호발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

T'oegye Yi Hwang's Theory on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 New Interpretation on "Issuance of Li and Qi"

퇴계학논집 | 9 | 2011 | 철학

高峰은 退溪의 四端七情說에 동의하였는가 - 주자어류의 四端是理之發 七情是氣之發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Did Gobong Agree with Toegye's Doctrine of Four Bases and Seven Feelings - Focused upon Four Foundation as the Arousing of Principle and Seven Feelings as the Arousing of Vital Force in Zhuziyulei -

유교사상문화연구 | 42 | 2010 | 유교학

高峰은 退溪의 四端七情說에 동의하였는가 - 주자어류의 四端是理之發 七情是氣之發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Did Gobong Agree with Toegye's Doctrine of Four Bases and Seven Feelings - Focused upon Four Foundation as the Arousing of Principle and Seven Feelings as the Arousing of Vital Force in Zhuziyulei -

유교사상문화연구 | | 42 | 2010 | 유교학

맹자 四端說에 대한 조선 유학자들의 해석 ―퇴계, 율곡과 다산을 중심으로

朝鲜儒者对孟子“四端说”的解释-以退溪、栗谷与茶山为中心

한국민족문화 | 37 | 2010 | 기타인문학

맹자 四端說에 대한 조선 유학자들의 해석 ―퇴계, 율곡과 다산을 중심으로

朝鲜儒者对孟子“四端说”的解释-以退溪、栗谷与茶山为中心

한국민족문화 | | 37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