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학

연구분야 : A020504 인문학 > 역사학 > 인류학 > 민속학(인류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627

한자 : 民俗學
영어 : Folklore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토속학 [ 土俗學 ]

UF (비우선어)

 

 

민전학 [ 民傳學 ]

UF (비우선어)

 

 

민간 전승학 [ 民間傳承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도시민속학 [ 都市民俗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영상 민속학 [ 映像民俗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국 민속학 [ 韓國民俗學 ]

R2:기능적

isAnalyzedBy (분석 방법)

 

y02-01 문헌명 문헌명

용재총화 [ 慵齋叢話 ]

Монгол аман зохиолын төрөл зүйлийн онцлог, шинэ олдвор

The genres and the findings of new texts of Mongolian oral literature

몽골학 | 29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Монгол аман зохиолын төрөл зүйлийн онцлог, шинэ олдвор

The genres and the findings of new texts of Mongolian oral literature

몽골학 | | 29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설화 <우렁색시>, <용자 살리고 얻은 색시>, <새털 옷 입고 왕이 된 남자>에 나타난 여성의 행동 방식과 관계 지속의 문제

The Problem of Continuing the Relationship in Korean Folklore , , and

겨레어문학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여행 체험 고전문학 텍스트의 교육적 의의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lassical literary text about Travel experience

비평문학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여행 체험 고전문학 텍스트의 교육적 의의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lassical literary text about Travel experience

비평문학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국문학』에 반영된 고전문학 연구의 흐름

Tendency of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국어국문학 | 160 | 2012 | 한국어와문학

周作人의 ‘雜學’과 지식의 통섭

Zhou zuoren's ZaXue & Consilience of Knowledge

중국문화연구 | 18 | 2011 | 중국문화학

『국어국문학』에 반영된 고전문학 연구의 흐름

Tendency of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국어국문학 | 160 | 2012 | 한국어와문학

‘아름다움’에 이르려는 방황: 임학수론

Wandering in Search of Beauty: The Theory of Im Hak Soo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龍馬 硏究

A Study on Yongma in Folklore

온지논총 | 30 | 2012 | 기타인문학

『페어리 여왕』에 나타나는 페어리들

Fairies in Spenser’s Faerie Queene

중세르네상스영문학 | 18 | 1 | 2010 | 영어와문학

『페어리 여왕』에 나타나는 페어리들

Fairies in Spenser’s Faerie Queene

중세르네상스영문학 | 18 | 1 | 2010 | 영어와문학

이원수의 전래동화 연구를 위한 기초 고찰

A Basic Review for the Study of Lee Won-su’s traditional fairy tales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9 | 2011 | 아동문학

<최고운전>의 원천소재 활용 양상과 ‘의미 겹침’으로서의 소설

An aspect of appling folklore into ChoiGoWoonCheon(崔孤雲傳) and to be a novel with ambiguousness

온지논총 | 29 | 2011 | 기타인문학

알렌 <백학선전>영역본 연구 -모리스 쿠랑의 고소설 비평을 통해 본 알렌 고소설영역본의 의미-

A Study on English Version of Baekhaksun-jeun(白鶴扇傳) by Allen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1 | 2012 | 기타인문학

한부모의 이성 관계를 거부하는 아동에 대한 문학치료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Children Who Reject Parent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겨레어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부모의 이성 관계를 거부하는 아동에 대한 문학치료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Children Who Reject Parent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겨레어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세파라디 가요: 지중해 문화 매개에 대한 연구

A Studies of Mediterranean Cultural Mediator: Sephardic Folk Song

인문콘텐츠 | 18 | 2010 | 기타인문학

세파라디 가요: 지중해 문화 매개에 대한 연구

A Studies of Mediterranean Cultural Mediator: Sephardic Folk Song

인문콘텐츠 | | 18 | 2010 | 기타인문학

만주국과 민예운동

Manchukuo and Mingei Movement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3 | 2012 | 미술

The Linguistics and Poetics of Russian Proverbs

Лингвистика и поэтика русских пословиц

슬라브어 연구 | 16 | 1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林下筆記』에 나타난 歲時風俗과 民俗놀이 硏究

A Study on the Seasonal Custom and Folk Game observed in Yimhapilgi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구한말 프랑스 문헌에 나타난 한국의 주거문화

La culture de l'habitation coréenne dans les textes français à la fin de dynastie Chosun

프랑스 문화 연구 | 21 | 2010 | 프랑스문화학

구한말 프랑스 문헌에 나타난 한국의 주거문화

La culture de l'habitation coréenne dans les textes français à la fin de dynastie Chosun

프랑스 문화 연구 | | 21 | 2010 | 프랑스문화학

오에 겐자부로 문학에서 보는 현실세계의 폐쇄성과 주변적인 공간의 시점

日本語文學 | 1 | 52 | 2012 | 일본어와문학

‘합’의 정체성에 이르게 하는 흑인음악, 블루스의 재고찰 - Ralph Ellison의 "보이지 않는 인간"을 중심으로 -

A Re-examination of African-American Folk Tradition, Specifically the Blues, leading to the Identity of ‘Sum’: Ralph Ellison's Invisible Man

현대영어영문학 | 54 | 2 | 2010 | 영어와문학

‘합’의 정체성에 이르게 하는 흑인음악, 블루스의 재고찰 - Ralph Ellison의 "보이지 않는 인간"을 중심으로 -

A Re-examination of African-American Folk Tradition, Specifically the Blues, leading to the Identity of ‘Sum’: Ralph Ellison's Invisible Man

현대영어영문학 | 54 | 2 | 2010 | 영어와문학

The Linguistics and Poetics of Russian Proverbs

Лингвистика и поэтика русских пословиц

슬라브어 연구 | 16 | 1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구한말 프랑스 문헌에 나타난 한국의 주거문화

La culture de l'habitation coréenne dans les textes français à la fin de dynastie Chosun

프랑스 문화 연구 | 21 | 2010 | 프랑스문화학

구한말 프랑스 문헌에 나타난 한국의 주거문화

La culture de l'habitation coréenne dans les textes français à la fin de dynastie Chosun

프랑스 문화 연구 | | 21 | 2010 | 프랑스문화학

현대 발레공연의상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이미지 연구 - 발레"신데렐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ostmodernism Image in Contemporary Ballet Costumes - Focus on “Cinderella” Ballet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3 | 2010 | 디자인

현대 발레공연의상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이미지 연구 - 발레"신데렐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ostmodernism Image in Contemporary Ballet Costumes - Focus on “Cinderella” Ballet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3 | 2010 | 디자인

『林下筆記』에 나타난 歲時風俗과 民俗놀이 硏究

A Study on the Seasonal Custom and Folk Game observed in Yimhapilgi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바람난 배우자에 대한 설화 속 대응양상과 이를 활용한 문학치료적 설계

Confrontation Aspects on Unfaithful mate in Folklore and a Plan for Literary Therapeutic Program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

Das Bild der “Märchenfrau” zwischen Mythos und Wirklichkeit

Images of a Fairytale Granny, Between Myths and Reality 동화할머니의 이미지, 신화와 현실 사이에서

동화와 번역 | 20 | 2010 | 아동문학

Das Bild der “Märchenfrau” zwischen Mythos und Wirklichkeit

Images of a Fairytale Granny, Between Myths and Reality 동화할머니의 이미지, 신화와 현실 사이에서

동화와 번역 | | 20 | 2010 | 아동문학

개발지역 마을 소멸 상황에 대한 민속학적 대응 -전면 개정된 문화재 조사 법령과 관련하여-

Folklore’s Coping with the Situation of Village Extinction in Developing Areas

한국민속학 | 53 | 2011 | 역사학

러시아 아동문학 변천사 소고

A Study on History of Russian Children’s Literature

동화와 번역 | 22 | 2011 | 아동문학

소비자본주의 시대의 농촌관광과 민속 연구

Green tourism and folklore studies in the consumer capitalistic society

한국민속학 | 54 | 2011 | 역사학

저작권법을 통한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그 한계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perspective of copyright right

계간 저작권 | 24 | 4 | 2011 | 법학

『民俗叢談』 硏究

Research on 『Min Sok Chong Dam: Folklore Collection』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民俗叢談』 硏究

Research on 『Min Sok Chong Dam: Folklore Collection』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敦煌民歌反映有關儒家思想之民俗考察

A Study about the Folklore of Confucianism that reflected in Dunhuang Folk songs

중국연구 | 52 | 2011 | 중국어와문학

프랑스의 민속학 전통과 현대 민족학의 특성

The French Tradition of Folklore Studie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Ethnology

역사민속학 | 35 | 2011 | 역사학

독일 민속학계의 동향과 한국 민속학의 설 자리 모색-Folklorismus과 포크로리즘 논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erman Volkskunde Society’s Trend and the Direction Korean Folklore Society should Follow-Based on the ‘Folklorismus’ debate-

한국민속학 | 51 | 2010 | 역사학

독일 민속학계의 동향과 한국 민속학의 설 자리 모색-Folklorismus과 포크로리즘 논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erman Volkskunde Society’s Trend and the Direction Korean Folklore Society should Follow-Based on the ‘Folklorismus’ debate-

한국민속학 | 51 | | 2010 | 역사학

문학 텍스트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해석-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론

The interpretation of literary anthopological on literary text - Lee Chung-jun’ study of

비평문학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 텍스트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해석-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론

The interpretation of literary anthopological on literary text - Lee Chung-jun’ study of

비평문학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土俗學”에서 “民俗學”으로-日本人類學史에 나타난 學名의 변천과 學問 正體性-

From “Ethnography” to “Folklore”: Switching Disciplinary Naming and Academic Identity in History of Japanese Anthropology

비교민속학 | 46 | 2011 | 역사학

러시아 극동지역 우데게족 설화에 나타난 곰과 호랑이

Bear and Tiger in the Folklore of the Udehe People in the Russian Far East

동화와 번역 | 21 | 2011 | 아동문학

로맨틱의 미적 특성이 메이크업에 미친 영향

Influence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Romantic on Make-Up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11 | 2 | 2010 | 미용

로맨틱의 미적 특성이 메이크업에 미친 영향

Influence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Romantic on Make-Up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11 | 2 | 2010 | 미용

실천민속학의 성과와 과제

Accomplishments and Tasks of Practice Folklore Society

한국민속학 | 51 | 2010 | 역사학

실천민속학의 성과와 과제

Accomplishments and Tasks of Practice Folklore Society

한국민속학 | 51 | | 2010 | 역사학

『폭풍의 언덕』: 민담의 소설화와 페미니즘

Wuthering Heights: The Novelization of Folklore and Feminism

신영어영문학 | 47 | 2010 | 영어와문학

『폭풍의 언덕』: 민담의 소설화와 페미니즘

Wuthering Heights: The Novelization of Folklore and Feminism

신영어영문학 | | 47 | 2010 | 영어와문학

민속학과 역사학의 통섭을 위한 비판적 성찰

A Critical Reflection for Consilience between Folklore and History

민속학연구 | 30 | 2012 | 역사학

텔레비전 드라마에 있어 민속의 재현 문제

Consideration on the reproduction of folklore by using television drama

실천민속학 연구 | 20 | 2012 | 역사학

연암소설의 민속적 성격 고찰

A Study on Folkloristic Characters in Yeonam's Novels

인문학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연암소설의 민속적 성격 고찰

A Study on Folkloristic Characters in Yeonam's Novels

인문학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연암소설의 민속적 성격 고찰

A Study on Folkloristic Characters in Yeonam's Novels

인문학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연암소설의 민속적 성격 고찰

A Study on Folkloristic Characters in Yeonam's Novels

인문학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 「갓파(河童)」의 불안과 우울 ― 텍스트의 서술 레벨과 언어태 분석 ―

Uneasiness and Melancholy in Akutagawa Ryunosuke's “Kappa” ―Analysis of the Narrative Level & Linguistic Voices ―

아시아문화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 「갓파(河童)」의 불안과 우울 ― 텍스트의 서술 레벨과 언어태 분석 ―

Uneasiness and Melancholy in Akutagawa Ryunosuke's “Kappa” ―Analysis of the Narrative Level & Linguistic Voices ―

아시아문화연구 | 18 | | 2010 | 기타인문학

문학 텍스트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해석-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론

The interpretation of literary anthopological on literary text - Lee Chung-jun’ study of

비평문학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 텍스트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해석-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론

The interpretation of literary anthopological on literary text - Lee Chung-jun’ study of

비평문학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慵齋叢話』에 나타난 民俗 硏究

A Study on Folk Customs of Yongjaechonghwa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慵齋叢話』에 나타난 民俗 硏究

A Study on Folk Customs of Yongjaechonghwa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민속학과 역사학의 통섭을 위한 비판적 성찰

A Critical Reflection for Consilience between Folklore and History

민속학연구 | 30 | 2012 | 역사학

“土俗學”에서 “民俗學”으로-日本人類學史에 나타난 學名의 변천과 學問 正體性-

From “Ethnography” to “Folklore”: Switching Disciplinary Naming and Academic Identity in History of Japanese Anthropology

비교민속학 | 46 | 2011 | 역사학

민담텍스트의 내면적 구조 분석; 러시아 민담을 관찰 자료로

A psychological analysis in Russian folklore; an analytical methodology

슬라브어 연구 | 15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민담텍스트의 내면적 구조 분석; 러시아 민담을 관찰 자료로

A psychological analysis in Russian folklore; an analytical methodology

슬라브어 연구 | 15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라틴아메리카 문화적 정체성 연구 -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A Study of Latin American Cultural Identity: Focusing on Popular Culture

중남미연구 | 28 | 2 | 2010 | 지역학

라틴아메리카 문화적 정체성 연구 -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A Study of Latin American Cultural Identity: Focusing on Popular Culture

중남미연구 | 28 | 2 | 2010 | 지역학

고대한국 민속신앙의 종교적 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igious mentality of folklores in old Korea

온지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고대한국 민속신앙의 종교적 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igious mentality of folklores in old Korea

온지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日帝强占期 歷史民俗學의 胎動과 展開 -孫晉泰 民俗學을 중심으로-

Birth and Development of Historical Folklore during the period of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일국민속학(一國民俗學)의 단일민족론과 민족통합

一國民俗學の單一民族論と民族統合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16 | 2010 | 일본문화학

일국민속학(一國民俗學)의 단일민족론과 민족통합

一國民俗學の單一民族論と民族統合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 16 | 2010 | 일본문화학

조선후기 西人 ㆍ 老論의 풍속인식과 그 기원

Recognition of Folk Lore taken by Seoin and Noron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and its origin

사학연구 | 102 | 2011 | 역사학

한국 민속학의 학제간적 복합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속학 30년

An Interdisciplinary Complexity and Scientific Perspectives of Korean Folklore Studies

한국학 | 35 | 2 | 2012 | 기타인문학

1930년대 옛날이야기를 기반으로 하는 ‘동화’의 양상 -매일신보, 조선일보,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Research of the Children’s stories are based on old stories in the 1930s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7 | 2010 | 아동문학

1930년대 옛날이야기를 기반으로 하는 ‘동화’의 양상 -매일신보, 조선일보,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Research of the Children’s stories are based on old stories in the 1930s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 7 | 2010 | 아동문학

텍스트 분석을 위한 생성문법 - 민담텍스트를 자료로

A generative grammar for text

슬라브어 연구 | 16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나치즘과 독일민속학

Nationalsozialismus und Volkskunde

독어교육 | 52 | 52 | 2011 | 독일어와문학

한국 민속의 활용론과 문화콘텐츠 전략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strategy to cultural contents of Korean Folklore

인문콘텐츠 | 21 | 2011 | 기타인문학

日帝强占期 歷史民俗學의 胎動과 展開 -孫晉泰 民俗學을 중심으로-

Birth and Development of Historical Folklore during the period of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한국 민속학의 학제간적 복합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속학 30년

An Interdisciplinary Complexity and Scientific Perspectives of Korean Folklore Studies

한국학 | 35 | 2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