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학

연구분야 : B110100 사회과학 > 인류학 > 문화이론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497

한자 : 文化學
독일어 : Kulturwissenschaft
영어 : Culturology
영어 : Cultural Science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프랑스 문화학 [ --文化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지역 문화학 [ 地域文化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중국 문화학 [ 中國文化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일본 문화학 [ 日本文化學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야만성 [ 野蠻性 ]

한국학의 기원으로서 조선서학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Chosun's Western Learning as the origin of Korean Studies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문학 텍스트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해석-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론

The interpretation of literary anthopological on literary text - Lee Chung-jun’ study of

비평문학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 텍스트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해석-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론

The interpretation of literary anthopological on literary text - Lee Chung-jun’ study of

비평문학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몸의 사회-문화학을 위한 시론(Prolegomenon) - 미셀 푸코의 『감시와 처벌』, 『성과 진리』를 중심으로

Ein sozio-kulturwissenschaftliches Prolegomenon für den Körper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von Foucaults 『Überwachen und Strafen』 und 『Sexualität und Wahrheit』-

뷔히너와 현대문학 | 37 | 2011 | 독일어와문학

문화범죄학: 범죄학의 새로운 지평

New Horizon in Criminology: Cultural Criminology

교정담론 | 5 | 2 | 2011 | 형사정책

Poesie als Performanz: Poetry Slams und kultureller Wandel

퍼포먼스 시학 - 포에트리 슬램과 문화적 전환

세계문학비교연구 | 31 | 2010 | 문학

Poesie als Performanz: Poetry Slams und kultureller Wandel

퍼포먼스 시학 - 포에트리 슬램과 문화적 전환

세계문학비교연구 | | 31 | 2010 | 문학

막스 베버의 사회학과 비인간들

Max Weber’s Sociology and Non-Humans

사회와 이론 | 19 | 2011 | 기타사회학

현대 러시아의 학문구조와 문화학의 등장

The Academic Structure of Modern Russian and appearance of Culturology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7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동서 ‘문화⋅문명’의 개념과 그 전개 - 현대 문명 담론의 개념적 이해를 중심으로 -

The Concepts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Civilization’ and their Developments - Focusing on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odern Civilization Discourse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동서 ‘문화⋅문명’의 개념과 그 전개 - 현대 문명 담론의 개념적 이해를 중심으로 -

The Concepts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Civilization’ and their Developments - Focusing on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odern Civilization Discourse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독일민속학의 흐름과 연구동향 - 민중 Volk개념 고찰을 중심으로

Historische Entwicklung der deutschen Volkskunde und des Wandels des Volksbegriffs

뷔히너와 현대문학 | 36 | 2011 | 독일어와문학

문화학의 현황과 공간 패러다임

Die Entwicklung der Kulturwissenschaft(en) und das Paradigma des Raums

괴테연구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문화학의 현황과 공간 패러다임

Die Entwicklung der Kulturwissenschaft(en) und das Paradigma des Raums

괴테연구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문화학으로서의 지역사정에 기반한 문화교육

Eine Studie zur kulturwissenschaftsorientierten Landeskunde im DaF-Unterricht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30 | 2012 | 독일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