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

연구분야 : A090700 인문학 > 언어학 > 화용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0573

STNet ID : 1001788

한자 : 標準語
영어 : standard language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표준사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공용어 () [ 公用語 ]

S:동의

UF (비우선어)

 

 

표준말 [ 標準-- ]

UF (비우선어)

 

 

대중말 [ 大衆--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언어변이형 () [ 言語變異形 ]

R1:개념적

basesOn (근거/토대)

 

 

서울말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표준어 교육 [ 標準語敎育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어 문법 () [ 文語文法 ]

RT (관련어)

 

e02-04 표준/규격 표준/규격
e02-04 표준/규격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표준발음법 [ 標準發音法 ]

RT (관련어)

 

e03-02 각국어 각국어

국어 (국가어) [ 國語 ]

백석 시의 시어에 나타난 모음 첨가현상과 시적 효과

Vowel addition phenomenon in poetic words of Baek-Seok's poetry and poetic effect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시어에 나타난 모음 첨가현상과 시적 효과

Vowel addition phenomenon in poetic words of Baek-Seok's poetry and poetic effect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문법 형성기에 반영된 서구 중심적 관점

The Western-centric View Reflected on Korean Grammar Formative Period

한글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문법 형성기에 반영된 서구 중심적 관점

The Western-centric View Reflected on Korean Grammar Formative Period

한글 |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문법 형성기에 반영된 서구 중심적 관점

The Western-centric View Reflected on Korean Grammar Formative Period

한글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문법 형성기에 반영된 서구 중심적 관점

The Western-centric View Reflected on Korean Grammar Formative Period

한글 |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충청도 방언과 충청도 문학 —정지용의 「향수」에 쓰인 충청도 방언을 중심으로—

The Chungcheong-do Dialect and The Chungcheong-do Literature - centering around the 「향수」 of Jeong, Jiyong's poem -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결혼이민자를 위한 방언 한국어 교재의 필요성 고찰

On the Korean dialect teaching materials for the marriage immigrants in order to adapt the Korean life

우리말글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결혼이민자를 위한 방언 한국어 교재의 필요성 고찰

On the Korean dialect teaching materials for the marriage immigrants in order to adapt the Korean life

우리말글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강점기의 방언 의식과 작품 속의 북부 방언

The Consciousness to Dialect and Northern Dialects of Korean Appearing in Literary Works in the Period of Imperial Japanese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방언 (한국어) 교육 방향 -결혼여성이민자 대상 문법 교육을 중심으로

The direction of dialect education

서강인문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

백석 시의 로컬리티

The Locality of Baek Seok's Poetry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 강점기의 방언 의식과 작품 속의 북부 방언

The Consciousness to Dialect and Northern Dialects of Korean Appearing in Literary Works in the Period of Imperial Japanese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문세영 조선어사전의 편찬 과정과 국어사전사적 의미

The Study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Moon Seyoung's The Korean dictionary

동방학지 | 154 | 2011 | 기타인문학

방언 (한국어) 교육 방향 -결혼여성이민자 대상 문법 교육을 중심으로

The direction of dialect education

서강인문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

백석 시의 로컬리티

The Locality of Baek Seok's Poetry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대중가요의 외래어 사용양상과 국어교육적 개선방안

A study on the Aspect of loanword and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in popular song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方言’의 개념사

The Conceptual History of 'Dialect' in Korean

방언학 | 13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중가요의 외래어 사용양상과 국어교육적 개선방안

A study on the Aspect of loanword and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in popular song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서울·경기방언과 현대문학

Seoul・Gyeonggi Dialect and Modern Literature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일본의 한국어 교육 및 규범성 문제

The Education of Korean in Japan and Its Norms

새국어교육 | 92 | 2012 | 국어교육

로컬언어와 민족문화 -야나기 무네요시의 ‘오키나와방언논쟁’을 중심으로-

Local Language and National Culture -Focused on Yanagi Muneyoshi's ‘Okinawan Dialect Controversy’-

일어일문학 | 46 | 2010 | 일본어와문학

로컬언어와 민족문화 -야나기 무네요시의 ‘오키나와방언논쟁’을 중심으로-

Local Language and National Culture -Focused on Yanagi Muneyoshi's ‘Okinawan Dialect Controversy’-

일어일문학 | | 46 | 2010 | 일본어와문학

‘方言’의 개념사

The Conceptual History of 'Dialect' in Korean

방언학 | 13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울·경기방언과 현대문학

Seoul・Gyeonggi Dialect and Modern Literature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일본의 한국어 교육 및 규범성 문제

The Education of Korean in Japan and Its Norms

새국어교육 | 92 | 2012 | 국어교육

표준화법 규정 제정과 교육 방안 연구-표준화법 인식과 교육 및 홍보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On the Ways of Establishment and Education for the Standard of Korean Discourse

화법연구 | 16 | 2010 | 한국어와문학

표준화법 규정 제정과 교육 방안 연구-표준화법 인식과 교육 및 홍보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On the Ways of Establishment and Education for the Standard of Korean Discourse

화법연구 | | 16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의 방언과 공간적 상상력

Spatial Imagination of Dialect over the Contemporary Poetry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의 방언과 공간적 상상력

Spatial Imagination of Dialect over the Contemporary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본의 국어정책과 일본어교육

Japan's Policy on Official Language and Japanese Education

국어교육연구 | 28 | 2011 | 국어교육

일본의 국어정책과 일본어교육

Japan's Policy on Official Language and Japanese Education

국어교육연구 | 28 | 2011 | 국어교육

현대시의 방언과 공간적 상상력

Spatial Imagination of Dialect over the Contemporary Poetry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의 방언과 공간적 상상력

Spatial Imagination of Dialect over the Contemporary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표준어의 이념과 ‘사투리’의 탄생 - 1920년대 문학에서 표준어와 방언의 문제 -

The idea of standard Language and the birth of ‘dialect'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국어 교육의 측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nd Policy -focusing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education-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국어 교육의 측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nd Policy -focusing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education-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국어 교육의 측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nd Policy -focusing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education-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국어 교육의 측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nd Policy -focusing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education-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표준어의 이념과 ‘사투리’의 탄생 - 1920년대 문학에서 표준어와 방언의 문제 -

The idea of standard Language and the birth of ‘dialect'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