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연구분야 : D120400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정보통신
D131302 공학 > 컴퓨터학 > 프로그래밍언어 > 프로그래밍언어

클래스 : 기호/신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4859

STNet ID : 1001885

한자 :
영어 : code

e02-06 기호/신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검사 코드

hasKind (종류)

 

 

기능 코드

hasKind (종류)

 

 

데이터 코드

hasKind (종류)

 

 

아이콘 코드 [icon code]

hasKind (종류)

 

e02-06 기호/신호 기호/신호

컴퓨터 코드 [computer code]

hasKind (종류)

 

e02-06 기호/신호 기호/신호

컴퓨터 문자 코드 [ --文字-- ]

R1:개념적

RT (관련어)

 

B02 변화(변동) 변화(변동)

코드 전환

RT (관련어)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d04-04 전략/전술 /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코드 분할 다중 접속 [ 數碼分割多重接續 ]

기호학과 비교신화학

Semiotics and Comparative Mythology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

50년대 『아리랑』 잡지의 ‘명랑’과 ‘탐정’ 코드

The Code of ‘the Detective’ and ‘the Merriness’ of the Popular Magazine Arirang in the 1950’s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錦江中流 松菊里型무덤의 象徵構造에 대한 試論的 考察

Symbolic Meanings of Songgungni-type Burials in the Midstream of the Gum River Basin

호서고고학 | 25 | 2011 | 기타고고학

『삼국유사』의 언술방식

The Discourse method of 『Samguk Yusa』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지구촌 시대의 존재사건과 통합적 시각의 필요성

Happening of Being in the Global Age and the Need for an Integrated View

현대유럽철학연구 | 24 | 2010 | 서양철학

지구촌 시대의 존재사건과 통합적 시각의 필요성

Happening of Being in the Global Age and the Need for an Integrated View

현대유럽철학연구 | | 24 | 2010 | 서양철학

소리시—‘존재의 언어’와 지각적 의미

‘Language of Presence’ and Perceptual Meaning

영어영문학 | 57 | 4 | 2011 | 영어와문학

인터넷 신문 국제기사 한일번역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A Semiotic Analysis of the Korean to Japanese Translation of International Articles in Online Newspapers

통번역학연구 | 14 | 2 | 2011 | 통역번역학

이데올로기의 위상적 구성에 대하여

Approche topologique de l'idéologie

기호학 연구 | 31 | 2012 | 언어학

몸-코드와 이데올로기

Le code du Corps et L'idéologie

기호학 연구 | 29 | 2011 | 언어학

한국 민족주의의 재현 양상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연구 : 일제강점기 박종홍과 함석헌의 저술을 중심으로

A Cultural Study on the Structure and Narratives of Modern Korean Nationalism

문화와 사회 | 8 | 1 | 2010 | 문화/종교사회학

한국 민족주의의 재현 양상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연구 : 일제강점기 박종홍과 함석헌의 저술을 중심으로

A Cultural Study on the Structure and Narratives of Modern Korean Nationalism

문화와 사회 | 8 | 1 | 2010 | 문화/종교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