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틀러(J. Butler)의 ‘수행성 정치’ 이론의 정치학적 공헌과 한계
Judith Butler's Theory of ‘Politics of the Performative’: Its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to Politics as a Practical Discipline
대한정치학회보 |
19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지방자치제도 발전을 위한 헌법재판의 과제
La collectivité locale au nom de la démocratisation de l’État et la Cour constitutionnelle
지방자치법연구 |
11 |
3 |
2011 |
법학
J. S. Mill의 민주주의론에서 ‘참여’의 헌법이론적 의의
J. S. Mill on Participatory Democracy
공법연구 |
40 |
1 |
2011 |
법학
굿 거버넌스 연구 분석틀: 로컬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Local Good Governance: A Research Framework
한국정치연구 |
20 |
2 |
2011 |
한국정치사회
조소앙의 삼균주의와 헌법사상
“Principle of Three Equalities” (Samgyunjuyi), Thought of So-Ang Cho and Constitutional Ideas of Korea
민주법학 |
48 |
2012 |
법학
인터넷 정치참여와 대의민주주의의 위기극복을 위한 대안모색
The Study about the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risis overcome of Representative democracy
홍익법학 |
11 |
3 |
2010 |
법학
인터넷 정치참여와 대의민주주의의 위기극복을 위한 대안모색
The Study about the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risis overcome of Representative democracy
홍익법학 |
11 |
3 |
2010 |
법학
현행 주민소환제의 민주주의원리에 따른 검토 ― 헌법재판소의 하남시장 소환결정 법리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 ―
Is the Recall Compatible with Representative Democracy? ― A Critical Approach on the Mayor of Hanam City Case ―
공법연구 |
38 |
3 |
2010 |
법학
현행 주민소환제의 민주주의원리에 따른 검토 ― 헌법재판소의 하남시장 소환결정 법리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 ―
Is the Recall Compatible with Representative Democracy? ― A Critical Approach on the Mayor of Hanam City Case ―
공법연구 |
38 |
3 |
2010 |
법학
한나 아렌트의 정치사상에 비춰 본 1987년 이후 한국의 참여민주주의
Understanding S. Korea's Participatory Democracy after 1987 onwards with Special Reference to Hannah Arendt's Political Thought
국제정치논총 |
52 |
3 |
2012 |
정치외교학
전자정부 시민참여 서비스의 전환과 정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쟁점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활용 현황을 중심으로
The Transformation of e-Government Citizen’s Service and Government Mobile Application Problem : Focus o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pplication Use
의정연구 |
17 |
2 |
2011 |
정치외교학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의 헌법 고찰
Study on the Communitarian Constitution
세계헌법연구 |
16 |
2 |
2010 |
법학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의 헌법 고찰
Study on the Communitarian Constitution
세계헌법연구 |
16 |
2 |
2010 |
법학
세계화, 정보화 시대의 민주주의와 시민교육의 방향
The Direction of Democracy and Citizenship Education in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사회과교육연구 |
17 |
1 |
2010 |
사회교육학
세계화, 정보화 시대의 민주주의와 시민교육의 방향
The Direction of Democracy and Citizenship Education in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사회과교육연구 |
17 |
1 |
2010 |
사회교육학
주민소환제의 헌법적 의미 - 헌재 2009. 3. 26 선고 2007헌마843 결정을 중심으로 -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n Recall
지방자치법연구 |
12 |
3 |
2012 |
법학
심의민주주의적 정책결정의 논리와 한계
The Logic and Limitation of The Deliverative Policy Making
한국행정논집 |
22 |
3 |
2010 |
행정학
심의민주주의적 정책결정의 논리와 한계
The Logic and Limitation of The Deliverative Policy Making
한국행정논집 |
22 |
3 |
2010 |
행정학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port Cards in the Accountability Policy of the No Child Left Behind Act
어떤 어린이도 학습에 뒤처질 수 없다 법령의 성적 책침 정책 속에 만들어지는 성적표에 대한 교육적 함축
외국어교육연구 |
25 |
2 |
2011 |
외국어교육학
대중에서 시민으로: 참여적 시민의 형성을 위하여
From the Mass into Citizen: For the Participating Citizen
한국정치학회보 |
45 |
5 |
2011 |
정치외교학
한국적 타운미팅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연구 : 평택 채소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Town Meeting of Korea
지방행정연구 |
25 |
3 |
2011 |
행정학
김대중ㆍ노무현 정부 복지국가 성격에 관한 연구: 국민건강보험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Nature of the Welfare State under the Kim Dae Jung and Roh Moo Hyun Regime: Focusing on Civic Participation in the Policy Decision Making Procedure fo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사회복지연구 |
42 |
1 |
2011 |
사회복지학
사회주의적 도시정치의 경험 런던 광역시의회의 지역사회주의 실험
A Case of Socialist Urban Politics: The Experiment of Local Socialism of the Greater London Council
마르크스주의 연구 |
7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사회주의적 도시정치의 경험 런던 광역시의회의 지역사회주의 실험
A Case of Socialist Urban Politics: The Experiment of Local Socialism of the Greater London Council
마르크스주의 연구 |
7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헌법 제72조 정책국민투표의 바람직한 운용
The Referendum on “Important policies”
헌법학연구 |
17 |
1 |
2011 |
헌법
An Alternative Democratic Process Ordinary People Really Want in South Korea: Belief in Stealth Democracy
한국에서 일반국민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대안적 민주주의: 스텔스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
비교민주주의연구 |
6 |
2 |
2010 |
정치권력/정치과정
An Alternative Democratic Process Ordinary People Really Want in South Korea: Belief in Stealth Democracy
한국에서 일반국민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대안적 민주주의: 스텔스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
비교민주주의연구 |
6 |
2 |
2010 |
정치권력/정치과정
참여민주주의적 관점에서 본 2007 개정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 정치단원의 참여 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Participation in the Politics Section of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by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Participatory Democracy.
시민교육연구 |
44 |
2 |
2012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