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A101000 인문학 > 문학 > 소설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182
한자 :
프랑스어 : motif
영어 : motive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S:동의 |
Use (우선어) |
|
|
한국 서사민요에 나타난 지역문학의 창의와 융합 연구 -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Study on Creation and Combination of Local Literature in Korean Folk Ballads: Focused on Gangwon District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소설의 영화화에 따른 서사의 변모 양상
Aspects of Epic Changes in a Film Based on a novel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윤동주 시 시어 사용의 이중성 고찰 - 일반 시의 동시 모티프 변용 양상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of Dualism of Use of Yun Dong-ju's Poems Poetic Words -Mostly referring to transformation aspects of a children verses motif of general poems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윤동주 시 시어 사용의 이중성 고찰 - 일반 시의 동시 모티프 변용 양상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of Dualism of Use of Yun Dong-ju's Poems Poetic Words -Mostly referring to transformation aspects of a children verses motif of general poems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본 김동리 문학: 「까치소리」와 <쉘부르의 우산(Les Parapluies De Cherbourg)>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orks By Kim, Dong-Lee, In The Respect Of Comparative Cult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hirrupper Of A Magpie and The Umbrellas Of Cherbourg, a Musical Movi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광림 시의 이미지 조성과 지향성 연구 - 초기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Image Constructing and Intentionality in Kim Kwang Rim's Poetry - Focusing on His Earlier Poems -
한국문예비평연구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死六臣 담론의 轉變과 조선후기 詩歌의 수용 양상
The shift of the Discussion of Sayukshin and the Aspects of the Acceptance of Poetry of Late Choseon Dynasty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복낙원>에 나타나는 배고픔의 모티프 ― 성서에 나오지 않는 유혹들을 중심으로
Hunger Motif in the Extra-Biblical Temptations of Paradise Regained
중세근세영문학 | 20 | 2 | 2010 | 영어와문학
<복낙원>에 나타나는 배고픔의 모티프 ― 성서에 나오지 않는 유혹들을 중심으로
Hunger Motif in the Extra-Biblical Temptations of Paradise Regained
중세근세영문학 | 20 | 2 | 2010 | 영어와문학
Skanda Purāṇa와 Skanda 신화 연구의 한 경향: 최근 Purāṇa 연구의 텍스트-역사적 방법과 관련하여
A Review of the Recent Research on the Skandapurāṇa and Skanda Myth
종교와 문화 | 19 | 2010 | 기타종교학
Skanda Purāṇa와 Skanda 신화 연구의 한 경향: 최근 Purāṇa 연구의 텍스트-역사적 방법과 관련하여
A Review of the Recent Research on the Skandapurāṇa and Skanda Myth
종교와 문화 | | 19 | 2010 | 기타종교학
Madame Chauchat und Echo -Zwei Figuren von Th. Mann und ihre Funktionen im Text-
마담 쇼사와 에코 -토마스 만 소설의 두 인물과 기능-
독어교육 | 50 | 50 | 2011 | 독일어와문학
잭 버틀러 예이츠와의 교류를 통해 본 사무엘 베켓의 작품세계
Samuel Beckett's Works Viewed through His Relationship with Jack B. Yeats
현대영미어문학 | 28 | 3 | 2010 | 영어와문학
잭 버틀러 예이츠와의 교류를 통해 본 사무엘 베켓의 작품세계
Samuel Beckett's Works Viewed through His Relationship with Jack B. Yeats
현대영미어문학 | 28 | 3 | 2010 | 영어와문학
파스테르나크의 사유체계와 죽음의식 연구 - 소설 『닥터 지바고』를 중심으로 -
Research about the thinking structure and the consciousness of death by Pasternak- Focusing on the novel "Doctor Zhivago" -
서강인문논총 | 31 | 2011 | 기타인문학
<이야기 속의 이야기> 사운드 분석
The sound analysis of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20 | 2010 | 예술일반
<이야기 속의 이야기> 사운드 분석
The sound analysis of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 20 | 2010 | 예술일반
문화코드의 문화기호학적 고찰 - 영상콘텐츠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Semiotic Study on Culture Codes - Focusing on Storytelling in Video Content -
인문콘텐츠 | 24 | 2012 | 기타인문학
「승가」의 구연 문화적 성격과 작품의 형성 과정
A Study on the Aspect of Existence of 〈Seung-ga(僧歌)〉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독일, 겨울이야기』와 『조선 겨울이야기』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Germany, Winter Story』 and 『Chosun Winter Story』
비교문학 | 56 | 2012 | 인문학
Искусство и любовь как мотивирующие факторы в творчестве Тургенева
Art and Love as Motivating Factors in the Literary Works of Turgenev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Искусство и любовь как мотивирующие факторы в творчестве Тургенева
Art and Love as Motivating Factors in the Literary Works of Turgenev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한국 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아이의 성장 - 인물 유형과 퀘스트 모티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ildren’s growth in Korean fairy tales- focused on character types and the quest motif -
유아교육연구 | 30 | 2 | 2010 | 교육학
한국 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아이의 성장 - 인물 유형과 퀘스트 모티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ildren’s growth in Korean fairy tales- focused on character types and the quest motif -
유아교육연구 | 30 | 2 | 2010 | 교육학
『곤탄 이로아소비 후토코로 오토코(魂胆色遊懐男)』에 관한 일고찰
A Study of『KonTan IroAsobi Hutokoro Otoko』
日本思想 | 19 | 2010 | 철학
『곤탄 이로아소비 후토코로 오토코(魂胆色遊懐男)』에 관한 일고찰
A Study of『KonTan IroAsobi Hutokoro Otoko』
日本思想 | | 19 | 2010 | 철학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 방안 연구 -비문학 전공자 대상의 현대시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etry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교양교육연구 | 5 | 1 | 2011 | 학제간연구
근대소설의 귀향과 여로 모티프 비교 연구 - 주요한의 「마을 집」과 염상섭의 「만세전」, 양건식의「슬픈 모순」과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상호 비교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the motifs of Modern novel - Comparison between 「Maeuljip」 by Ju Yo-han and 「Mansejeon」 by Yeom Sang-seop, and 「Seulpeun Mosun」 by Yang Geon-sik and 「Soseolga Gubossieui ilil」 by Park Tae-won -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소설의 귀향과 여로 모티프 비교 연구 - 주요한의 「마을 집」과 염상섭의 「만세전」, 양건식의「슬픈 모순」과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상호 비교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the motifs of Modern novel - Comparison between 「Maeuljip」 by Ju Yo-han and 「Mansejeon」 by Yeom Sang-seop, and 「Seulpeun Mosun」 by Yang Geon-sik and 「Soseolga Gubossieui ilil」 by Park Tae-won -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화조화 모티프를 응용한 현대 의상 연구 -꽃, 새, 나비 모티프를 중심으로-
A Study on Modern Clothing with Applied Motif from Flowers and Birds -Focus on motif of flowers, birds and butterflies-
한복문화 | 14 | 2 | 2011 | 의상
자연주의 패션경향과 대나무 모티프의 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on Naturalism and Fashion Designs using Bamboo Motifs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10 | 4 | 2010 | 의상
자연주의 패션경향과 대나무 모티프의 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on Naturalism and Fashion Designs using Bamboo Motifs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10 | 4 | 2010 | 의상
한국현대시의 프란츠 카프카 수용
Reception of Franz Kafka in modern korean poetry
한국시학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한 “梁祝”설화에 반영된 문화적 동질성과 의미
The cultural Homogeneity and Meaning on 'YangSanBaeg and ChuYangDae' tale of China․Korea
중국학논총 | 29 | 2010 | 중국문화학
중․한 “梁祝”설화에 반영된 문화적 동질성과 의미
The cultural Homogeneity and Meaning on 'YangSanBaeg and ChuYangDae' tale of China․Korea
중국학논총 | | 29 | 2010 | 중국문화학
1910년대의 소설쓰기 원리 연구 -모티프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of Contents Formation in 1910’s Novel
문학교육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의 소설쓰기 원리 연구 -모티프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of Contents Formation in 1910’s Novel
문학교육학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 속 ‘漁父’ 모티프의 수용사적 고찰
A Study on the Motif of Fishermen in Korean Classical Poetry
고전과 해석 | 11 | 2011 | 국문학사
청화도자 표상으로서의 플로럴 패턴이 지닌 외연과 내포
The Symbol and Formative Emblem of Denotation and Connotation in Floral Pattern Blue and White porcelains
한국디자인포럼 | 35 | 2012 | 디자인
초등『도덕』이야기 형식의 예화 분석 - ‘갈등’ 모티프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Exemplary Narratives of Story Format in Elementary『Moral』 - Focused on 'Conflict' Motif -
도덕윤리과교육 | 34 | 2011 | 교육학
뱀파이어 모티프 영상서사의 공간 분석: 영화와 소설 『렛미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about the Space in Visual Contents of Vampire Motif: Focused on the Movie and Novel Let me in
문학과 영상 | 12 | 1 | 2011 | 영상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두견 모티브 연구 -한시의 두견 모티브 수용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otif of cuckoo shown in modern poetry -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otif of cuckoo in the Chinese poetry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두견 모티브 연구 -한시의 두견 모티브 수용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otif of cuckoo shown in modern poetry -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otif of cuckoo in the Chinese poetry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 영화에 나타난 사후세계의 장소감 연구 —<콘스탄틴>와 <러블리 본즈>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nse of Place of Afterlife: Focused on Constantine and The Lovely Bones
문학과 영상 | 12 | 1 | 2011 | 영상문학
<갈등> 모티프 스토리텔링 -모티프 연계를 통한 스토리 생성
‘Konflikt’-Motiv Storytelling- -Die Entstehung der Story durch die Verbindung der Motive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2 | 2010 | 독일어와문학
<갈등> 모티프 스토리텔링 -모티프 연계를 통한 스토리 생성
‘Konflikt’-Motiv Storytelling- -Die Entstehung der Story durch die Verbindung der Motive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 22 | 2010 | 독일어와문학
같은 소재, 다른 이야기 -모티프 변형을 통한 문화콘텐츠 스토리 개발
Geicher Stoff, ungleiche Storys -Die Entstehung der Contents Story durch die Motiv-Transformation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4 | 2011 | 독일어와문학
‘변신’ 모티프의 현대적 변용 -카프카의 변신과 브레히트의 『남자는 남자다』
Eine Studie zur modernen Transformation des Verwandlungsmotivs -Die Verwandlung von Franz Kafka und Mann ist Mann von Bertolt Brecht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변신’ 모티프의 현대적 변용 -카프카의 변신과 브레히트의 『남자는 남자다』
Eine Studie zur modernen Transformation des Verwandlungsmotivs -Die Verwandlung von Franz Kafka und Mann ist Mann von Bertolt Brecht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시누아즈리(Chinoiserie)의 모티브가 지닌 미적 형식과 재현요소
The Esthetic Form and the Representation Element of the motif of Chinoiserie
한국디자인포럼 | 33 | 2011 |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