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통사

연구분야 : A120100 인문학 > 중국어와문학 > 중국어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787

한자 : 朴通事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서유기평화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한학서 [ 漢學書 ]

R1:개념적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R] 번역박통사 ()

R3:시간적

co-occursWith (동시발생)

 

y02-01 문헌명 문헌명

노걸대 () [ 老乞大 ]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박통사 신석 [ 朴通事新釋 ]

『무쌍신구잡가(無雙新舊雜歌)』의 체재상 특징과 편찬 배경

The Aspects of the Format of Mussangsingujapga and Its Background of Publication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무쌍신구잡가(無雙新舊雜歌)』의 체재상 특징과 편찬 배경

The Aspects of the Format of Mussangsingujapga and Its Background of Publication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번역노걸대⋅박통사≫의 한어음 표기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A Study on Chinese Reading in Fanyilaoqida and Fanyipiaotongshi

언어학 | 62 | 2012 | 언어학

원나라 거주 고려인을 위한 한어 교육 - 『박통사(朴通事)』의 편찬 목적과 교육 대상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 of Chinese for the Korean Living in Yuan Dynasty, especially the Research on the Purpose of Publishment and the Educational Targets of the Baktongsa

진단학보 | 114 | 2012 | 역사학

(번역)『박통사』(上)의 명사류 난해어에 대하여

Some abstrusity nominal words in (peonyeok) Parktongsa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

(번역)『박통사』(上)의 명사류 난해어에 대하여

Some abstrusity nominal words in (peonyeok) Parktongsa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