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A090700 인문학 > 언어학 > 화용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391
STNet ID : 1000355
한자 : 文法化
동의어(UF) : 어법화(語法化)
기타 : 语法化
독일어 : Grammatikalisierung
영어 : grammaticalization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
언어변이 |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B2:전체 |
BT (상위어) |
|
|
|
R1:개념적 |
RT (관련어) |
|
|
|
|
RT (관련어) |
|
|
|
|
RT (관련어) |
유사 |
|
시제, 상, 양태
Tense, Aspect, and Modality
國語學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언어 능력과 인지 능력의 상관관계
A Study on the Corelation between Linguistic Competence and Cognitive Abilities
한글 | 287 | 2010 | 한국어와문학
언어 능력과 인지 능력의 상관관계
A Study on the Corelation between Linguistic Competence and Cognitive Abilities
한글 | | 28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자 어근 ‘순(純)’의 단어화와 화용화 - 단음절 한자 어근의 어휘사 -
Adnomial monosyllabic sino-korean modifier sun(純)and its acquisition of grammatical status and pragmaticalization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어휘 변화의 세 방향- ‘보-’를 중심으로 -
The three ways of the lexical change
형태론 | 14 | 1 | 2012 | 언어학
中世國語 連結語尾 形成의 文法史 -‘-오ᄃᆡ, -은ᄃᆡ, -은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achronic Formation of Middle Korean Conjunctive Ending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中世國語 連結語尾 形成의 文法史 -‘-오ᄃᆡ, -은ᄃᆡ, -은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achronic Formation of Middle Korean Conjunctive Ending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러시아어의 비행위주성. 생성문법적 고찰
Anti-agentivity of Russian. A Generativist Explanation
러시아연구 | 20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러시아어의 비행위주성. 생성문법적 고찰
Anti-agentivity of Russian. A Generativist Explanation
러시아연구 | 20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성조에 의한 어미의 분류 -중세국어를 중심으로-
中世韓国語における声調による語尾の分類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특수조사 ‘-(이)나마’의 문법화 연구
Diachronic Research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Delimiter (i)nama,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특수조사 ‘-(이)나마’의 문법화 연구
Diachronic Research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Delimiter (i)nama,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접과 양태의 상관관계 고찰: ‘-인가’를 중심으로
Correlation between Disjunction and Modality: focused on ‘-inka’
國語學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국어 어미 ‘느’의 범주와 변화
The grammatical category and semantic change of prefinal ending ‘neu’ in Modern Korean
國語學 | 59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국어 어미 ‘느’의 범주와 변화
The grammatical category and semantic change of prefinal ending ‘neu’ in Modern Korean
國語學 | | 59 | 2010 | 한국어와문학
On Semantic Change of From: A Grammaticalization Perspective
현대영미어문학 | 28 | 1 | 2010 | 영어와문학
On Semantic Change of From: A Grammaticalization Perspective
현대영미어문학 | 28 | 1 | 2010 | 영어와문학
영어 조동사 shall의 소멸에 대하여
On the Obsolescence of English Auxiliary Shall
현대문법연구 | 64 | 2011 | 영어와문학
독일어의 인식양태와 증거성 표현에 대한 연구
Evidentialität und epitemische Modalität im Deutschen
독어학 | 25 | 2012 | 독일어와문학
「-MAE NI」節와 「-(기) 前(에)」節에 대한 대조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MAE NI Clause’ and ‘-KI CEN EY Clause’
일본학보 | 92 | 2012 | 일본어와문학
{만큼}의 문법적 특성에 대하여
A Study on the grammatical property {mankum}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V+有’에서 ‘有’의 상표지 기능 연구
중국어문학 | 56 | 2010 | 중국어와문학
‘V+有’에서 ‘有’의 상표지 기능 연구
중국어문학 | | 56 | 2010 | 중국어와문학
통신언어에 나타난 역문법화 현상 고찰 - 접두사 ‘개-’의 용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Grammaticalization in the Internet Language - Centering on Usage of ‘gae-’ as a prefix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ないまえ(前)に」節과 「~기 전(前)에」節 - 한일대조를 중심으로 -
On the `-NAI MAENI` Clause and `-ki cen ey` Clause
일본연구 | 17 | 2012 | 일본어와문학
‘V+有’에서 ‘有’의 상표지 기능 연구
중국어문학 | 56 | 2010 | 중국어와문학
‘V+有’에서 ‘有’의 상표지 기능 연구
중국어문학 | | 56 | 2010 | 중국어와문학
‘-고져’의 문법 기능 변화와 해석
The functional change in grammar of ‘-kwocye’ and interpretation
형태론 | 12 | 1 | 2010 | 언어학
‘-고져’의 문법 기능 변화와 해석
The functional change in grammar of ‘-kwocye’ and interpretation
형태론 | 12 | 1 | 2010 | 언어학
문법화와 부정관사 UN의 진화
La grammaticalisation et l'évolution de l'article 'UN'
프랑스어문교육 | 38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말하다” 동사의 분사형의 한국어 번역에 대하여
On Korean Translation of Participles of SAYING verbs
신약연구 | 9 | 3 | 2010 | 신약학
“말하다” 동사의 분사형의 한국어 번역에 대하여
On Korean Translation of Participles of SAYING verbs
신약연구 | 9 | 3 | 2010 | 신약학
‘아니요, 아니에요’의 敬語法과 文法的 特徵
The Gammatical and Hnorific Fature of ‘aniyo(아니요) and anieyo(아니에요)’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아니요, 아니에요’의 敬語法과 文法的 特徵
The Gammatical and Hnorific Fature of ‘aniyo(아니요) and anieyo(아니에요)’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경상방언 담화표지 ‘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marker ‘ma’ in Gyeongsang Dialects
배달말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룩셈부르크어 geben + PP-수동형의 생성
Das geben-Passiv im Luxemburgischen
독어교육 | 49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룩셈부르크어 geben + PP-수동형의 생성
Das geben-Passiv im Luxemburgischen
독어교육 | 49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러시아어 양상술어의 의미 확장과 다기능성
A Study on Semantic Expansion and Polyfunctionality of Russian Modal Predicates - with special focus on ‘мочь’ and ‘должен’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러시아어 양상술어의 의미 확장과 다기능성
A Study on Semantic Expansion and Polyfunctionality of Russian Modal Predicates - with special focus on ‘мочь’ and ‘должен’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 3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반말체 어미 '-게'의 문법화와 의미 변화
Grammaticalization and meaning change of Panmal style ending -ge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시키-’의 통사와 의미에 대하여
A Study on 'sikhi-'(시키-) from its Syntatic and Semantic Aspect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담화표지 ‘그냥’, ‘그저’, ‘그만’의 방언 분화
Dialectal variation of Korean discourse markers, 'geunyang', 'geujeo' and 'geuman'
방언학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담화표지 ‘그냥’, ‘그저’, ‘그만’의 방언 분화
Dialectal variation of Korean discourse markers, 'geunyang', 'geujeo' and 'geuman'
방언학 |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의 범용 어미 발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wo o rMore Functional Finial Endings during the Last Part of the 19th Century
한국언어문학 | 80 | 2012 | 한국어와문학
표현 문형 ‘-은/는 것이다’의 담화 기능
Discourse Functions of ‘-eun/neun + geos-ida’.
한국어교육 | 22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일 보조동사 표현 고찰 -‘ていく․てくる’를 중심으로-
日․韓補助動詞の表現について -‘ていく・てくる’を中心に-
일본언어문화 | 16 | 2010 | 기타일본어학
한․일 보조동사 표현 고찰 -‘ていく․てくる’를 중심으로-
日․韓補助動詞の表現について -‘ていく・てくる’を中心に-
일본언어문화 | | 16 | 2010 | 기타일본어학
「みたいな」と「다는」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
A Contrastive Study on Japanese mitaina and Korean tanun
일본학보 | 89 | 2011 | 일본어와문학
중세국어 조사 '-다려', '-더브러', '-애/ㅅ손대'의 문법
Grammatical property of Locative Case Marker ‘-려’, ‘-더브러’, ‘-/ㅅ손’ in Middle Kore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세국어 조사 '-다려', '-더브러', '-애/ㅅ손대'의 문법
Grammatical property of Locative Case Marker ‘-려’, ‘-더브러’, ‘-/ㅅ손’ in Middle Kore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말다’의 문법적 위상 정립을 위한 통시적 연구
A diachronic study on the grammatical status of 'malda'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말다’의 문법적 위상 정립을 위한 통시적 연구
A diachronic study on the grammatical status of 'malda'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방언 통사론 연구사
A Review of studies on syntax of regional dialect
방언학 | 12 | 2010 | 한국어와문학
방언 통사론 연구사
A Review of studies on syntax of regional dialect
방언학 | | 12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술종결형어미 ‘-단다’의 형성과 의미기능 분석
An Analysis of the declarative ending ‘-tanta’ on its derivational process and its semantic function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文法化理論を応用した日韓語の文末形式に関する対照研究― 「のだ」と「것이다」の意味変化の対比を中心に ―
A Contrastive Study on Japanese and Korean Sentence-Final Predicates : A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emantic Changes of Noda and Kes-ita
일본학보 | 84 | 2010 | 일본어와문학
文法化理論を応用した日韓語の文末形式に関する対照研究― 「のだ」と「것이다」の意味変化の対比を中心に ―
A Contrastive Study on Japanese and Korean Sentence-Final Predicates : A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emantic Changes of Noda and Kes-ita
일본학보 | | 84 | 2010 | 일본어와문학
양태조사 연구―문법화를 통해―
A Study on Mondal Josa: by grammatization
한글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양태조사 연구―문법화를 통해―
A Study on Mondal Josa: by grammatization
한글 |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가치 표현 ‘-을 만하다’의 문법화 연구
Grammaticalization of Value Expression‘-을 만하다' in Korean
언어와언어학 | 55 | 2012 | 언어학
淺談“奴”字的詞義變化和語法化過程
중국학논총 | 35 | 2012 | 중국어와문학
補助動詞[てみる]の意味的共通基盤をめぐって
On the Fundamental Semantic Basis of Japanese Auxiliary Verb te miru
일어일문학연구 | 73 | 1 | 2010 | 일본어와문학
補助動詞[てみる]の意味的共通基盤をめぐって
On the Fundamental Semantic Basis of Japanese Auxiliary Verb te miru
일어일문학연구 | 73 | 1 | 2010 | 일본어와문학
영어 중심서법조동사의 최근 변화
Recent Changes in English Core Modal Auxiliaries
현대문법연구 | 66 | 2011 | 영어와문학
「(ノ)デハナイカ」의 문법화 특징 -주체화(Subjectification)를 중심으로-
「(ノ)デハナイカ」の文法化の特等 ‐-主体化(Subjectification)を中心に-
일본어학연구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ノ)デハナイカ」의 문법화 특징 -주체화(Subjectification)를 중심으로-
「(ノ)デハナイカ」の文法化の特等 ‐-主体化(Subjectification)を中心に-
일본어학연구 |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패러다임과 패러다임의 결합:조건표지 확대 현상의 문법화적 접근
Fused Paradigms: Grammaticalization Approach to Extension of Conditional Markers
한글 | 287 | 2010 | 한국어와문학
패러다임과 패러다임의 결합:조건표지 확대 현상의 문법화적 접근
Fused Paradigms: Grammaticalization Approach to Extension of Conditional Markers
한글 | | 287 | 2010 | 한국어와문학
‘말이다’ 구성의 문법화와 화용화
Grammaticalization and Pragmaticalization of 'mal-ita' constructions
國語學 | 62 | 2011 | 한국어와문학
성조에 의한 어미의 분류 -중세국어를 중심으로-
中世韓国語における声調による語尾の分類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게르만제어에 나타나는 미래시제 조동사의 유형과 그 발달 과정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Development of Future Auxiliaries in the Germanic Languages
독어학 | 22 | 2010 | 독일어와문학
게르만제어에 나타나는 미래시제 조동사의 유형과 그 발달 과정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Development of Future Auxiliaries in the Germanic Languages
독어학 | | 22 | 2010 | 독일어와문학
한국어‘것’구문의 명령용법
On the imperative use of ‘Kes’ constructions in Korean
현대문법연구 | 59 | 2010 | 영어와문학
한국어‘것’구문의 명령용법
On the imperative use of ‘Kes’ constructions in Korean
현대문법연구 | | 59 | 2010 | 영어와문학
Grammatical Evolu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n Ablative
언어과학 | 17 | 1 | 2010 | 언어학
Grammatical Evolu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n Ablative
언어과학 | 17 | 1 | 2010 | 언어학
학습자의 띄어쓰기 인식 양상 연구 - 의존명사와 어미, 의존명사와 조사의 관계를 중심으로 -
Some Aspects of Cognition in Spacing Words.
언어과학연구 | 62 | 2012 | 언어학
성조에 의한 어미의 분류 -중세국어를 중심으로-
中世韓国語における声調による語尾の分類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것’ 구조의 문법화
A Grammaticalization of ‘것’ structure
겨레어문학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븥- + -어’의 문법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Grammaticalization of ‘beut- + - eo’
동남어문논집 | 1 | 33 | 2012 | 기타국어학
‘가지다’ 구성의 문법화에 대한 공시적 분석
The synchronic Analysis on grammaticization of ‘gajida’constructions.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현대국어 ‘-단다’ 구문의 문법화 동기에 대한 고찰
On motivation for Grammaticaization of the quotation structure in Korean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日本語の補助動詞 「-てしまう」 の文法化 ― 主観化、間主観化を中心に ―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Japanese auxiliary verb ‘-te shimau’ -Focusing on Subjectification and Intersubjectification-
일본연구 | 15 | 2011 | 일본어와문학
‘給’의 문법화 양상과 그 기제
Aspects and Mechanisms of Grammaticalization of Gei
언어와 정보 사회 | 17 | 2012 | 기타언어학
청자-화자간 역동과 유럽언어 대명사의 변화
언어학 | 20 | 2 | 2012 | 언어학
국어의 문법화에 대한 재고
Reflection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Korean Language.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의 문법화에 대한 재고
Reflection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Korean Language.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Grammatikalisierung: Wortgruppe - Wortbildung - Präposition
문법화: 단어그룹-조어-전치사
독일어문화권연구 | 19 | 2010 | 기타인문학
Grammatikalisierung: Wortgruppe - Wortbildung - Präposition
문법화: 단어그룹-조어-전치사
독일어문화권연구 | | 19 | 2010 | 기타인문학
담화 표지 연구에 드러난 몇 가지 의문
Some Questions in Studies on Discourse Marker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담화 표지 연구에 드러난 몇 가지 의문
Some Questions in Studies on Discourse Marker
배달말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依存名詞의 文法化 程度와 樣態的인 意味 -‘-기 마련이다, -는 법이다, -기 십상이다, -기 일쑤이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in Korean nouns and modal meaning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그런데’의 담화 기능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Functions of '그런데'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Semantic-functional Diversity of English Preposition To and Its Implications to Language Education
영어전치사 to의 다양한 의미-기능에 대한 효과적인 외국어학습방법
외국어교육연구 | 26 | 2 | 2012 | 외국어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