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적 글쓰기

연구분야 : A100300 인문학 > 문학 > 문예창작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5106

한자 : 女性的--
프랑스어 : écriture féminine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남성적 글쓰기

RT (관련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여성 정체성 () [ 女性正體性 ]

RT_Y (◄관련어)

관련 개념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흐르는 글쓰기 () [écriture courante]

R2:기능적

isAdvocatedBy (주창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엘렌 식수스 [Cixous, Helene]

소수자 집단 문학으로써의 여성적 글쓰기

Feminine Writing As A Minority Literature

한국 예이츠 저널 | 33 | 2010 | 영어와문학

소수자 집단 문학으로써의 여성적 글쓰기

Feminine Writing As A Minority Literature

한국 예이츠 저널 | | 33 | 2010 | 영어와문학

백신애 소설 연구 -여성 작가와 정체성 탐색의 글쓰기

A Study on the Paik Shin-ae's novel -Female Author and Writing of the Quest for Identity-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신애 소설 연구 -여성 작가와 정체성 탐색의 글쓰기

A Study on the Paik Shin-ae's novel -Female Author and Writing of the Quest for Identity-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Visualizing “Feminine Writing” ❙ Agnès Varda’s cinécritue in Cléo from 5 to 7 and Vagabond

영상예술연구 | 20 | 2012 | 기타예술체육

죠르주 상드의 인물 초상: 여자가 그리는 여자

Le Portrait féminin chez George Sand

유럽사회문화 | 1 | 2011 | 기타인문학

섹슈얼리티와 폭력의 미학

Sexualität und die Ästhetik der Gewalt

뷔히너와 현대문학 | 34 | 2010 | 독일어와문학

섹슈얼리티와 폭력의 미학

Sexualität und die Ästhetik der Gewalt

뷔히너와 현대문학 | | 34 | 2010 | 독일어와문학

코울리지의「크리스터벨」—‘여성적 글쓰기’

Coleridge’s “Christabel” as l’écriture féminine

영어영문학 | 56 | 2 | 2010 | 영어와문학

코울리지의「크리스터벨」—‘여성적 글쓰기’

Coleridge’s “Christabel” as l’écriture féminine

영어영문학 | 56 | 2 | 2010 | 영어와문학

귀환 해외 입양 여성작가들의 자서전에 나타난 모성과 가족

Motherhood and Family in the Memoirs of Returned Transnational Adoptee Women Writers

현대영미소설 | 19 | 2 | 2012 | 영어와문학

샹탈 아케르만의 <갇힌 여인 La Captive>(2000)에 나타난 여성적 글쓰기

L'Écriture féminine dans de Chantal Akerman

불어불문학연구 | 88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밥과 자본주의>에 나타난 “여성민중주의적 현실주의”와 문체혁명: 「몸바쳐 밥을 사는 사람 내력 한마당」을중심으로

The Realism based on Women-Minjung (People's) Ideology and the Writing Style Revolution in Bab and Capitalism by Goh Jung Hee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 | 3 | 2011 | 기타인문학

Une traduction transculturelle de l'écriture féminine : comment traduire La jeune née d'Hélène Cixous en coréen?

‘여성적 글쓰기’를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 「새로 태어난 여성」의 한국어 번역

한국프랑스학논집 | 79 | 2012 | 프랑스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