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편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934

한자 : 方便
범어(산스크리트) : upāya
영어 : expediency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가르침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묘법연화경 () [ 妙法蓮華經 ]

<<정토론주>>에 나타난 신(信)의 의미 고찰

<<淨土論註>>の信に対する考察

동아시아불교문화 | 9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修禪結社文』의 구성과 修禪作法

The construction of SU-SEON-GYULSA-MOON & the method of sitting-meditations

禪學(선학) | 25 | 2010 | 응용불교학

『修禪結社文』의 구성과 修禪作法

The construction of SU-SEON-GYULSA-MOON & the method of sitting-meditations

禪學(선학) | | 25 | 2010 | 응용불교학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와 교육: 반신(半神)으로서 시인의 시작(詩作)과 현존재들 사이의 진리 공유

Fragments of Education Concealed in Heidegger's Thought of Being: Poet as Demigod, His Poetic Words for Converting people to Authentic Dasein, and Educational Truth-sharing

교육원리연구 | 15 | 2 | 2010 | 교육학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와 교육: 반신(半神)으로서 시인의 시작(詩作)과 현존재들 사이의 진리 공유

Fragments of Education Concealed in Heidegger's Thought of Being: Poet as Demigod, His Poetic Words for Converting people to Authentic Dasein, and Educational Truth-sharing

교육원리연구 | 15 | 2 | 2010 | 교육학

단전주선(丹田住禪)과 간화선(看話禪)의 응용

Application of Dan-Jeon-Ju-Seon and Gan-Hwa-Seon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8 | 1 | 2012 | 응용불교학

『정토론』의 불토관 고찰

『净土論』の佛土觀の考察

동아시아불교문화 | 11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불교의 방편 개념의 이해와 기독교적 적용

The Application of the Buddhist Concep ‘Upaya’ in Christianity

한국조직신학논총 | 26 | 2010 | 조직신학

불교의 방편 개념의 이해와 기독교적 적용

The Application of the Buddhist Concep ‘Upaya’ in Christianity

한국조직신학논총 | | 26 | 2010 | 조직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