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전이

연구분야 : B1206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심리학

클래스 : 기능/역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9546

STNet ID : 1001763

한자 : 學習轉移
영어 : learning transfer

b01-06 기능/역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2 심리 심리

전이 [ 轉移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c01-06 환경 환경

전이 풍토 () [ 轉移風土 ]

RT (관련어)

 

x03-05-02 결과 결과

학습 성과 [ 學習成果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후행학습

학습 상황요인, 학습 참여동기 및 이러닝 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Relationships of Learning Situation,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learning Effectiveness

HRD연구 | 13 | 2 | 2011 | 평생교육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전이에 대한 이러닝효능감, 지속학습문화, 전이동기의 관계 분석

Effects of E-Learning Efficacy, Continuous-Learning Culture, and Motivation to Transfer on Learning Transfer in Corporate E-Learning Contexts

기업교육과인재연구 | 14 | 1 | 2012 | 교육학

호텔기업 e-Learning의 품질 특성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in Hotel Business on Learning Transfer

관광연구 | 27 | 1 | 2012 | 관광학일반

실천공동체의 사회적 네트워크, 지식공유, 학습전이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mong Social Networks, Knowledge Sharing and Learning Transfer in Community of Practices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 5 | 3 | 2010 | 교육학

실천공동체의 사회적 네트워크, 지식공유, 학습전이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mong Social Networks, Knowledge Sharing and Learning Transfer in Community of Practices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 5 | 3 | 2010 | 교육학

이러닝교육의 학습전이 영향변수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경찰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Learning Transfer in e-Learning Education: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Police Offices Perceptions in Korea

한국행정학보 | 45 | 2 | 2011 | 행정학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 학습활동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of Worker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산업교육연구 | 23 | 2011 | 직업교육

병원과 기업의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적용 효과의 차이 연구

The Effects of Leadership Training Program for the Hospital and Firm

인적자원관리연구 | 19 | 1 | 2012 | 경영학

기업 코칭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근전이와 원전이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Near and Far Transfer of the Participants in Corporate Coaching Training Programs

HRD연구 | 12 | 1 | 2010 | 평생교육

기업 e-러닝의 학습전이 사례연구: 국내 보험사의 직무교육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Learning Transfer in Coporate e-Learning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16 | 1 | 2010 | 교육학

기업 e-러닝의 학습전이 사례연구: 국내 보험사의 직무교육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Learning Transfer in Coporate e-Learning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16 | 1 | 2010 | 교육학

기업 e-러닝 환경에서 성취도와 전이 간에 미치는 직업적 자기효능감과 교육훈련환경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Occupational Self-Efficacy and Training Environment between Learning Achievement-Transfer in Corporate e-Learning Environment

기업교육과인재연구 | 13 | 1 | 2011 | 교육학

구조적, 환경적 품질경영활동이 조직학습활동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KOSPI 상장 제조업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Structured and Contextual TQM practices on Organizational Learning Activ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직업능력개발연구 | 14 | 1 | 2011 | 교육학

기업 e-러닝 학습전이 모형 검증 연구

A Study to Verify the Learning Transfer Model in Corporate e-Learning

교육공학연구 | 26 | 1 | 2010 | 교육학

기업 e-러닝 학습전이 모형 검증 연구

A Study to Verify the Learning Transfer Model in Corporate e-Learning

교육공학연구 | 26 | 1 | 2010 | 교육학

Reframing learning transfer across composition and content classes

응용언어학 | 26 | 1 | 2010 | 언어학

Reframing learning transfer across composition and content classes

응용언어학 | 26 | 1 | 2010 | 언어학

기업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근전이와 원전이의 영향요인 : 한국의 P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Co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산업교육연구 | 21 | 2010 | 직업교육

기업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근전이와 원전이의 영향요인 : 한국의 P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Co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산업교육연구 | | 21 | 2010 | 직업교육

Interventions to Facilitate Transfer of Learning: Based on Stakeholders' Roles and Time Frames

학습전이 촉진 전략: 교육훈련 관련자의 역할과 교육훈련 단계를 중심으로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 14 | 1 | 2011 | 교육학

학습전이 측정에 대한 국내 연구 분석: 1996년~2011년에 발표된 조직맥락 실증연구를 대상으로

A review of transfer measurement in the training studies in Korea during 1996-2011

기업교육과인재연구 | 14 | 1 | 2012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