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

연구분야 : G040303 예술체육 > 디자인 > 시각정보디자인 > 이미지디자인

클래스 : 패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398

한자 : 文樣
영어 : pattern

e02-02 패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무늬

N1:종류

hasKind (종류)

 

e02-02 패턴 패턴

동물 문양 [ 動物文樣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꽃 문양 () [ --文樣 ]

hasKind (종류)

 

e02-02 패턴 패턴

연꽃 문양 [ 蓮--文樣 ]

hasKind (종류)

 

e02-02 패턴 패턴

전통 문양 [ 傳統文樣 ]

hasKind (종류)

 

e02-02 패턴 패턴

박지 문양 [ 剝地紋樣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당초문 [ 唐草紋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상감 기법 () [ 象嵌技法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패턴 디자인 [pattern design]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화염문 [ 火炎紋 ]

소재와 문양분석을 통한 사이버쇼핑몰의 전통문화상품 디자인 특성 고찰

tudies on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roduct Design in Online Shopping malls by Analyzing its Materials and Patterns

한국디자인포럼 | 31 | 2011 | 디자인

신화를 통해 본 고구려 관모의 상징성

Symbolic Meanings of Goguryeo Official Headgear Examined from Mythologies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1 | 2010 | 디자인

신화를 통해 본 고구려 관모의 상징성

Symbolic Meanings of Goguryeo Official Headgear Examined from Mythologies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1 | 2010 | 디자인

발해주민의 표현 및 장식-응용미술 - 연해주 유적 발굴조사 자료를 통해 -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한국ᆞ중국ᆞ일본 전통복식에 나타난 문양의 조형적 특성과 조형미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on Pattern Featured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Dress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12 | 2 | 2010 | 의상

한국ᆞ중국ᆞ일본 전통복식에 나타난 문양의 조형적 특성과 조형미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on Pattern Featured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Dress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12 | 2 | 2010 | 의상

발해주민의 표현 및 장식-응용미술 - 연해주 유적 발굴조사 자료를 통해 -

Decorative arts of Balhae people (by the data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in Primorye)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성주사지 출토 평기와 제작기법의 변천과 실측기법 제안

The Changes in manufacturing techniques of Plain Roofing-tiles excavated from the site of Seongju-temple in Boryeong and the Proposal of their Measurement techniques

역사와 담론 | 62 | 2012 | 역사학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번지는 이미지 문양의 염색기법과 조형미

Dyeing Technique and Aesthetics of Diffusing Image Pattern in Fashion Collection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14 | 3 | 2012 | 의상

암사동 유적 신석기시대 토기의 시문기법

A study of engraving technique in the Amsa-dong pottery

한국신석기연구 | 20 | 2010 | 역사학

암사동 유적 신석기시대 토기의 시문기법

A study of engraving technique in the Amsa-dong pottery

한국신석기연구 | | 20 | 2010 | 역사학

漢代 吉祥銘文 瓦當과 吉祥紋樣과의 상관성 연구 -雲紋, 瑞鳥, 樹木을 중심으로-

The correlation study of Han Dynasty's auspicious Wadang characters and the auspicious patterns

동아시아고대학 | 22 | 2010 | 기타인문학

漢代 吉祥銘文 瓦當과 吉祥紋樣과의 상관성 연구 -雲紋, 瑞鳥, 樹木을 중심으로-

The correlation study of Han Dynasty's auspicious Wadang characters and the auspicious patterns

동아시아고대학 | | 22 | 2010 | 기타인문학

한중일 궁궐건축 지붕부 의장특성 비교연구 : 장식, 패턴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 in traditional palacesof Korea, China and Japan: focussing on the symbolism of the decoration and the pattern

기초조형학연구 | 12 | 1 | 2011 | 예술일반

분청사기 시문기법(施文技法)에 나타난 미감적 특성 고찰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inscribed pattern techniques of Buncheongsagi

기초조형학연구 | 12 | 5 | 2011 | 예술일반

근·현대 나전도안과 공예품의 수급(需給)형태 - 중요무형문화재 제10호 나전장 송방웅 소장 나전도안을 중심으로 -

Patterns of Mother-of-Pearl Craftwork Sketches and the Way of Supply and Demand of the Works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문화재 | 43 | 3 | 2010 | 역사학

근·현대 나전도안과 공예품의 수급(需給)형태 - 중요무형문화재 제10호 나전장 송방웅 소장 나전도안을 중심으로 -

Patterns of Mother-of-Pearl Craftwork Sketches and the Way of Supply and Demand of the Works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문화재 | 43 | 3 | 2010 | 역사학

新羅 古式수막새의 製作技法과 系統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Lineage of Shilla Old Style Roof-End Tiles in Gyeongju

한국상고사학보 | 70 | 70 | 2010 | 역사학

新羅 古式수막새의 製作技法과 系統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Lineage of Shilla Old Style Roof-End Tiles in Gyeongju

한국상고사학보 | 70 | 70 | 2010 | 역사학

나전을 활용한 문화상품의 디자인 표현특성 분석

Analysis of Design Characteristics on Nacre Products

한국디자인포럼 | 28 | 2010 | 디자인

나전을 활용한 문화상품의 디자인 표현특성 분석

Analysis of Design Characteristics on Nacre Products

한국디자인포럼 | | 28 | 2010 | 디자인

한국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저마의 패션디자인 개발

The Fashion Design Development of Hansan Ramie Focusing on Korean Image

한복문화 | 14 | 1 | 2011 | 의상

조선백자에 표현된 문양을 이용한 티셔츠 직물디자인 개발 -18세기 청화백자를 중심으로-

Using Patterns that Appeared on Blue and White Porcelain in the Joseon Dynasty for the Development of T-shirt Textile Designs

디자인학연구 | 24 | 3 | 2011 | 디자인

핸드백 브랜드의 소재를 위한 로고 문양 디자인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s Design with Logo for Media of Handbag Brand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10 | 3 | 2011 | 기타디자인

고려불화에 표현된 복식 문양 연구

The Patterns on Costumes in The Buddhist Painting of Goryeo Dynasty

한복문화 | 13 | 2 | 2010 | 의상

고려불화에 표현된 복식 문양 연구

The Patterns on Costumes in The Buddhist Painting of Goryeo Dynasty

한복문화 | 13 | 2 | 2010 | 의상

제주옹기의 조형성(造形性)연구

A Study of Plasticity of Jeju Onggi

한국도자학연구 | 7 | 2 | 2011 | 기타미술

한국 전통 창살문양을 활용한 CAD 디지털 주얼리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D Digital Jewellery Design Applying the Korean Traditional Window Patterns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37 | 2011 | 정보디자인

핸드페인팅 도자식기의 문양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d-painting ceramic tableware pattern type and ceramic tableware's characteristics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22 | 2010 | 기타예술체육

핸드페인팅 도자식기의 문양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d-painting ceramic tableware pattern type and ceramic tableware's characteristics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 22 | 2010 | 기타예술체육

조선시대 초상화 상복에 나타난 문양 연구 - 사모와 단령 문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tterns appearing in the ordinary dress of the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during Cho Sun Dynasty

한복문화 | 14 | 1 | 2011 | 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