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문화

연구분야 : B0811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계층/계급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2071

한자 : 靑年文化
영어 : youth culture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현대 [ 現代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하위 문화 () [ 下位文化 ]

R1:개념적

RT_X (관련어►)

관련 문화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반문화 [ 反文化 ]

5․18 서사로서의 <햄릿>과 기국서의 연극사적 위치 -<기국서의 햄릿> 연작을 중심으로-

Hamlet as an epic 5ㆍ18 and Ki Kukseo's position in Korean theatre history -focused on Ki Kukseo's Hamlet series-

한국극예술연구 | 34 | 2011 | 예술체육학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 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그리고 대중문화의 흔적

The Competition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 Revival of Nation, Theory of Indigenous Development and Trace of Popular Culture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3 | 2012 | 사회학

‘한국적 모더니즘’의 창안: 1970년대 단색조 회화

The Creation of ‘Korean Modernism’: Monochrome painting of 1970’s

미술사학보 | 35 | 2010 | 미술

‘한국적 모더니즘’의 창안: 1970년대 단색조 회화

The Creation of ‘Korean Modernism’: Monochrome painting of 1970’s

미술사학보 | | 35 | 2010 | 미술

한국영화운동사에서 ‘영상시대’의 등장 배경과 영화사적 의의

The background of ‘Young Sang Shi Dae’ in Korean film history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씨네포럼 | 14 | 2012 | 영화

1960년대 단카이 세대의 '반란'과 미디어로서의 만화 - 만화 『내일의 조』를 중심으로

The “Uprising” of the “DANKAI Generation” in the 1960s and Comics as Media - Centered on the Comic, “Ashita no Joe(Tomorrow's Joe)”

사이間SAI | 9 | 2010 | 기타국문학

1960년대 단카이 세대의 '반란'과 미디어로서의 만화 - 만화 『내일의 조』를 중심으로

The “Uprising” of the “DANKAI Generation” in the 1960s and Comics as Media - Centered on the Comic, “Ashita no Joe(Tomorrow's Joe)”

사이間SAI | | 9 | 2010 | 기타국문학

청년문화론에서의 ‘문화/정치’의 경계 문제

A Study on the boundary line of ‘culture/politics’ in Youth Culture’s theo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하길종 영화《바보들의 행진》에 나타난 니힐리즘과 비극성

The Nihilism and Tragic Nature Appeared in the Ha Gil-Jong’s Movie《The March of Fools》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