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편에서 두 가지 무한소급논의의 동일, 차이, 근거에 관한 연구
A Study in Identity, Difference, and Grounds of the Two Arguments of Infinite Regress in Plato’s Parmenides
헤겔연구 |
31 |
2012 |
철학
13세기 보편적 질료-형상론의 문제-보나벤투라 vs. 토마스 아퀴나스-
The 13th Century Debate on Universal Hylomorphism : Bonaventure vs. Thomas Aquinas
철학사상 |
44 |
2012 |
철학
‘미를 바라봄’ : 플라톤과 플로티누스를 중심으로
The Seeing Beauty on Platon and Plotinus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천태지관에서의 心身의 병환과 치유
On the Cure of Mind and Body in the Tiantai's Practice of Calm-Observation 止觀
불교학보 |
58 |
2011 |
기타불교학
‘암행어사’ 박문수와 ‘淸官’ 包公의 형상 비교
Compare the Shape of Park Mun Su(朴文秀) as a secret inspector with Baogong(包公) as a upright management
비교문학 |
57 |
2012 |
인문학
문헌 기록에 나타난 연산군 형상의 전승 양상
A Study on the Tradition of the Image of Lord Yeonsan in the Archives
한국학 |
35 |
2 |
2012 |
기타인문학
아도르노의 미학이론과 베케트 —‘부정사유’와 ‘자율적 예술의 정치성’
Adorno's Aesthetic Theory and Beckett: ‘Negative Thinking' and the ‘Politics of Autonomous Art'
현대영미드라마 |
23 |
1 |
2010 |
현대영미희곡
아도르노의 미학이론과 베케트 —‘부정사유’와 ‘자율적 예술의 정치성’
Adorno's Aesthetic Theory and Beckett: ‘Negative Thinking' and the ‘Politics of Autonomous Art'
현대영미드라마 |
23 |
1 |
2010 |
현대영미희곡
한국춤 동작구조와 형상 분석을 위한 철학적 방법 - 음양·오행의 시·공간적 의미를 중심으로
韓國舞蹈的動作構造與形象分析的哲學性方法 ―以陰陽、五行的時、空間意義爲中心―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20 |
2012 |
유교학
아리스토텔레스의 뒤나미스(dynamis)에 근거한 한국무용체험에서의 잠재성 탐색
Exploration on Potentiality in Korean Dance Experience based on Aristotle's Dynamis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2 |
2010 |
체육
아리스토텔레스의 뒤나미스(dynamis)에 근거한 한국무용체험에서의 잠재성 탐색
Exploration on Potentiality in Korean Dance Experience based on Aristotle's Dynamis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2 |
2010 |
체육
들뢰즈에 있어 형상(形象)의 미학이란 무엇인가? – 『감각의 논리』(1981)에 나타난 회화적 존재론을 중심으로
Qu'est ce que l'esthétique de la figure chez Deleuze?
美學(미학) |
64 |
2010 |
철학
들뢰즈에 있어 형상(形象)의 미학이란 무엇인가? – 『감각의 논리』(1981)에 나타난 회화적 존재론을 중심으로
Qu'est ce que l'esthétique de la figure chez Deleuze?
美學(미학) |
|
64 |
2010 |
철학
巴金创作与‘阿里郎’民族
Literature Creation of Barking and the Nationality of Arirang
한중인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엔텔레케이아에 대한 교육적 해명
A philosophical essay on Aristoteles’s entelecheia
인격교육 |
6 |
1 |
2012 |
기타교육학
불가코프 작품에 나타난 ‘동물’의 형상
The Image of Animals in The Works of Bulgakov
노어노문학 |
23 |
3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별화의 원리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in Aristotle
철학논집 |
22 |
2010 |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별화의 원리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in Aristotle
철학논집 |
22 |
|
2010 |
철학
『악학궤범』 처용무 작대(作隊)의 의미 조명
A Study on Cheoyong Dance Composition Shown in Akhakgwebeom (Musical Canon)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악학궤범』 처용무 작대(作隊)의 의미 조명
A Study on Cheoyong Dance Composition Shown in Akhakgwebeom (Musical Canon)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알렉산드로스의 영혼 이론-형상들의 형상
Alexander’s Theory of Soul: Soul as Form of Forms Soul as Form of Forms: Alexander's Theory of Soul
서양고전학연구 |
41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알렉산드로스의 영혼 이론-형상들의 형상
Alexander’s Theory of Soul: Soul as Form of Forms Soul as Form of Forms: Alexander's Theory of Soul
서양고전학연구 |
|
41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토지 실거래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충남 당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terminant Factors for the Land Sales Price - forcing on Dangjin, Chungcheongnam-do -
주거환경 |
10 |
2 |
2012 |
국제/지역개발
La forme et la difformité — Une étude de l'esthétique picturale diderotienne
형상과 기형 — 디드로의 회화 이론과 미학 사상 연구
불어불문학연구 |
90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연구에 나타난 본질-개별자와 종 양자에 있어 로고스와 존재방식의 양 국면에 따라 파악되는 본질
Die Essenz bei der Substanzforschung des Aristoteles: in Hinsicht auf ihre zwei Aspekte ‘Logos’ und ‘Dasein’ beim Individuum und der Spezies
서양고전학연구 |
41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연구에 나타난 본질-개별자와 종 양자에 있어 로고스와 존재방식의 양 국면에 따라 파악되는 본질
Die Essenz bei der Substanzforschung des Aristoteles: in Hinsicht auf ihre zwei Aspekte ‘Logos’ und ‘Dasein’ beim Individuum und der Spezies
서양고전학연구 |
|
41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하이데거의 형상과 불안개념을 통해 본 클레(P.Klee)와 데 키리코(De Chirico)의 회화
A Study on Heidegger's Concept of 'Bild(Image)' and 'Anxiety' and P.Klee and De Chirico's Paintings
기초조형학연구 |
12 |
5 |
2011 |
예술일반
형상과 만남 : 조르주 베르나노스의 소설『사탄의 태양아래』에 대한 기호학적인 접근
Figure et Rencontre : Approche sémiotique du roman de Georges Bernanos, Sous le Soleil de Satan
기호학 연구 |
29 |
2011 |
언어학
구조주의 이후의 새로운 영화분석 방법론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형상’으로서의 이미지와 내재적 구성주의, 그리고 역사
An Epistemological Research on New Cinematic Analysis Method after De-Structualism - The Concept of Image as Figure, Immanent Constructivism and History -
영상예술연구 |
16 |
2010 |
기타예술체육
구조주의 이후의 새로운 영화분석 방법론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형상’으로서의 이미지와 내재적 구성주의, 그리고 역사
An Epistemological Research on New Cinematic Analysis Method after De-Structualism - The Concept of Image as Figure, Immanent Constructivism and History -
영상예술연구 |
|
16 |
2010 |
기타예술체육
『타트바상그라하』<外境考察의 章>에 나타나는 3종의 形象說 批判
The Criticism against the Three Kinds of Ākāra Theory in the Bahirarthaparīkṣā of Śāntarakṣita's Tattvasaṃgraha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타트바상그라하』<外境考察의 章>에 나타나는 3종의 形象說 批判
The Criticism against the Three Kinds of Ākāra Theory in the Bahirarthaparīkṣā of Śāntarakṣita's Tattvasaṃgraha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