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연구분야 : B160401 사회과학 > 지리학 > 지역지리학 > 한국지리

클래스 : 산/산맥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978

STNet ID : 1000404

한자 : 白頭山

x01-04 산/산맥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산(山) () [ 山 ]

S:동의

UF (비우선어)

 

 

불함산 [ 不咸山 ]

UF (비우선어)

 

 

백두 [ 白頭 ]

UF (비우선어)

 

 

장백산 () [ 長白山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e04-03 자연적공간 / Z99 기타주제어 기타주제어

산(山) () [ 山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화산 지형 [ 火山地形 ]

R1:개념적

RT (관련어)

 

x01-04 산/산맥명 산/산맥명

백두용암대지 [ 白頭熔岩臺地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윤각 () [ 尹慤 ]

시론 ‘長白山’과 ‘鴨綠水’의 위치 검토-고려이전을 중심으로-

Contemporary opinion, Review for location of Jangbaeksan Mountain(長白山) and Aproksu(鴨綠水) -Focused on before Goryeo dynasty-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미량성분을 이용한 동해 기곡 구석기유적 출토 흑요석의 산지 연구

Provenance Study of Obsidian excavated from Gigok paleolithic age site in Donghae-si using Trace Elements

한국상고사학보 | 70 | 70 | 2010 | 역사학

미량성분을 이용한 동해 기곡 구석기유적 출토 흑요석의 산지 연구

Provenance Study of Obsidian excavated from Gigok paleolithic age site in Donghae-si using Trace Elements

한국상고사학보 | 70 | 70 | 2010 | 역사학

시론 ‘長白山’과 ‘鴨綠水’의 위치 검토-고려이전을 중심으로-

Contemporary opinion, Review for location of Jangbaeksan Mountain(長白山) and Aproksu(鴨綠水) -Focused on before Goryeo dynasty-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백두산 일대에 나타나는 구조토 보고

A Report on Patterned Ground in the Baekdusan

한국지형학회지 | 17 | 1 | 2010 | 지리학

백두산 일대에 나타나는 구조토 보고

A Report on Patterned Ground in the Baekdusan

한국지형학회지 | 17 | 1 | 2010 | 지리학

일제시기 단군을 둘러싼 한일간의 공방

Disputes on Dangun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Colonial Period

韓國史學史學報 | 22 | 2010 | 역사학

일제시기 단군을 둘러싼 한일간의 공방

Disputes on Dangun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Colonial Period

韓國史學史學報 | | 22 | 2010 | 역사학

한국의 화산지형 연구

Volcanic landforms in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8 | 4 | 2011 | 지리학

‘중 · 북 국경문제 해결’에 대한 역사적 고찰(1950-1964)

A 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e Boundary Issue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1950-1964)

아태연구 | 19 | 1 | 2012 | 사회과학일반

백두산: 만들어진 전통과 표상

Baekdu Mountain: The Invention of Tradition and the emblems

미술사학보 | 36 | 2011 | 미술

白頭山(長白山)和 中.韓(朝鮮) 國境線 問題

白頭山(長白山)和中.韓(朝鮮)國境線 問題 (The Borderline between Korea and China along with Paekdusan)

국학연구론총 | 8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조선인 관료의 백두산 여행과 간도 인식―『백두산유람록』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Gando:A Korean bureaucrat’s trip to Baekdusan(Mt. Baekdu) during the Colonial Period:Namely Baekdusan yuramrok

藏書閣 | 24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 조선인 관료의 백두산 여행과 간도 인식―『백두산유람록』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Gando:A Korean bureaucrat’s trip to Baekdusan(Mt. Baekdu) during the Colonial Period:Namely Baekdusan yuramrok

藏書閣 | | 24 | 2010 | 역사학

백두산 빙하지형의 존재 가능성과 제4기 화산활동과의 관계

Some Evidences for Glacial Landforms on the Baekdusan and Its Implications to Quaternary Volcanic Eruptions

대한지리학회지 | 47 | 2 | 2012 | 지리학

白頭山(長白山)和 中.韓(朝鮮) 國境線 問題

白頭山(長白山)和中.韓(朝鮮)國境線 問題 (The Borderline between Korea and China along with Paekdusan)

국학연구론총 | 8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지도에 표현된 백두산에 대한 고찰

A Study of Mount Baekdu in the Maps of Joseon Period

문화역사지리 | 23 | 2 | 2011 | 인문지리학

시뮬레이션에 의한 백두산 화산분출 영향범위 분석

An Analysis on Influence Area by the Simulation over Mt. Baekdu Eruption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3 | 2011 | 지리학

백두산 화산 폭발에 의한 탈북: 향방과 대비

The Escape of North Korean Refugees due to the Baekdu Mt. Volcanic Eruption: Direction and Preparation

국방연구 | 54 | 3 | 2011 | 정책학

고은의 ≪백두산≫에 나타난 망각과 기억의 서사

A study on the Narrative as forgetting and remembering in Baekdusan by Ko un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은의 ≪백두산≫에 나타난 망각과 기억의 서사

A study on the Narrative as forgetting and remembering in Baekdusan by Ko un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