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연구분야 : G010000 예술체육 > 예술일반

클래스 : 인간(직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960

한자 : 俳優
영어 : actor

a01-06-01 인간(직업)

활동

[R] 연기 -> 8036 (演技)

직업분류(군)

문화 예술 스포츠전문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연기자 [ 演技者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1-05-01 인간(재능) 인간(재능)

연예인 [ 演藝人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온나가타 [ 女形 ]

hasKind (종류)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영화 배우 () [ 映畵俳優 ]

hasKind (종류)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연극 배우 [ 演劇俳優 ]

hasKind (종류)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R] 애니메이션 배우 () [ --俳優 ]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여배우 [ 女俳優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배우 계보 [ 俳優系譜 ]

hasComponent (구성요소)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주연 배우 () [ 主演俳優 ]

hasComponent (구성요소)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조연 배우 [ 助演 俳優 ]

R1:개념적

hasAgent ((행위)주체자)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배역 [ 配役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배우 지망생 [ 俳優志望生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페이소스 [pathos]

isAppliedTo (적용 대상)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연기 시스템 [ 演技-- ]

produces (대상 개념)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연극 () [ 演劇 ]

produces (대상 개념)

 

b01-05 신체운동/행동 신체운동/행동

신체 표현 () [ 身體表現 ]

마당극이 수용한 전통적 미의식과 그 응용

Traditional Aesthetic Awareness Adopted by Madang-geuk and its Application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마당극이 수용한 전통적 미의식과 그 응용

Traditional Aesthetic Awareness Adopted by Madang-geuk and its Application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조연 배우 박제행(朴齊行) 연구

A Study of an actor Park Jehaeng

한국연극학 | 42 | 2010 | 연극

조연 배우 박제행(朴齊行) 연구

A Study of an actor Park Jehaeng

한국연극학 | | 42 | 2010 | 연극

공연에서 나타나는 '전이'와 배우의 '심리적 경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erformer's Transference and Mental Borderline in a Performance

공연문화연구 | 25 | 2012 | 기타예술일반

배우 신불출, 웃음의 정치

Actor Shin Bul-chul, the Politics of 'Laugh'

한국극예술연구 | 33 | 2011 | 예술체육학

로베르 브레송 영화에서 연기자의 개념

La notion d'acteur chez Robert Bresson

프랑스학연구 | 61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Actor's Speech Regression for Character Design in Contemporary Korean Cinema : Analysis of Quantified Characteristics of Disfluencies in Spontaneous Speech

한국 현대영화에서 캐릭터 디자인을 위해 나타나는 대사의 퇴행 : 대화체 대사의 비유창성에 대한 정량적 특징 분석

씨네포럼 | 11 | 2010 | 영화

Actor's Speech Regression for Character Design in Contemporary Korean Cinema : Analysis of Quantified Characteristics of Disfluencies in Spontaneous Speech

한국 현대영화에서 캐릭터 디자인을 위해 나타나는 대사의 퇴행 : 대화체 대사의 비유창성에 대한 정량적 특징 분석

씨네포럼 | | 11 | 2010 | 영화

야담 문학에 나타난 조선 배우의 삶

Various Life Conditions of Actors of Joseon Periods in Unofficial Historical Stories.

공연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예술일반

「함지」(咸池) 악론을 통해 본 배우의 존재 방식

The Style of Existence of Actors in 「Hamji」

한국연극학 | 42 | 2010 | 연극

「함지」(咸池) 악론을 통해 본 배우의 존재 방식

The Style of Existence of Actors in 「Hamji」

한국연극학 | | 42 | 2010 | 연극

Zur Semiotik des weiblichen Film-Stars

여성 영화배우의 기호학

카프카 연구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Zur Semiotik des weiblichen Film-Stars

여성 영화배우의 기호학

카프카 연구 |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앙토냉 아르토 혹은 ‘문제적 영화인’

Antonin Artaud ou 'L‘Homme de cinéma' en question

불어불문학연구 | 86 | 2011 | 프랑스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