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접성

연구분야 : A030105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 논리학/논리철학

클래스 : 기질/품질/형질/성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3403

한자 : 近接性
영어 : approach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NT (하위어)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이슈 근접성 [ --近接性 ]

R1:개념적

RT (관련어)

 

 

근접학 [ 近接學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c01-03 수준/정도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거의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뉴스 가치 [ --價値 ]

묘비명에 대한 수사학적 소고 - 국립5․18민주묘지 묘비명을 중심으로 -

Eine rhetorische Untersuchung des Epitaphes - 18. Mai National-Friedhof

수사학 | 13 | 2010 | 기타인문학

묘비명에 대한 수사학적 소고 - 국립5․18민주묘지 묘비명을 중심으로 -

Eine rhetorische Untersuchung des Epitaphes - 18. Mai National-Friedhof

수사학 | | 13 | 2010 | 기타인문학

범죄기회요인과 지역특성이 가구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Assessing the Criminal Opportunities and Neighborhood Effects on Household Victimization

형사정책연구 | 22 | 3 | 2011 | 법학

지역 혁신과 글로벌 네트워크: 이론적 논의의 비판적 검토와 초국가적 민족 공동체의 역할

Regional Innovation and Global Networks: Critical Review of Theoretical Arguments and the Role of Transnational Ethnic Communities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13 | 2 | 2010 | 지리학

지역 혁신과 글로벌 네트워크: 이론적 논의의 비판적 검토와 초국가적 민족 공동체의 역할

Regional Innovation and Global Networks: Critical Review of Theoretical Arguments and the Role of Transnational Ethnic Communities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13 | 2 | 2010 | 지리학

농어촌 민박지역의 입지특성에 관한 고찰

Consider the Location Characteristic of Minbak Area in Rural Area

동북아관광연구 | 8 | 2 | 2012 | 기타관광학

타자를 위한 책임으로 구현되는 레비나스의 양심

Levinas's Conscience : the incarnation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윤리교육연구 | 25 | 2011 | 윤리교육학

색 변화 사건의 인과성 지각에 미치는 거리와 접촉 효과

The effects of proximity and contact on the causality perception in the event of an object's color chang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3 | 2 | 2011 | 심리과학

한국의 범죄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for Criminal Victimization in South Korea

형사정책연구 | 21 | 3 | 2010 | 법학

한국의 범죄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for Criminal Victimization in South Korea

형사정책연구 | 21 | 3 | 2010 | 법학

부사 '거의'의미 연구

The semantic research on adverb ‘geoui’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