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베버

연구분야 : B0801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이론/사상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1946

한자 :
독일어 : Weber, Max
독일어 : Max Weber
동의어(UF) : 베버(Weber)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앤서니 기든스 [Giddens, Anthony]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찰스 라이트 밀스 [Mills, Charles Wright]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파슨즈 [Parsons, Talcott]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카리스마 [charisma]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좀바르트 [Sombart, Werner]

RT (관련어)

주창자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합법적 권위 [ 合法的權威 ]

R5:물리적

Relative_2 (친인척_역)

형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알프레드 베버 [Weber, Alfred]

근대 독일 철학자의 대립적 불교 이해와 수용

Das gegensätzliche Verstehen und die Rezeption des Buddhismus unter den deutschen Denkern

헤겔연구 | 29 | 2011 | 철학

유교종교론 논쟁 및 의미

On the Theory of Confucianism is the Religion or Not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7 | 2010 | 유교학

유교종교론 논쟁 및 의미

On the Theory of Confucianism is the Religion or Not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7 | 2010 | 유교학

천주교 성직자와의 비교를 통해서 본 개신교 목회자의 리더십 문제 연구-막스 베버의 권위(authority) 이론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Leadership between Protestant Pastors and Catholic Priests on the Basis of Max Weber’s Theory of Authority

기독교교육정보 | 32 | 2012 | 기독교신학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기독교문화와 윤리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 The Protestant Culture and Ethic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기독교문화와 윤리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 The Protestant Culture and Ethic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바울의 ‘카리스마’ 이해와 리더십: 고린도 전·후서를 중심으로

Charisma and Leadership of Paul: Centering around 1 and 2 Corinthians

신학논단 | 64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막스 베버 공순(恭順) 사상으로 바라본 조선시대 남-여 관계에 대한 인식

Based on M. Weber’s Piety Conception, the Cognition of Chosŏn Society’s Man-Woman Relationship

철학사상 | 38 | 2010 | 철학

막스 베버 공순(恭順) 사상으로 바라본 조선시대 남-여 관계에 대한 인식

Based on M. Weber’s Piety Conception, the Cognition of Chosŏn Society’s Man-Woman Relationship

철학사상 | | 38 | 2010 | 철학

근대 사회과학의 아포리아: 사회과학의 ‘인간’ 개념을 중심으로

Aporia of the Modern Social Science: The Concept of MAN/man

역사와 문화 | 22 | 2011 | 문화사(역사학)

이슬람주의에서 새로운 이슬람주의로 - 베버적 접근

From Islamism to New Islamism - A Weberian Approach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13 | 1 | 2011 | 사회학

Husserl의 현상학과 Schutz의 현상학적 사회학

Husserl’s Phenomenology and Schutz’s Phenomenological Sociology

철학사상 | 42 | 2011 | 철학

서양 철학에서 본 도교 종교성: 헤겔, 베버와 하이데거를 중심으로

On Daoism As The Religion

인문학연구 | 44 | 2012 | 기타인문학

사회연결망의 구성과 변동에 대한 고전사회이론의 기여- 마르크스, 베버, 뒤르켐

Contribution of Classical Social Theories on the Construction and Transformation of Social Networks: From Marx, Weber, and Durkheim

담론201 | 15 | 3 | 2012 | 사회학

포스트모던 시대의 행정윤리: 막스베버의 관료 윤리론의 재해석과 새로운 관료윤리의 모색

Administrative Ethics in the Postmodern Age: The Reinterpretation of Max Weber's Ethical Theory of Bureaucrats and the Exploration of New Ethical Theory

한국행정논집 | 24 | 3 | 2012 | 행정학

지적 이민(intellectual émigrés)의 명암 : 앨버트 샐러먼(Albert Salomon)과 미국 사회과학의 막스 베버 수용

The Shadow of Intellectual émigrés: Albert Salomon and the Acceptance of Max Weber in American Social Sciences

韓國史學史學報 | 25 | 2012 | 역사학

행정 관료에게 주체적 윤리란 무엇인가? : Max Weber, 행정개혁론자의 윤리론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Michel Foucault 윤리론에 대한 시론적 연구

정부학연구 | 16 | 2 | 2010 | 행정학

행정 관료에게 주체적 윤리란 무엇인가? : Max Weber, 행정개혁론자의 윤리론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Michel Foucault 윤리론에 대한 시론적 연구

정부학연구 | 16 | 2 | 2010 | 행정학

울프가 베버를 만날 때: ‘직업’으로서의 글쓰기와 모더니스트의 ‘소명’

When Virginia Woolf meets Max Weber: “Professions for Women,” the Profession of Literature, and a Modernist's Vocation

현대영미소설 | 18 | 3 | 2011 | 영어와문학

앨런의《막스 베버의 오만과 편견》에대한 비판

The critique of Allen's book, Max Weber : a critical introduction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

막스 베버의 사회학과 비인간들

Max Weber’s Sociology and Non-Humans

사회와 이론 | 19 | 2011 | 기타사회학

이념형적 접근에 기초한 막스 베버 “국가관”의 이해

Understanding of M. Weber's theory of state based on Ideal type

인문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막스 베버의 ‘자본주의 정신 기원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f the Max Weber's Theory on the Origin of the Spirit of Capitalism

윤리연구 | 1 | 81 | 2011 | 학제간연구

종교문화적으로 이해된 막스 베버의 유교윤리에 대한 정치이론적 해석: 동(북)아시아의 공공성 문제 고찰

A Politico-Theoretical Reconstruction of Max Weber’s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Focusing on Publicity Question in (North)east Asia

정치사상연구 | 18 | 1 | 2012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