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연구분야 : G080300 예술체육 > 연극 > TV/뮤지컬드라마

클래스 : 공연예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516

STNet ID : 9006348

한자 :
영어 : musical

e01-05 공연예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뮤지컬 드라마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음악극 [ 音樂劇 ]

isKindOf (상위 유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종합 예술 () [ 綜合藝術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라이선스 뮤지컬 [License Musical]

hasKind (종류)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창작 뮤지컬 [ 創作-- ]

hasKind (종류)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어린이 뮤지컬 [Children`s Musical]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오페레타 () [operetta]

isConceptOf (개념(전체))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뮤지컬 플레이 [musical play]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뮤지컬 영화 [ --映畵 ]

한국의 현대 ‘실용음악’과 ‘보컬’의 개념상의 문제점 및 고등교육에서 보컬의 학문적 수용 전망

The Problems of Concepts for Contemporary ‘Silyong Music’ and ‘Vocal’ as well as the Prospect of the Acceptance for Vocal in Higher Education in Korea

이화음악논집 | 15 | 1 | 2011 | 기타음악학

셰익스피어극의 현대성과 르네상스 발라드

The Modernity of Shakespearean Plays and Renaissance Ballad

Shakespeare Review | 46 | 4 | 2010 | 영어와문학

사극드라마 의상 연구(2)* -매체 전환된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f Historical Drama Costume (2) -Focusing on Media Converted Products-

연극교육연구 | 1 | 18 | 2011 | 연극교육

셰익스피어 대중문화와 한국의 실제: 2000년대 연극산업을 중심으로

Shakespeare and Popular Culture in Korea: Theatre Industry in the New Millennium

중세근세영문학 | 22 | 1 | 2012 | 영어와문학

《포기와 베스》, 장르의 이중적 수용사

Porgy and Bess, the Reception History and the Genre Problems

서양음악학 | 15 | 3 | 2012 | 음악학

음악극 「인당수 사랑가」 연구

A Study on 「Indang's Blues」, the Musical Play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뮤지컬 작품에 나타난 선율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Melodic Characteristics of Andrew Lloyd Webber's Musicals

음악과 문화 | 24 | 2011 | 음악학

미국 뮤지컬 저작권 사례 연구-무대연출관련 사건을 중심으로-

Copyrighting Stage Directions in American Musical Theatre

공연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예술일반

라이선스 뮤지컬 연출방법 연구 -2009년 <드림걸즈> 한국 프로덕션을 중심으로-

A Study of Directorial Ways to Licensed Musical -Focused on Korean Production in 2009-

공연문화연구 | 25 | 2012 | 기타예술일반

미국 뮤지컬 저작권 사례 연구 -창작대본의 공동저작물 성립과 관련한 국내 공연계약 적용안을 중심으로-

A Copyright Case Study of Musical Theatres in America -Creating the plays through collaborative works in America and the application in contracts for performing arts in Korea-

한국연극학 | 1 | 43 | 2011 | 연극

뮤지컬 출연배우의 전문성과 인지도가 관람객의 관람의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tor's Expertise and Popularity on Viewers' Intention to Watch a Musical

상품학연구 | 28 | 3 | 2010 | 경영학

뮤지컬 출연배우의 전문성과 인지도가 관람객의 관람의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tor's Expertise and Popularity on Viewers' Intention to Watch a Musical

상품학연구 | 28 | 3 | 2010 | 경영학

뮤지컬에 내재(內在)된 춤의 극적 기능(dramatic functions)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ramatic Functions of the Dances Featured in the Musical

무용예술학연구 | 34 | 34 | 2011 | 무용

브레히트 서사적 음악극 관점에서의 뮤지컬 시카고 연구

Eine Studie zu Berührungspunkten zwischen dem Musical und dem epischen Musiktheater von Bertolt Brecht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