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판화

연구분야 : G030202 예술체육 > 미술 > 순수미술 > 소조/조각/조소

클래스 : 미술(디자인)양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206

STNet ID : 9003226

한자 : 木版畵

e01-03 미술(디자인)양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판화 [ 版畵 ]

isKindOf (상위 유형)

 

 

볼록 판화 [ --版畵 ]

R1:개념적

RT (관련어)

관련 대상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목판 [ 木版 ]

조선후기 의궤의 정재도(呈才圖) 기록현황과 제작배경

The background of making jeongjaedo and current status of jeongjaedo through Uigwe in the Late Chosun Dynasty

무용예술학연구 | 37 | 37 | 2012 | 무용

라울뒤피의 직물문양에 나타난 예술적 특성

The artistic character appeared in Raoul Dufy's textile design

조형디자인연구 | 15 | 3 | 2012 | 공예

동북아 현대 목판화 연구 - 韓∙中∙日 현대 목판화를 中心으로

Current Trends of Contemporary Woodcut in Korea, China, and Japan

기초조형학연구 | 11 | 3 | 2010 | 예술일반

동북아 현대 목판화 연구 - 韓∙中∙日 현대 목판화를 中心으로

Current Trends of Contemporary Woodcut in Korea, China, and Japan

기초조형학연구 | 11 | 3 | 2010 | 예술일반

근대 동북아의 목판화 연구 -한ㆍ중ㆍ일의 18∼19세기 화조목판화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Woodcut in Modern Northeast Asia -Korea, China, and Japan-

기초조형학연구 | 12 | 3 | 2011 | 예술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