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민관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인간(지위/벼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193

STNet ID : 9005790

한자 : 牧民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친민관 [ 親民官 ]

UF (비우선어)

 

 

목민지관 [ 牧民之官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수령 [ 守令 ]

hasComponent (구성요소)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문관 [ 文官 ]

제4장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정치철학을 통해 본 공직윤리 연구 -『목민심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Dasan's Political Philosophy and Public Servant Ethic -the focus on Mokminsimseo-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4장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정치철학을 통해 본 공직윤리 연구 -『목민심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Dasan's Political Philosophy and Public Servant Ethic -the focus on Mokminsimseo-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茶山의 社會詩 연구- 敍事的 寫實性을 중심으로 -

A Study of Social Poems of Dasan: Focuses on the Narrative Reality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라 炤知王代의 牧民官 천거와 정치 세력의 변화

The Recommendation for a County Magistrate Performed during King Soji's Reign and Changes in the Powers of Political Groups in Shilla

역사학연구 | 41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