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동화

연구분야 : A170208 인문학 > 독일어와문학 > 독일문학 > 구비문학(독일문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7687

한자 :
독일어 : Kinder-und Hausmarchen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요린데와 요링엘』에 나타난 공생과 개성화

Symbiose und Individuationsprozess im Grimms Märchen“Jorinde und Joringel”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그림형제 동화에 나타난 지혜

Die Klugheit im Grimms Märchen

인문학연구 | 37 | 3 | 2010 | 기타인문학

그림형제 동화에 나타난 지혜

Die Klugheit im Grimms Märchen

인문학연구 | 37 | 3 | 2010 | 기타인문학

그림동화에서 글과 그림의 작용과 대칭성의 논리 -앤서니 브라운의 『돼지책』을 중심으로-

Picture Book the Meaning and Effect of Text and Images -Around Anthony Browne’s “Piggy book”-

문학교육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노동’의 관점에서 본 그림동화

'Die Arbeit' in den Grimmschen Märchen

헤세연구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노동’의 관점에서 본 그림동화

'Die Arbeit' in den Grimmschen Märchen

헤세연구 |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유아문학 접근방법에 따른 Grimm 형제 동화 연구의 분석: 국내 독일문학 영역 학술지의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Papers regarding Grimm's Fairy-Tales Using Children's Literature Approaches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7 | 1 | 2010 | 교육학

유아문학 접근방법에 따른 Grimm 형제 동화 연구의 분석: 국내 독일문학 영역 학술지의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Papers regarding Grimm's Fairy-Tales Using Children's Literature Approaches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7 | 1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