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4378
한자 : 代議 民主 主義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S:동의 |
Use (우선어) |
|
|
민주주의의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 고대의 역사적 경험과 현대
Where does Democracy comes from? A Historical Experience of Ancient and Modern
경제와 사회 | 88 | 2010 | 사회학
민주주의의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 고대의 역사적 경험과 현대
Where does Democracy comes from? A Historical Experience of Ancient and Modern
경제와 사회 | | 88 | 2010 | 사회학
주민소송․주민투표․주민소환을 중심으로 한 주민참여법제 小考
Die Rechtslehre der Bürgerbeteiligung durch Bürgerklage, Bürgerentscheid und Abwahl
지방자치법연구 | 11 | 3 | 2011 | 법학
아렌트(H. Arendt)의 연방 평의회 체제와 한국 민주주의
The System of Federal Council in Arendt and the Question of Democracy in Korea
시민사회와 NGO | 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아렌트(H. Arendt)의 연방 평의회 체제와 한국 민주주의
The System of Federal Council in Arendt and the Question of Democracy in Korea
시민사회와 NGO | 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서구 정치사상에서 국가의 규모, 민주주의 그리고 중국의 정치체제
Western Discourses on the Relations of Size of States and Democracy, and the Political System of China
비교민주주의연구 | 7 | 2 | 2011 | 정치권력/정치과정
초국가주의와 “민주주의 결핍(Democratic Deficit)”: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Supranationalism and the ‘Democratic Deficit’: the Case of the European Union
유럽연구 | 29 | 1 | 2011 | 지역학
민주주의 정치이론과 헌법원리: 자유주의적 이해를 넘어
Democracy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beyond the liberal understanding
공법연구 | 39 | 1 | 2010 | 법학
민주주의 정치이론과 헌법원리: 자유주의적 이해를 넘어
Democracy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beyond the liberal understanding
공법연구 | 39 | 1 | 2010 | 법학
An Alternative Democratic Process Ordinary People Really Want in South Korea: Belief in Stealth Democracy
한국에서 일반국민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대안적 민주주의: 스텔스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
비교민주주의연구 | 6 | 2 | 2010 | 정치권력/정치과정
An Alternative Democratic Process Ordinary People Really Want in South Korea: Belief in Stealth Democracy
한국에서 일반국민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대안적 민주주의: 스텔스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
비교민주주의연구 | 6 | 2 | 2010 | 정치권력/정치과정
전국단위 수준의 선거주기 조정에 대한 시론적 고찰
Contemporary Study on Cycle Adjustment of National Level Elections
의정연구 | 17 | 1 | 2011 | 정치외교학
현행 주민소환제의 민주주의원리에 따른 검토 ― 헌법재판소의 하남시장 소환결정 법리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 ―
Is the Recall Compatible with Representative Democracy? ― A Critical Approach on the Mayor of Hanam City Case ―
공법연구 | 38 | 3 | 2010 | 법학
현행 주민소환제의 민주주의원리에 따른 검토 ― 헌법재판소의 하남시장 소환결정 법리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 ―
Is the Recall Compatible with Representative Democracy? ― A Critical Approach on the Mayor of Hanam City Case ―
공법연구 | 38 | 3 | 2010 | 법학
심의민주주의적 정책결정의 논리와 한계
The Logic and Limitation of The Deliverative Policy Making
한국행정논집 | 22 | 3 | 2010 | 행정학
심의민주주의적 정책결정의 논리와 한계
The Logic and Limitation of The Deliverative Policy Making
한국행정논집 | 22 | 3 | 2010 | 행정학
입법과정과 입법의 민주적 정당성
Legislative Process and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Law
서울대학교 법학 | 52 | 4 | 2011 | 법학
주민소환제의 헌법적 의미 - 헌재 2009. 3. 26 선고 2007헌마843 결정을 중심으로 -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n Recall
지방자치법연구 | 12 | 3 | 2012 | 법학
‘민주주의 이후의 민주화론’에 대한 맑스주의적 비판
Marxist criticism on the theory of democrat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정보사회 민주주의의 이론적 재검토 ― 직접민주제 구현 vs. 대의민주제 보완 ―
Democracy in the Information Society: A Polemic Review between Prototype and Transformation
미국헌법연구 | 21 | 3 | 2010 | 헌법
정보사회 민주주의의 이론적 재검토 ― 직접민주제 구현 vs. 대의민주제 보완 ―
Democracy in the Information Society: A Polemic Review between Prototype and Transformation
미국헌법연구 | 21 | 3 | 2010 | 헌법
시민단체의 공법적 지위
市民団体の公法的地位
공법학연구 | 13 | 1 | 2012 | 법학
인터넷 정치참여와 대의민주주의의 위기극복을 위한 대안모색
The Study about the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risis overcome of Representative democracy
홍익법학 | 11 | 3 | 2010 | 법학
인터넷 정치참여와 대의민주주의의 위기극복을 위한 대안모색
The Study about the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risis overcome of Representative democracy
홍익법학 | 11 | 3 | 2010 | 법학
대중의 정책 선호에 대한 대통령의 대응이 국민적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zing the Influence of Presidential Responsiveness on Public Support for the President
사회과학연구 | 28 | 1 | 2012 | 기타사회과학
국회의원 개인배경과 입법: 입법 메커니즘과 16대와 17대 국회의 입법생산성
National Assemblymen's Valences and Legislation: Legislative Mechanism and Productivity in the 16th and 17th National Assemblies
의정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국회의원 개인배경과 입법: 입법 메커니즘과 16대와 17대 국회의 입법생산성
National Assemblymen's Valences and Legislation: Legislative Mechanism and Productivity in the 16th and 17th National Assemblies
의정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국회의원 정수에 관한 헌법적 고찰
A Study on Optimum Nu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공법학연구 | 13 | 2 | 2012 | 법학
지방정부와 심의(審議) 민주주의의 실험 ‘타운 홀 미팅’ 사례연구
Local Government and Deliberative Democracy A Case Study of Two “Twenty-First Century Town Hall Meetings”
경제와 사회 | 90 | 2011 | 사회학
대의민주주의와 소통: 미국 오바마 행정부 하의 의료보험개혁 사례를 중심으로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Political Communication: The Case of U.S. Healthcare Reform under the Obama Administration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3 | 2010 | 정치외교학
대의민주주의와 소통: 미국 오바마 행정부 하의 의료보험개혁 사례를 중심으로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Political Communication: The Case of U.S. Healthcare Reform under the Obama Administration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3 | 2010 | 정치외교학
Political representation and democracy
정치적 대의제와 민주주의
세계헌법연구 | 16 | 1 | 2010 | 법학
Political representation and democracy
정치적 대의제와 민주주의
세계헌법연구 | 16 | 1 | 2010 | 법학
투명성의 관점에서 본 대의제의 한계와 극복방안 — 미국과 프랑스의 예를 중심으로 —
Representative system and Transparency —Focused on U.S.A. and France—
미국헌법연구 | 22 | 3 | 2011 | 헌법
대의민주주의에서 보통선거의 원칙과 투표율 제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oter turnout in representative democracy
세계헌법연구 | 16 | 2 | 2010 | 법학
대의민주주의에서 보통선거의 원칙과 투표율 제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oter turnout in representative democracy
세계헌법연구 | 16 | 2 | 2010 | 법학
행정사무감사실효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uarantee of the Administrative affairs Audit by Local Assembly
지방자치법연구 | 11 | 3 | 2011 | 법학
한국지방의회 20년의 회고와 의정선진화를 위한 지방의원의 역할과제
The Retrospect on Local Council 20 Years and the Councilor’s Role Assignments for the Advancement of Local Council in Korea
한국행정논집 | 23 | 4 | 2011 | 행정학
대의민주주의의 균열 구조와 발전 구조 : 정보사회에서의 정부와 정당 대표성 간극을 중심으로
Cleavage Structure and Development Condition of Representative Democracy : Representing Gap of Government and Political Party in Information Society
사회이론 | 37 | 2010 | 사회학
대의민주주의의 균열 구조와 발전 구조 : 정보사회에서의 정부와 정당 대표성 간극을 중심으로
Cleavage Structure and Development Condition of Representative Democracy : Representing Gap of Government and Political Party in Information Society
사회이론 | | 37 | 2010 | 사회학
대의민주주의와 공론정치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the Politics of Public Deliberation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1 | 2011 | 동양정치사상
선거일의 헌법적 쟁점과 법정책적 과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Issue of the Polling Day and Related Legal Policy Task
법과정책연구 | 10 | 3 | 2010 | 법학
선거일의 헌법적 쟁점과 법정책적 과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Issue of the Polling Day and Related Legal Policy Task
법과정책연구 | 10 | 3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