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조선유학생들의 ‘국민론’과 ‘애국론’ -『親睦會會報』(1896~1898)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The Discourse on ‘Kungmin’ and ‘Patriotism’ of the Chosŏn Students Studying in the Japan(1896~189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6 |
2011 |
역사학
한말‘민권’인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개인’과 ‘사회’인식에 대한 원형적 고찰: 한말 사회과학적 언설에 나타난‘인민’관과‘민권’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Primitive Perception of ‘Individual’ and ‘People’s Right’ in the Late Choson Dynasty and Taehan Empire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3 |
2 |
2012 |
정치외교학
국권상실에 대한 일진회의 인식 -문명화론과 합방론의 관계를 중심으로-
Ilchinhoe(一進會)’s Recognition of the Loss of ‘sovereignty(國權)’ -Centering in Relationship of Civilization theory and Annexation theory-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0 |
2011 |
역사학
한말 ‘민권’ 용례와 분기 양상
Examples of ‘Civil Rights’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and Divergent Aspects
역사교육 |
121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