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

연구분야 : G080200 예술체육 > 연극 > 연극무대장치/효과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262

한자 : 舞臺
영어 : stage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 공간 공간

연기 공간 [ 演技空間 ]

N1:종류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개방 무대 [ 開放舞臺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가설 무대 [ 架設舞臺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무대 미술 () [ 舞臺美術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무대 디자인 [ 舞臺--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무대 감독 [ 舞臺監督 ]

R5:물리적

isConnectedTo (연결/부착)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무대 장치 [ 舞臺裝置 ]

남북한 통일 정책의 변화로 본 북한연극연구사

Research History of North Korean Theater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fication Policy in Stages

한국연극학 | 1 | 46 | 2012 | 연극

종묘제례악 보태평의 연극학적 접근

Directing Techniques and The Aesthetics of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Pulver im Feuerwerk -Zur Dramaturgie Bertolt Brechts-

불꽃놀이 속의 화약 -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연출기법에 관하여 -

독일어문화권연구 | 20 | 2011 | 기타인문학

사원예능 엔넨(延年) 무대에서 지우타이(地謠)의 위치와 발생

The Origin and Position of Jiutai on the stageof Temple Play Yennen

공연문화연구 | 21 | 2010 | 기타예술일반

사원예능 엔넨(延年) 무대에서 지우타이(地謠)의 위치와 발생

The Origin and Position of Jiutai on the stageof Temple Play Yennen

공연문화연구 | | 21 | 2010 | 기타예술일반

M. Butterfly에 나타난 법의 무대와 무대의 법

The Theater of Law and the Law of Theater in M. Butterfly

현대영미드라마 | 23 | 1 | 2010 | 현대영미희곡

M. Butterfly에 나타난 법의 무대와 무대의 법

The Theater of Law and the Law of Theater in M. Butterfly

현대영미드라마 | 23 | 1 | 2010 | 현대영미희곡

약자표상으로서의 공간성 연구 -이윤택의《달아달아 밝은 달아》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spatiality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week -focused on directed by Lee yun-taek-

연극교육연구 | 17 | 2010 | 연극교육

약자표상으로서의 공간성 연구 -이윤택의《달아달아 밝은 달아》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spatiality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week -focused on directed by Lee yun-taek-

연극교육연구 | 17 | | 2010 | 연극교육

정지용의 시 「유선애상」 고찰

Rethinking of the poem “Yuseonaesang” by Jeong Ji-Yong

비평문학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학적 번역과 무대 번역의 비교 고찰 -오세곤과 최종철의 셰익스피어(Shakespeare)의《한여름 밤의 꿈》(A Midsummer Night's Dream)의 번역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terary Translation and the Stage Translation -Based on the Translations of Shakespeare's A Midsummer Night's Dream by Oh, sae gohn and Chai, jong chul-

연극교육연구 | 16 | 2010 | 연극교육

문학적 번역과 무대 번역의 비교 고찰 -오세곤과 최종철의 셰익스피어(Shakespeare)의《한여름 밤의 꿈》(A Midsummer Night's Dream)의 번역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terary Translation and the Stage Translation -Based on the Translations of Shakespeare's A Midsummer Night's Dream by Oh, sae gohn and Chai, jong chul-

연극교육연구 | 16 | | 2010 | 연극교육

무대에서의 전래 동화 구연에 관한 연구 -언어적/비언어적 요소와 콘텍스트를 중심으로-

A Performance Study on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in a Stage

시학과 언어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연극 무대에서의 뉴미디어 도입과 관객성의 양상

The Employment of New Media on the Theater Stage and the Mode of Spectatorship

기초조형학연구 | 12 | 3 | 2011 | 예술일반

왕부지의 『장자』 풀이에 드러난 ‘무대’ 개념 고찰

考察對於王夫之的『莊子』解釋上的‘無待’槪念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