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후기 묘지명의 창작 방식 - 구성 원리를 통해 본 선택과 집중의 양상 -
Introspection on theories constructing epitaphs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후기 묘지명의 창작 방식 - 구성 원리를 통해 본 선택과 집중의 양상 -
Introspection on theories constructing epitaphs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沈翼雲의 「說文」과 산문세계
A study on Shim Ik-wun(沈翼雲)’s Seol-mun(說文) and prose
漢文敎育硏究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沈翼雲의 「說文」과 산문세계
A study on Shim Ik-wun(沈翼雲)’s Seol-mun(說文) and prose
漢文敎育硏究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유가>의 서술방식과 작가의식
The Narrative Methods and Writer's Consciousness of Dongyuga
고전문학과 교육 |
23 |
2012 |
인문학
서정인의 원체험과 문학적 표현 양상
A Haunting Memory of Childhood and Literary Expressions by Seo, Jung-In
현대소설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인의 원체험과 문학적 표현 양상
A Haunting Memory of Childhood and Literary Expressions by Seo, Jung-In
현대소설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鸞鶴夢> 속 주동인물군의 이중성과 그 의미
The Meaning of Duplicity of Protagonist group in
국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皇華集』을 통해 본 企齋 申光漢의 작가 의식 - 明使 張承憲과의 酬唱 樣相을 中心으로
The Writer’s Consciousness of Gijae Shin Gwang Han Expressed in 『Hwanghwajip(皇華集)』- Focusing on the Aspect in Exchanging Poems with Ming Envoy Jang Seung Heon
漢文古典硏究 |
23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진주는 주었으나』의 이야기 방식과 근대성
The Methods of telling & the Modernity in 『Though gave the pearl』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사량 문학에 나타난 중국 체험과 의식
China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in Literature of Kim, Sa-ryang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사량 문학에 나타난 중국 체험과 의식
China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in Literature of Kim, Sa-ryang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예영화와 검열 : 유현목 영화의 정체성 구성과정에 대한 일고찰
The Literary Film and Censorship System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Artistic Identity appeared in Yu, Heon-mok’s Literary films-
영상예술연구 |
17 |
2010 |
기타예술체육
문예영화와 검열 : 유현목 영화의 정체성 구성과정에 대한 일고찰
The Literary Film and Censorship System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Artistic Identity appeared in Yu, Heon-mok’s Literary films-
영상예술연구 |
|
17 |
2010 |
기타예술체육
노양근의 소년소설 연구
A Study on Rho Yang-Geun’s Juvenile Novels
우리말글 |
54 |
2012 |
한국어와문학
『임진록』의 작가의식과 민족의식 고찰 ― 민족의식의 자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jinrok’s Authors’ Professional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청춘극장」, 시대의 비극과 조우
, the encounter of the times tragedy
우리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