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한국문학전집의 발간과 문학 정전의 실험 혹은 출판이라는 투기
Study on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d Korean literary works in the 1960s - A Canonical Experiment or A Speculative Publication
상허학보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남한 문학전집의 출현과 문학정전화의 욕망 ― 민중서관 <한국문학전집>을 중심으로 ―
The completed works of South Korea in the 1950s and Desire for Literary Canonization - focusing on Korean Literature Treasury by Minjung publishing company -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남한 문학전집의 출현과 문학정전화의 욕망 ― 민중서관 <한국문학전집>을 중심으로 ―
The completed works of South Korea in the 1950s and Desire for Literary Canonization - focusing on Korean Literature Treasury by Minjung publishing company -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순수 문학’과 잡지 매체 -‘청년문학가협회’ 문인들의 매체 전략-
'Soon-soo' and media-strategy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순수 문학’과 잡지 매체 -‘청년문학가협회’ 문인들의 매체 전략-
'Soon-soo' and media-strategy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염상섭의 20년대 연애소설과 유학의 경험
Study on the Romance Novel in 1920's by Yeom Sang-Syub and Korean Student Studying in Japan as the Second Generations
한중인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염상섭의 20년대 연애소설과 유학의 경험
Study on the Romance Novel in 1920's by Yeom Sang-Syub and Korean Student Studying in Japan as the Second Generations
한중인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朝鮮文學選集’과 文學正典들
and Literature Canons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 이후 문학 장의 재편과 이태준 -「해방전후」와 「먼지」를 중심으로-
The reorganization of the literary field after the Liberation and Lee, Tae-joon
어문논집 |
64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말기 수필문학의 양상과 문학장의 변화 ― 최초의 수필 전문지『박문』을 중심으로
The Aspect of Essay and Change of Literary Field in the Lat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the first magazine B'akmoon specialized in essay
비평문학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말기 수필문학의 양상과 문학장의 변화 ― 최초의 수필 전문지『박문』을 중심으로
The Aspect of Essay and Change of Literary Field in the Lat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the first magazine B'akmoon specialized in essay
비평문학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