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공 이념

연구분야 : B020104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정치교육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9411

한자 : 反共理念
영어 : anticommunism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반공 이데올로기 [ 反共--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념 [ 理念 ]

isKindOf (상위 유형)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데올로기 () [Ideologie]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수지김 사건 () [ --金事件 ]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반공산주의 () [ 反共産主義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반공 [ 反共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반공 이념 교육 [ 反共理念敎育 ]

한국전쟁기 여성문인들의 반공서사 연구 -모윤숙과 최정희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Women Writers’ Anti-Communism Narrative during the Korean War -with Mo Yun Suk and Choi Jong Hee as the central figures-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기 여성문인들의 반공서사 연구 -모윤숙과 최정희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Women Writers’ Anti-Communism Narrative during the Korean War -with Mo Yun Suk and Choi Jong Hee as the central figures-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말봉의 장편소설 연구 ― 1945-1953년까지 발표된 소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im Mal-Bong's Novels

한국사상과 문화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