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목월 시에 나타난 경상도 방언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Gyeongsang Provinces dialect in Park, Mok-Yeoul' poems
한국문예비평연구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시뮬레이션 모형에 의한 조사 ‘-로’의 통합적 연구
An Integrated Study of the Particle ‘-ro’ Based on Simulation Model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뮬레이션 모형에 의한 조사 ‘-로’의 통합적 연구
An Integrated Study of the Particle ‘-ro’ Based on Simulation Model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
『셔유록』에 나타난 강릉 지역어의 특징
On characteristics in Gangnueng regional dialect reflected in 「Syeojurok(셔유록)」
우리말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외래어 차용의 형태론적 양상
Morphological Aspects in the course of Borrowing
반교어문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향가 문법 형태의 표기에 반영된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
The old and renovat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 문법 형태의 표기에 반영된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
The old and renovat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경북 방언의 문법 - 경북출신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rammar of Gyeongbuk Dialect in Japanese imperialism period -with as the central figure on dialect in literary works be mentioned by authors of native of Gyeongbuk-
우리말글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경북 방언의 문법 - 경북출신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rammar of Gyeongbuk Dialect in Japanese imperialism period -with as the central figure on dialect in literary works be mentioned by authors of native of Gyeongbuk-
우리말글 |
50 |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의 문법화에 대한 재고
Reflection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Korean Language.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의 문법화에 대한 재고
Reflection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Korean Language.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통제작문의 반복형성평가를 사용한 교사 피드백이 학습자의 문법구조 사용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 feedback on linguistic forms in students' controlled writing through repeated tasks.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9 |
3 |
2012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