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사건

연구분야 : A020206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현대사

클래스 : 사건명/회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3367

한자 : 濟州四三事件

y03-01 사건명/회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제주 사삼 항쟁 [ 濟州四三抗爭 ]

UF (비우선어)

 

 

제주 사삼 사건 [ 濟州四三事件 ]

UF (비우선어)

 

 

제주도 사삼 사건 [ 濟州島四三事件 ]

UF (비우선어)

 

 

제주도 4.3 사건 [ 濟州島四三事件 ]

UF (비우선어)

 

 

제주 4.3 항쟁 [ 濟州四三抗爭 ]

UF (비우선어)

 

 

사삼 사건 [ 四三事件 ]

UF (비우선어)

 

 

4.3 제주도 폭동 사건 [ 四三濟州道暴動事件 ]

UF (비우선어)

 

 

제주도 폭동 사건 [ 濟州道暴動事件 ]

UF (비우선어)

 

 

4.3 사건 [ 四三事件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민주화 운동 () [ 民主化運動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제주 4.3 평화공원 () [ 濟州四三平和公園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을 위한 특별법

RT (관련어)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여수순천 사건 () [ 麗水順天事件 ]

19~20세기 동북아시아에서 제주도의 지정학적 인식

Geopolitical Perception on Jeju Island in the Northeast Asia, 19~20th Centuries

한국민족문화 | 40 | 2011 | 기타인문학

집단학살의 기억과 서사적 대응

Narrative Response for Memory of Genocide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미군 고문관들의 제주4․3 경험과 인식 - 1948년 제주도에 파견된 미국 고문관들을 중심으로

The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U.S. Military Advisors about Jeju 4.3: Focusing on the advisors who were assigned to Jejudo Constabulary in 1948

민주주의와 인권 | 11 | 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