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집

연구분야 : A000000 인문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420

한자 : 文集
영어 : collection of works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논문집 [ 論文集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시문집 () [ 詩文集 ]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연보 [ 年譜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행장 (기록) [ 行狀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서문 [ 序文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별집 [ 別集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운곡잡저 [ 雲谷雜著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우담집 [ 愚潭集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병곡 문집 [ 屛谷文集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퇴계선생문집 () [ 退溪先生文集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남명선생문집 () [ 南冥先生文集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겸재집 [ 謙齋集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포은집 [ 圃隱集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동강 유고 [ 東岡遺稿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병와문집 [ 甁窩文集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성암유고 () [ 誠菴遺稿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졸고천백 () [ 拙藁千百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상곡집 () [ 商谷集 ]

또 다른 가게키요(景清), 경청(景清)에 대한 일고찰 -조선시대(朝鮮時代) 서적을 중심으로-

Another「Kagekiyo」, One consideration on「Kyung chung」

일어일문학 | 54 | 2012 | 일본어와문학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문집류 책판의 성격과 가치

The Nature and Value of Woodblocks Housed in Korea Studies Advancement Center including Type of the Collections of Works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문집류 책판의 성격과 가치

The Nature and Value of Woodblocks Housed in Korea Studies Advancement Center including Type of the Collections of Works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유배인의 현황과 문화자원의 활용-전남지역을 중심으로-

The Situation of Exiles and Making Use of Cultural Resources in Chosun Period -Focusing on Jeonam Province-

역사학연구 | 40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유배인의 현황과 문화자원의 활용-전남지역을 중심으로-

The Situation of Exiles and Making Use of Cultural Resources in Chosun Period -Focusing on Jeonam Province-

역사학연구 | | 40 | 2010 | 역사학

許筠 文集 번역과 한문 고전 번역의 몇 가지 문제

Problems of Translation of Heo Kyun’s Collecton of Works and Classics in Classical Chinese\

한국시가문화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대 개항장도시 일본인의 생활세계와 식민지인식에 대한 실증연구 - 동창회·향우회 명부, 사진첩, 추억록의 분석 -

An Empirical Study on the Life and Colony Recognition of the Japanese Who Lived in the Open Port Area during the Colonial Era

한국도서연구 | 23 | 2 | 2011 | 지역학

朝鮮刊 蘇軾 詩文集 및 文集 板本 小考

The study on the editions of the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and the collections of prose by Su shi(蘇軾) pressed in Korea

중국문학 | 63 | 2010 | 중국어와문학

朝鮮刊 蘇軾 詩文集 및 文集 板本 小考

The study on the editions of the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and the collections of prose by Su shi(蘇軾) pressed in Korea

중국문학 | 63 | | 2010 | 중국어와문학

고려시대 대장경·문집·고문서 자료의 정보화 현황과 전산화 방안

A Study on the Method of Computerization about the Tripitaka(大臧經) & Miscellany(文集) & Historical Manuscripts(古文書) that was written at Period of the Goryeo Dynasty(高麗王朝)

한국중세사연구 | 30 | 2011 | 역사학

14세기 왜구의 경상도 侵寇과 書籍 간행

The 14th century Gyeongsang-do(慶尙道) invasion of Waegu(倭寇) and book published

일본근대학연구 | 35 | 2012 | 일본문화학

책판 제작의 사회·문화적 의의 ―19세기~20세기 초 영남 지방의 문집 간행 사례를 중심으로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Printing Plate Making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책판 제작의 사회·문화적 의의 ―19세기~20세기 초 영남 지방의 문집 간행 사례를 중심으로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Printing Plate Making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