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 형성

연구분야 : B210300 사회과학 > 심리과학 > 동기/정서심리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0225

한자 : 正體性形成
영어 : Identity Formation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정체감 형성 [ 正體感形成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2 심리 심리

자아 개념 [ 自我槪念 ]

hasIssue (이슈/주제)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사회적 맥락 () [ 社會的脈絡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감정 통제론 [ 感情 統制論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상호성 [ 相互性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청소년 교육 () [ 靑少年敎育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완화(감소/축소/쇠퇴)

정체성 회복 [ 正體性回復 ]

설교를 통한 신앙 공동체의 집단기억 형성에 관한 연구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by preaching in the Christian community

신학과 실천 | 24 | 2010 | 기독교신학

설교를 통한 신앙 공동체의 집단기억 형성에 관한 연구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by preaching in the Christian community

신학과 실천 | | 24 | 2010 | 기독교신학

탈북대학생들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변화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national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that have defected from North Korea

북한연구학회보 | 14 | 2 | 2010 | 정치외교학

탈북대학생들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변화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national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that have defected from North Korea

북한연구학회보 | 14 | 2 | 2010 | 정치외교학

청소년의 삶과 성장의 서사, 그리고 서사적 정체성

The adolescent’s life and the growth narrative, and narrative identity

독서연구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청소년의 삶과 성장의 서사, 그리고 서사적 정체성

The adolescent’s life and the growth narrative, and narrative identity

독서연구 |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미술교육을 위한 사회학과 인류학 방법의 일고찰

Sociological and Anthropological Approaches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Korea

미술과 교육 | 11 | 1 | 2010 | 미술이론

다문화 미술교육을 위한 사회학과 인류학 방법의 일고찰

Sociological and Anthropological Approaches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Korea

미술과 교육 | 11 | 1 | 2010 | 미술이론

역사탐구체험으로서의 영국의지역사교육

Teaching local history as a way of historical inquiry : a case study on teaching local history in England

역사교육연구 | 14 | 2011 | 역사교육

내 성공의 비밀: 여성과학기술인들의 Deflection 경험과 정체성 구성의 탈정치화 전략

My Secret to be Successful: Deflection of Woman Scientists and Their Depoliticized Identity Construction Strategies

사회와 이론 | 19 | 2011 | 기타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