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장편소설의 여성 초점화와 근대적 주체 -<환희>, <재생>, <이심>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calization Of Modern Girls in the 1920’s Popular Novels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장편소설의 여성 초점화와 근대적 주체 -<환희>, <재생>, <이심>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calization Of Modern Girls in the 1920’s Popular Novels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시에 나타난 시선 주체의 형성과 변이
Formation and transition of Seeing Subject appeared in poems written by Jeong Ji-yong
어문논집 |
64 |
2011 |
한국어와문학
傳統 知識人 丹齋 申采浩의 省察的 主體로서의 글쓰기 의식 -<龍과 龍의 大激戰>을 통해 본 丹齋 晩年의 내면풍경-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Shin Chae-ho's introspective writing in Dragon War (Yong-gwa yong-eui taekyeokjeon, 龍과 龍의 大激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傳統 知識人 丹齋 申采浩의 省察的 主體로서의 글쓰기 의식 -<龍과 龍의 大激戰>을 통해 본 丹齋 晩年의 내면풍경-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Shin Chae-ho's introspective writing in Dragon War (Yong-gwa yong-eui taekyeokjeon, 龍과 龍의 大激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반성 없는 근대적 주체의 초상-조연현의 1950년대 비평 연구
The Portrait of the Modern Subject That does not Reflect on Itself - A Study on Jo, Yeon-hyun's Criticisms in the 1950s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반성 없는 근대적 주체의 초상-조연현의 1950년대 비평 연구
The Portrait of the Modern Subject That does not Reflect on Itself - A Study on Jo, Yeon-hyun's Criticisms in the 1950s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채만식의 초기소설에 나타난 ‘가족과 자본’
The Family and Capital in the Chai Man-sik's Early Short Stories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1930-40년대 서비스직 여성의 노동경험을 통한 ‘직업여성’의 근대적 주체성 형성과 갈등에 관한 연구-미용사 L의 생애구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
46 |
1 |
2012 |
사회학
18세기 프랑스 유토피아 문학의 역설 - 계몽의 기획에 대한 진단
Le paradoxe de la littérature utopique française au 18e siècle - la considération critique sur le projet des Lumières
불어불문학연구 |
91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임화 시에 나타난 ‘용기’의 양상과 의미
The aspect and meaning of ‘courage’ portrayed in Hwa Im's poem
한국언어문화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화 시에 나타난 ‘용기’의 양상과 의미
The aspect and meaning of ‘courage’ portrayed in Hwa Im's poem
한국언어문화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염상섭 초기소설의 여성의식
Female Consciousness of Yeom Sang-Seop's Early Novels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염상섭 초기소설의 여성의식
Female Consciousness of Yeom Sang-Seop's Early Novels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적 주체와 ‘거절’의 논리, 그리고 대타자의 위상
The Logic of Modern Subject and ‘Die Versagung’ and The Status of big Other
영어권문화연구 |
5 |
1 |
2012 |
기타영문학
조선 제2세대 여류문인에게 있어서 근대주체의 문제 — 노천명의 경우
The issue with the modern subjects for the second generation female writers of Chosun — In the case of the poet, Cheon-myeong Noh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