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환 시에 나타난 질병과 생명의 문제
The matter of disease and life in Oh jang-hwan’s poems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강경애 「소금」의 개념적 은유 접근 방법
Conceptual Metaphor Approach of Kyung-ae Kang's "The Salt"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전봉건의 전쟁시에 나타난 은유와 환유
Metaphor and Metonymy in the war poems of Jeon Bong-geon
인문학연구 |
43 |
2012 |
기타인문학
불안의 극복을 통한 자아 인식 연구 - 박완서의 그 가을의 사흘 동안, 꿈꾸는 인큐베이터, 엄마의 말뚝2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elf-Recognition through Overcoming Anxiety - Focusing on「During Three Days of Autumn」,「A Dreaming Incubator」,「Momma's Stake」by Park Wan-Sue's -
한국문예비평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불안의 극복을 통한 자아 인식 연구 - 박완서의 그 가을의 사흘 동안, 꿈꾸는 인큐베이터, 엄마의 말뚝2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elf-Recognition through Overcoming Anxiety - Focusing on「During Three Days of Autumn」,「A Dreaming Incubator」,「Momma's Stake」by Park Wan-Sue's -
한국문예비평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현대 생태시의 의인화 유형 연구
A study on anthropomorphism in Korean modern ecological poet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신애 문학의 ‘낭만성’ 연구
A Study on Romanticism of Sin-ae Baek's Literary Works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제주도 본풀이의 젠더 담론과 그 여성문학적 의의
The Gendered of Bonpuri(oral myth of Jeju-island) and its feminist meaning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주도 본풀이의 젠더 담론과 그 여성문학적 의의
The Gendered of Bonpuri(oral myth of Jeju-island) and its feminist meaning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70년대 법률 담론에 나타난 하층 여성(성)
The Female Subalterns in the 1970’s Juridical Discourse
서강인문논총 |
30 |
2011 |
기타인문학
공포와 죄의식의 이중주: <장화, 홍련>, <거미숲>, <소름>을 중심으로
The Duet between the Horror and the Guilt
문학과 영상 |
11 |
3 |
2010 |
영상문학
공포와 죄의식의 이중주: <장화, 홍련>, <거미숲>, <소름>을 중심으로
The Duet between the Horror and the Guilt
문학과 영상 |
11 |
3 |
2010 |
영상문학
Praying for Heirs: The Diffusion and Transformation of Hāritī in East and Southeast Asia
후사에 대한 기원(子嗣之禱): 귀자모(鬼子母), 동아(東亞)와 동남아 지역에서의 전파와 변천
중국사연구 |
74 |
2011 |
동양사
『겨울 이야기』에 재현된 모성 연구: 허마이어니와 폴리나의 레토릭과 몸(짓) 읽기
A Study of the Representation of Motherhood in Shakespeare's The Winter's Tale: Reading the Rhetoric and Body of Hermione and Paulina
Shakespeare Review |
46 |
3 |
2010 |
영어와문학
『겨울 이야기』에 재현된 모성 연구: 허마이어니와 폴리나의 레토릭과 몸(짓) 읽기
A Study of the Representation of Motherhood in Shakespeare's The Winter's Tale: Reading the Rhetoric and Body of Hermione and Paulina
Shakespeare Review |
46 |
3 |
2010 |
영어와문학
김유정의 고백소설 연구
A Study on Kim, You-Jeong's Confessional Novel
인문학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김유정의 고백소설 연구
A Study on Kim, You-Jeong's Confessional Novel
인문학연구 |
|
18 |
2010 |
기타인문학
대하소설 여성수난담의 성격 — <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the Women’s Sufferings in the Long Novels Dealing with Wanwolhoemaengyeon(완월회맹연)
동양고전연구 |
47 |
2012 |
기타인문학
가족과 여성성, 그리고 모성: 박완서의 『나목』과 에이미 탠의『조이럭클럽』비교 연구
Family, Feminity and Motherhood: A Comparative Study on The Naked Tree by Park, Wan Seo and The Joy Luck Club by Amy Tan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가족과 여성성, 그리고 모성: 박완서의 『나목』과 에이미 탠의『조이럭클럽』비교 연구
Family, Feminity and Motherhood: A Comparative Study on The Naked Tree by Park, Wan Seo and The Joy Luck Club by Amy Tan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김승옥 각색 시나리오에 내재된 '현대성'과 '여성의 주체구성'연구 -『태양을 훔친 여자』,『강변부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dernity' and 'construction of female subjectivity' inherent in Kim Seung Ok's adapted scenario. -Focused on and
코기토 |
71 |
2012 |
기타인문학
오정희 소설의 우울증적 여성언어 - 「저녁의 게임」을 중심으로 -
The Women's Language revealed in Melancholia from Oh Jung-Hee's novel : Focusing on the Novel Knight Game
우리말글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오정희 소설의 우울증적 여성언어 - 「저녁의 게임」을 중심으로 -
The Women's Language revealed in Melancholia from Oh Jung-Hee's novel : Focusing on the Novel Knight Game
우리말글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융합과 승화의 도정 -린다 수 박의 『사금파리 한 조각』 연구
The Course of Fusion and Sublimation - The Study of Linda Sue Park's A Single Shard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융합과 승화의 도정 -린다 수 박의 『사금파리 한 조각』 연구
The Course of Fusion and Sublimation - The Study of Linda Sue Park's A Single Shard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화 <마더>와 <시>의 모성 구현 양상
The Aspects of Motherhood in and
한중인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알토나의 유폐자들』의 부재하는 어머니
L'ombre de la mère absente dans Les séquestrés d'Altona
불어불문학연구 |
90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고백>의 시대와 <자기개조>의 욕망
<告白>の時代と<自己改造>の欲望
일본연구 |
32 |
2012 |
일본어와문학
에코페미니즘 관점으로 『사양』 읽기
Reading of 『The setting sun』 from the Eco-feministic point of view
일어일문학연구 |
73 |
2 |
2010 |
일본어와문학
에코페미니즘 관점으로 『사양』 읽기
Reading of 『The setting sun』 from the Eco-feministic point of view
일어일문학연구 |
73 |
2 |
2010 |
일본어와문학
류드밀라 뻬뚜르셉스까야의 「아이」, 「지나의 선택」 고찰
A Study on the Short Novel of L. Petrushevskaya
노어노문학 |
22 |
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류드밀라 뻬뚜르셉스까야의 「아이」, 「지나의 선택」 고찰
A Study on the Short Novel of L. Petrushevskaya
노어노문학 |
22 |
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La ambigüedad del papel de "las madres" en Todo sobre mi madre de Almodóvar
스페인어문학 |
58 |
2011 |
기타스페인문학
다이쇼기 일본 여성운동의 조직화와 노선 갈등 ― 『女性同盟』을 통해 보는 <新婦人協會>(1919~1922)의 역사와 의의 ―
The Organization and Conflict of Japanese Women's Movements in the Daisho Period: History and Meaning of (1919-1922) Based on articles in Women's Alliance
동양사학연구 |
116 |
2011 |
역사학
혼인계약에서 정의의 원칙
The Principle of Justice in Marriage Contract
가족법연구 |
25 |
2 |
2011 |
법학
《토지》의 서희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스칼렛 오하라의 인물 연구 - 땅의 가치와 소망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 of Seohee in 《Land》 and Scarlett O'hara in《Gone with the Wind》 - Focusing on value of land and Wish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토지》의 서희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스칼렛 오하라의 인물 연구 - 땅의 가치와 소망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 of Seohee in 《Land》 and Scarlett O'hara in《Gone with the Wind》 - Focusing on value of land and Wish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모성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경합: 멜로영화 <미워도 다시 한 번>시리즈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
15 |
2010 |
신문방송학
모성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경합: 멜로영화 <미워도 다시 한 번>시리즈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
|
15 |
2010 |
신문방송학
하울의 움직이는 성: 고령자 소피를 중심으로 고찰한 새로운 가족상
Birth of a New Family: Howl’s Moving Castle
미디어, 젠더 & 문화 |
17 |
2011 |
신문방송학
해방기 장덕조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의 위장과 전유 -잡지 게재 소설을 중심으로-
Camouflage and Metonymy of Femininity in Jang Deok-jo’s works of the post-Liberation era -Based on her novels published in the magazines-
한중인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루이스 부르주아 예술의 여성성 이미지 연구
Étude sur l’image féminine chez Louise Bourgeois
한국프랑스학논집 |
78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이청준 소설의 모성 은유와 열린 텍스트의 상상력
Maternal Metaphors and Open Text Imagination in Cheongjun Lee’s Novels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틸리 올슨의「수수께끼 내 주세요」에 나타난 엄마 노릇 — 위하여 살 것인가 vs. 더불어 살 것인가
Mothering in “Tell Me a Riddle”: Living for vs. Living with
영어영문학 |
56 |
2 |
2010 |
영어와문학
틸리 올슨의「수수께끼 내 주세요」에 나타난 엄마 노릇 — 위하여 살 것인가 vs. 더불어 살 것인가
Mothering in “Tell Me a Riddle”: Living for vs. Living with
영어영문학 |
56 |
2 |
2010 |
영어와문학
김원숙과 한애규의 여성 표현
A Study on the Expressions of Femininity of Wonsook Kim and Aikyu Hahn
기초조형학연구 |
12 |
1 |
2011 |
예술일반
모리악 소설에 나타난 여성상 - 1920~1940년대의 소설을 중심으로
L'Image idéale de la femme dans les romans de Mauriac - autour des romans entre 1920-1940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천주교 여성 지도력의 특성과 한계
On the Study of Catholic Feminie Leadership
종교연구 |
58 |
2010 |
종교학
천주교 여성 지도력의 특성과 한계
On the Study of Catholic Feminie Leadership
종교연구 |
|
58 |
2010 |
종교학
영화배우 최은희를 통해 본 모성 표상과 분단체제
Motherhood Representation and Divided System Observed through Actress Choi Eun-Hee
한국극예술연구 |
33 |
2011 |
예술체육학
모성의 광기와 딸들의 디아스포라 - 2000년대 영화와 소설 속 ‘母子 가족’ 형상화를 중심으로
The Madness of Motherhood and the Diaspora of Daughters
비교문학 |
51 |
2010 |
인문학
모성의 광기와 딸들의 디아스포라 - 2000년대 영화와 소설 속 ‘母子 가족’ 형상화를 중심으로
The Madness of Motherhood and the Diaspora of Daughters
비교문학 |
|
51 |
2010 |
인문학
자녀희생효설화에 나타난 ‘효’와 ‘모성’의 문제
The Matter of Filial piety and Maternal instinct in Filial piety tale of sacrificing offspring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의 장애인 돌봄제도와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Care System for the Disabled and the Discourse of Motherhood in Korean Society
미디어, 젠더 & 문화 |
14 |
2010 |
신문방송학
한국의 장애인 돌봄제도와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Care System for the Disabled and the Discourse of Motherhood in Korean Society
미디어, 젠더 & 문화 |
|
14 |
2010 |
신문방송학
<마더> : 모성의 괴기함 또는 신성함
Mother as the Uncanny or the Sacred in the film of Mother
한중인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마더> : 모성의 괴기함 또는 신성함
Mother as the Uncanny or the Sacred in the film of Mother
한중인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도스또예프스끼의 어머니들
Dostoevsky's Mothers
노어노문학 |
22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도스또예프스끼의 어머니들
Dostoevsky's Mothers
노어노문학 |
22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