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시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0723

STNet ID : 1001792

한자 : 十七世紀
영어 : 17th Century
영어 : Seventeenth century

x02-01 시대

대상기간_t

1601-1700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세기 (연대) [ 世紀 ]

R1:개념적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바로크 시대 [ --時代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18세기 (1701-1800) [ 十八世紀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16세기 (1501-1600) [ 十六世紀 ]

17세기 중반 윤선거 역학의 성립 배경

The background on the Yun Seon Geo’s I-Ching theory in 17th Century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17세기 王妃 家門의 變遷과 性格

Tracing the Lineage of 17thCenturyQueens

한국학논총 | 38 | 2012 | 역사이론

17세기 王妃 家門의 變遷과 性格

Tracing the Lineage of 17thCenturyQueens

한국학논총 | 38 | 2012 | 역사이론

17세기, 인·숙종기의 圖畵署와 畵員

The Academy of Painting and its Painters in the 17th Century Joseon

강좌미술사 | 34 | 2010 | 미술

17세기, 인·숙종기의 圖畵署와 畵員

The Academy of Painting and its Painters in the 17th Century Joseon

강좌미술사 | 34 | 2010 | 미술

朴世堂 挽詩의 흐름과 표현 양상

A Study on Expression Aspect of Park Se-dang's Mansi(만시:condolatory poetry)

동방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수호전水滸傳" 관련 기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rds related to "Shuihuzhuan"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영웅호걸형 가장(家長)의 시원(始原) - <소현성록>의 소운성

The Prototype of a Heroic Patriarch - So Un-seong in Sohyeonseongnok -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義勝記」의 주제 의식 고찰

The study on subject consciousness of 「Ui-Seung-Gi」(義勝記)

서강인문논총 | 34 | 2012 | 기타인문학

17세기 국어의 매김마디 구조 형성 과정-부림말이 빠져나간 매김마디를 중심으로-

A Formation Process Adnominal Clause Structures in the 17th century -Focused on Adnominal Clause which object slipped-

겨레어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국어의 매김마디 구조 형성 과정-부림말이 빠져나간 매김마디를 중심으로-

A Formation Process Adnominal Clause Structures in the 17th century -Focused on Adnominal Clause which object slipped-

겨레어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중반 윤선거 역학의 성립 배경

The background on the Yun Seon Geo’s I-Ching theory in 17th Century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息庵 金錫冑의 疏箚類 散文 硏究

A Study on the memorial to the Throne written by Kim, Seok-Joo(金錫冑)

동방한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息庵 金錫冑의 疏箚類 散文 硏究

A Study on the memorial to the Throne written by Kim, Seok-Joo(金錫冑)

동방한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記文을 통해 본 梅山 李夏鎭의 의식 지향과 표현 양상 - 「卜居梅山記」와 「白碧山記」를 중심으로 -

A conscious direction and expression aspect of Maesan Lee HaJin from the record - Focus on 「Bokgaemaesangi(卜居梅山記)」와 「Baekbyucksangi(白碧山記)」 -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記文을 통해 본 梅山 李夏鎭의 의식 지향과 표현 양상 - 「卜居梅山記」와 「白碧山記」를 중심으로 -

A conscious direction and expression aspect of Maesan Lee HaJin from the record - Focus on 「Bokgaemaesangi(卜居梅山記)」와 「Baekbyucksangi(白碧山記)」 -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記文을 통해 본 梅山 李夏鎭의 의식 지향과 표현 양상 - 「卜居梅山記」와 「白碧山記」를 중심으로 -

A conscious direction and expression aspect of Maesan Lee HaJin from the record - Focus on 「Bokgaemaesangi(卜居梅山記)」와 「Baekbyucksangi(白碧山記)」 -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記文을 통해 본 梅山 李夏鎭의 의식 지향과 표현 양상 - 「卜居梅山記」와 「白碧山記」를 중심으로 -

A conscious direction and expression aspect of Maesan Lee HaJin from the record - Focus on 「Bokgaemaesangi(卜居梅山記)」와 「Baekbyucksangi(白碧山記)」 -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초 이스탄불 마할레(거주 공동체)의 외부인에 대한 대응

The Question of Mahalles' Openness in the light of Expulsion Cases in Seventeenth-Century Istanbul

중앙아시아연구 | 15 | 2010 | 역사학

17세기 초 이스탄불 마할레(거주 공동체)의 외부인에 대한 대응

The Question of Mahalles' Openness in the light of Expulsion Cases in Seventeenth-Century Istanbul

중앙아시아연구 | 15 | | 2010 | 역사학

17·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17th-18th Centuries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17·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17th-18th Centuries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

멜랑콜리: 17세기 유럽 문화의 한 가지 동인 - 시대적 배경, 바로크 멜랑콜리, 그리고 멜랑콜리 담론

Melancholie: Ein Movens der europäischen Kultur im 17. Jahrhundert - Zeitgeschichtliche Hintergründe, Barocke Melancholie und Melancholiediskurse

독어독문학 | 53 | 3 | 2012 | 독일어와문학

17世紀銘文白磁를 통해 본 官窯의 運營時期 -生産ㆍ消費遺蹟出土品을 中心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Period of Royal Kilns as Evidenced by 17th Century White Porcelain with Inscriptions Focusing on excavated remains related to consumption and production

한국고고학보 | 77 | 2010 | 역사학

17世紀銘文白磁를 통해 본 官窯의 運營時期 -生産ㆍ消費遺蹟出土品을 中心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Period of Royal Kilns as Evidenced by 17th Century White Porcelain with Inscriptions Focusing on excavated remains related to consumption and production

한국고고학보 | | 77 | 2010 | 역사학

개인소장 《遊三釜落屛》 연구

A Study on the Yusamburak screen of Private Collection

美術史論壇 | 31 | 2010 | 미술

개인소장 《遊三釜落屛》 연구

A Study on the Yusamburak screen of Private Collection

美術史論壇 | | 31 | 2010 | 미술

17世紀 地域과 世界의 만남 : 天主敎의 福建 傳來

Encounters of A Region and the World in the 17C: Introduction of Catholic in Fujian

역사문화연구 | 35 | 2010 | 역사학

17世紀 地域과 世界의 만남 : 天主敎의 福建 傳來

Encounters of A Region and the World in the 17C: Introduction of Catholic in Fujian

역사문화연구 | | 35 | 2010 | 역사학

17세기 열녀 담론과 소설적 대응

Virtuous Women Discourse in 17th century and Fictitious Action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열녀 담론과 소설적 대응

Virtuous Women Discourse in 17th century and Fictitious Action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17世紀 地域과 世界의 만남 : 天主敎의 福建 傳來

Encounters of A Region and the World in the 17C: Introduction of Catholic in Fujian

역사문화연구 | 35 | 2010 | 역사학

17世紀 地域과 世界의 만남 : 天主敎의 福建 傳來

Encounters of A Region and the World in the 17C: Introduction of Catholic in Fujian

역사문화연구 | | 35 | 2010 | 역사학

17世紀銘文白磁를 통해 본 官窯의 運營時期 -生産ㆍ消費遺蹟出土品을 中心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Period of Royal Kilns as Evidenced by 17th Century White Porcelain with Inscriptions Focusing on excavated remains related to consumption and production

한국고고학보 | 77 | 2010 | 역사학

17世紀銘文白磁를 통해 본 官窯의 運營時期 -生産ㆍ消費遺蹟出土品을 中心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Period of Royal Kilns as Evidenced by 17th Century White Porcelain with Inscriptions Focusing on excavated remains related to consumption and production

한국고고학보 | | 77 | 2010 | 역사학

개인소장 《遊三釜落屛》 연구

A Study on the Yusamburak screen of Private Collection

美術史論壇 | 31 | 2010 | 미술

개인소장 《遊三釜落屛》 연구

A Study on the Yusamburak screen of Private Collection

美術史論壇 | | 31 | 2010 | 미술

敬堂及門諸賢錄 연구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性理學界의 동향-

The Study on "Gyeong-Dang-Geub-Mun-Je-Hyeon-Rok"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敬堂及門諸賢錄 연구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性理學界의 동향-

The Study on "Gyeong-Dang-Geub-Mun-Je-Hyeon-Rok"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滄溪 林泳의 「日錄」에 나타난 독서 기록의 특징

The Study on the Reading Record in Diary of Changgye(滄溪) Lim Young(林泳)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5 | 2012 | 한문비평

滄溪 林泳의 「日錄」에 나타난 독서 기록의 특징

The Study on the Reading Record in Diary of Changgye(滄溪) Lim Young(林泳)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5 | 2012 | 한문비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