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정치화

연구분야 : B020401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비교정치 > 정치권력/정치과정

클래스 : 정치/국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4593

한자 : 脫政治化

c03-05 정치/국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탈정치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정치화 [ 政治化 ]

R1:개념적

resultsIn (산물/결과)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탈정치적 무관심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정치 () [ 政治 ]

hasOpposition (대항/억제)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정치권 [ 政治圈 ]

임화의 민족문학론과 언어론

A Study on Limhwa'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Language in Late Colonial Period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억압된 자기와 古都 평양의 표상

Self-repression and representation of Pyeongyang, an old capital

동아시아문화연구 | 50 | 2011 | 기타인문학

MEGA와 마르크스 연구: 해체와 탈이데올로기화

MEGA und Marxforschung: Dekonstruktion und Entideologisierung

마르크스주의 연구 | 7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MEGA와 마르크스 연구: 해체와 탈이데올로기화

MEGA und Marxforschung: Dekonstruktion und Entideologisierung

마르크스주의 연구 | 7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학도호국단의 경험과 기억 - 탈정치화와 자기정당화

The Experience and Memoer of Hakdohokukdan: De-Politicization and Self-Justification

담론201 | 15 | 3 | 2012 | 사회학

민주화 이후 군부에 대한 문민통제 −한국과 아르헨티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ivilian Control of the Military Authorities since Democratization Case Study: South Korea and Argentina

사회과학연구 | 27 | 3 | 2011 | 기타사회과학

Depolit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Historical-Critical Research on Marx and Engels, its Findings and the Edi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Marx and Engels after 1990

탈정치화와 국제화: 마르크스와 엥겔스에 대한 역사-비판적 연구, 그것의 결과와 1990년대 이후 마르크스-엥겔스 전 저작의 편집

마르크스주의 연구 | 7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Depolit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Historical-Critical Research on Marx and Engels, its Findings and the Edi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Marx and Engels after 1990

탈정치화와 국제화: 마르크스와 엥겔스에 대한 역사-비판적 연구, 그것의 결과와 1990년대 이후 마르크스-엥겔스 전 저작의 편집

마르크스주의 연구 | 7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먹을거리의 탈정치화와 대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politicization of Food and Countermovements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12 | 1 | 2010 | 사회학

먹을거리의 탈정치화와 대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politicization of Food and Countermovements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12 | 1 | 2010 | 사회학

새마을 운동과 정신개조: 탈정치화된 농민의 성장

the Saemaul Undong and Reform in humanity: the growth of de-politicized peasants

사회이론 | 38 | 2010 | 사회학

새마을 운동과 정신개조: 탈정치화된 농민의 성장

the Saemaul Undong and Reform in humanity: the growth of de-politicized peasants

사회이론 | | 38 | 2010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