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연구분야 : B101106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몽골

클래스 : 국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221

STNet ID : 2000007

한자 :
영어 : Mongol
동의어(UF) : 몽고(蒙古)
영어 : Mongolia

x01-02 국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몽골제국 () [ 蒙古帝國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후기 공산 사회 [ 後期共産社會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요동도사 [ 遼東都司 ]

RT (관련어)

 

a01-06 인간(직업/지위/역할) 인간(직업/지위/역할)

몽고병 [ 蒙古兵 ]

R4:공간적

isAdjacentTo (근접)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내몽골 자치구 () [ 內蒙古自治區 ]

고려 고종초기 거란유종의 침입과 김취려의 활약

Khitan’s Invasion and Kim Chwi-ryeo’s Activity during Initial Gojong in Goryeo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30 | 2011 | 역사학

몽골족과 헨티 산맥

Mongolian and the Henti Mountains

역사학연구 | 43 | 2011 | 역사학

북아시아 유목민의 역사 요람 興安嶺 - 몽골족의 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Hingganling being Birthplace of History of the Nomad in North Asia - Focused on Activities of the Mongol

역사문화연구 | 39 | 2011 | 역사학

여몽 관계의 성격과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 중국 학계의 '책봉과 조공' 관계 연구의 한계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s, and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The Limits of “Investiture-Tribute” Relations in Studies on China

동북아역사논총 | 35 | 2012 | 역사학

흉노 귀족계층 무덤의 연구

A Study of Xiongnu tombs in Mongolia

중앙아시아연구 | 15 | 2010 | 역사학

흉노 귀족계층 무덤의 연구

A Study of Xiongnu tombs in Mongolia

중앙아시아연구 | 15 | | 2010 | 역사학

Pro-poor Tourism Applying Opportunities for Rural Herders of Mongolia

몽골 유목민을 위한 빈곤퇴치 관광의 적용방안

대한경영학회지 | 25 | 1 | 2012 | 경영학

몽골어에 나타나는 여성과 남성 언어의 성적 차이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for Sexual Difference of in Mongol Language between male and female

동아시아고대학 | 22 | 2010 | 기타인문학

몽골어에 나타나는 여성과 남성 언어의 성적 차이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for Sexual Difference of in Mongol Language between male and female

동아시아고대학 | | 22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중국, 몽골, 캄보디아 대학생들의 창업성향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ntrepreneurship Among Korea, China, Mongolia, and Cambodia

중소기업연구 | 32 | 2 | 2010 | 경영학

Tourism Policy Development Analysis: The Case of Mongolia

몽골의 관광산업 정책개발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 21 | 2 | 2012 | 관광학

광활한 몽골초원과 흉노인의 생존 - 고고학 증거를 중심으로 -

The Existence of Xiongnu on Great Mongol Steppe -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

중앙아시아연구 | 15 | 2010 | 역사학

Современные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 археологии хунну в Евразии

Contemporary studies on Xiongnu archaeology in Eurasia

러시아연구 | 21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동아시아역사 속의 신해혁명 ― 공화혁명의 확산과 동아시아국제질서의 재편 ―

东亚史上的辛亥革命

동양사학연구 | 117 | 2011 | 역사학

明代 北邊의 互市와 朝貢

明代北边互市和朝贡

중국사연구 | 72 | 2011 | 동양사

동물 부장양상을 통해 본 북흉노의 매장습속 —몽골지역을 중심으로—

Burial Custom of the North Huns Determined from the Burial Styles of Animal Bones -Focusing on the tombs of Mongolia-

문물연구 | 22 | 22 | 2012 | 역사학

원 간섭기 金就礪像의 형성과 當代史 연구

Studies on the Formation of Gim Chwi-ryeo(金就礪)'s historical image in the early 14th century of Goryeo dynasty

한국사상사학 | 41 | 2012 | 역사학

忠宣王과 麗蒙 관계 ― 배경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

The King Chungseon and Relations between Koryo and Mongolia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朝鮮王朝實錄』에 비친 17세기 내륙아시아 정세와 ‘寧古塔回歸說’

反映在『朝鮮王朝實錄』的17世紀 亚洲内陆情勢 和‘寧古塔回歸說’

중국사연구 | 69 | 2010 | 동양사

『朝鮮王朝實錄』에 비친 17세기 내륙아시아 정세와 ‘寧古塔回歸說’

反映在『朝鮮王朝實錄』的17世紀 亚洲内陆情勢 和‘寧古塔回歸說’

중국사연구 | | 69 | 2010 | 동양사

새로운 세계사의 재편을 위한 방향 모색 -중앙아시아사 연구의 경향-

Search for New Directions toward the Reorganization of World History: Trends in the Studies of Central Asian History, 2008-2011

역사학보 | 215 | 2012 | 역사학

조선후기 제주거주 몽골 후손들의 사회적 지위와 변화 -호적중초에 보이는 본관명 大元 가문의 사례분석-

The social position and changes of mongolia posterity who were reside Jeju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 The case analysis of Bongwan(family origin) ‘daewyon’ listed in Hojeokjungcho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제주거주 몽골 후손들의 사회적 지위와 변화 -호적중초에 보이는 본관명 大元 가문의 사례분석-

The social position and changes of mongolia posterity who were reside Jeju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 The case analysis of Bongwan(family origin) ‘daewyon’ listed in Hojeokjungcho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복탁의 起源과 變遷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Origin and the Changes of ‘Bogtag’ Hat

중앙아시아연구 | 16 | 2011 | 역사학

1911년 신해혁명과 몽골리아: 근대의 시작

중국근현대사연구 | 54 | 2012 | 중국현대사

20세기 초 몽골 민족주의의 전개 - 독립 선언에서 임시정부 수립까지 -

A Development of Mongolian National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 From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im government

중국학논총 | 32 | 2011 | 중국문화학

제주와 몽골의 ‘돌 신앙’ -신체(神體)의 산육신적 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one faith of Jeju and Mongolia-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vinity for bearing and raising in the body of deity-

한민족문화연구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우즈베키스탄과 몽골의 시장경제 체제전환 초기 10년: 전략선택의 배경과 사유화 과정의 경로

The First 10 Years of Transition Process in Uzbekistan and Mongolia: The Background of Strategy Selection and Privatization

슬라브硏究 | 28 | 2 | 2012 | 지역학

몽골의 새마을운동 수용방식과 성공요인: 경험적 분석

How to Implant the Saemaeul (New Village) Movement and Make it Thriving in the Mongolian Society: An Empirical Analysis

21세기정치학회보 | 22 | 2 | 2012 | 정치외교학

元 前期 達魯花赤의 제도화와 그 위상의 변화

Institutionalization of the Darughachi in early Yuan Dynasty and the change of its status after the conquest of southern Song

동아시아문화연구 | 51 | 2012 | 기타인문학

Economic Cooperation since 1990 between Korea and Mongolia: An Evaluation and Prospects

몽골학 | 29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Economic Cooperation since 1990 between Korea and Mongolia: An Evaluation and Prospects

몽골학 | | 29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몽골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그 발전방향 제언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and proposal of enhancement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몽골 자원기반 경제와 재정정책 과제

Resource-Based Economy in Mongolia and Fiscal Policy Issues

몽골학 | 32 | 2012 | 기타동양어문학

몽골 대학의 한국문학교육 연구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at Universities in Mongolia

한어문교육 | 23 | 2010 | 국어교육

몽골 대학의 한국문학교육 연구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at Universities in Mongolia

한어문교육 | 23 | | 2010 | 국어교육

몽골 경제의 균형발전 과제

Balancing Economic Growth in Mongolia

몽골학 | 33 | 2012 | 기타동양어문학

몽골 근대역사장편소설 연구 -베. 린첸(Б.Ринчен) <우-링 토야-(Үүрийн Туяа)>의 북한 번역본 <초원의 려명>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dern Historical Novel of Mongolia -Focusing on the North Korea version Dawn in the Steppe of Üüriin Tuyaa by B. Rinchen-

몽골학 | 33 | 2012 | 기타동양어문학

사회 교과서 속의 몽골 관련 서술 -중·고등학교 사회·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Descriptions of Mongolia in Social Studies textbooks -with reference to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and World History textbooks-

몽골학 | 31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몽골의 수출입구조 분석과 무역정책 혁신 방안

An Analysis of Trade Structure in Mongolia and Renovation of Trade Policy

몽골학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몽골의 수출입구조 분석과 무역정책 혁신 방안

An Analysis of Trade Structure in Mongolia and Renovation of Trade Policy

몽골학 |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몽골의 보건의료체계 현황 및 국민보건수준

Mongolian Health Care System and The Health Status of Mongolian People

몽골학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몽골의 보건의료체계 현황 및 국민보건수준

Mongolian Health Care System and The Health Status of Mongolian People

몽골학 |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몽골에서 최근 발굴된 돌궐시대 벽화고분의 소개

Newly Excavated Mural Tomb at Shoroon Bumbagar in Mongolia

고구려발해연구 | 43 | 2012 | 한국고대사

기후지형학 관점에서 본 몽골 스텝지역의 지형형성작용 특색

Some Remarkable Earth Surface Processes under the Morpho-climatic regime of Mongolian Steppe Zone

한국지형학회지 | 18 | 3 | 2011 | 지리학

시장경제체제 전환 이후 몽골의 금융위기와 예금자 보호

Financial Crises and Depositor Protection since Mongolia's Transition to a Market Economy

아시아연구 | 14 | 2 | 2011 | 지역학

몽골의 요동·고려 경략 재검토(1211~1259)

再论蒙古对辽东和高丽的战争(1211∼1259) Reexamination of Mongol's Campaigns in Liaodong and Koryo (1211~1259)

역사학보 | 209 | 2011 | 역사학

蒙元統治下華北社會與 “士人” 教育的變遷

몽골 통치하의 화북사회와 ‘士人’ 교육의 변천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

쿠빌라이 정부의 南海정책과 해외무역의 번영 -몽골의 전통적 세계관과 관련하여-

Khubilai Government’s Policies on The Southern Sea and The Prosperity of Overseas Trade -Relating to The Traditional World View of The Mongols-

史叢(사총) | 72 | 2011 | 기타역사일반

몽골의 침략과 고려 무인정권 및 삼별초의 ‘島嶼海洋戰略’ ― 그 동아시아적 의의 ―

The Mongol Invasion of Goryeo and Goryeo's “Island-Marine Military Strategy (島嶼海洋戰略)”

동양사학연구 | 115 | 2011 | 역사학

한국과 몽골, 투르크 벨트의 수교 20년사: 진단과 정책제안

Korea, Mongol and the Five Turk Nations: A Proposal of Establishing ‘Cooperation of the Altai Nations’ Belt

신아세아 | 19 | 3 | 2012 | 정치외교학

몽골이주가정 자녀 학교적응의 영향요인: 다문화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ongolian children and adolescents living in Korea: With a special focus on a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s

한국가족복지학 | 32 | 2011 | 사회복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