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연구분야 : B170500 사회과학 > 지역개발 > 도시계획/설계/개발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4085

한자 : 新都市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뉴타운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도시 () [ 都市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위성 도시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통근권 [ 通勤圈 ]

RT (관련어)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주거 불평등 () [ 住居不平等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신도심 [ 新道心 ]

RT (관련어)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b01-03 경제/산업활동 /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도시 개발 [ 都市開發 ]

RT (관련어)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신 도시화 [ 新都市化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송도 [ 松島 ]

우리나라 도시정책의 변화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of Urban Policies in Korea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2 | 4 | 2010 | 국제/지역개발

우리나라 도시정책의 변화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of Urban Policies in Korea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2 | 4 | 2010 | 국제/지역개발

간판매체에 반영된 주변화 양상과 지역인의 의식 - 부산 정관 덕산마을을 중심으로 -

Marginalization Trends Reflected on Signboards and Native’s Cognition - The Case of Deoksan Village in Jeonggwan, Busan -

문화역사지리 | 24 | 2 | 2012 | 인문지리학

수도권 신도시 중심상업지의 획지규모별 건축물의 개발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Building Type by Plot Size on the Central Commercial Area in Newtown

도시설계 | 11 | 1 | 2010 | 도시개발/계획

수도권 신도시 중심상업지의 획지규모별 건축물의 개발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Building Type by Plot Size on the Central Commercial Area in Newtown

도시설계 | 11 | 1 | 2010 | 도시개발/계획

신도시 공동개발시의 개발방식 및 비용분담방안 고찰 -사업대상지 분할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Method and Way of Cost Sharing on the Common Development in New Town

부동산연구 | 21 | 1 | 2011 | 토지/부동산/주택/농지법

신도시의 자족용지 산정기준에 관한 연구: 상업업무용지 및 제조업용지 원단위를 중심으로

Analyzing the Allocation Criterion of Land Use to Enhance Self-sufficiency of New Towns

국토연구 | 69 | 2011 |

신도시 개발이 도시공간구조에 미친 영향: 수도권 1기 신도시가 인구 및 고용분포 변화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New Town Development on Urban Spatial Structure : The Change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Distribu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by the Five New Towns

국토연구 | 64 | 2010 |

신도시 개발이 도시공간구조에 미친 영향: 수도권 1기 신도시가 인구 및 고용분포 변화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New Town Development on Urban Spatial Structure : The Change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Distribu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by the Five New Towns

국토연구 | 64 | | 2010 |

신도시의 통합적 공간환경 조성을 위한 디자인 관리체계 개선

The Improvement of Design Management System for Creating Comprehensive Spatial Environment in New Town

도시설계 | 12 | 6 | 2011 | 도시개발/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