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 무장투쟁

연구분야 :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클래스 : 개혁(개편/재편/혁신)
역(대립/논쟁/투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9930

한자 : 抗日武裝鬪爭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항일 전쟁 [ 抗日戰爭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무장 투쟁 () [ 武裝鬪爭 ]

R1:개념적

RT (관련어)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항일 [ 抗日 ]

문학과 정치 - 한설야의 「력사」의 개작과 평가의 문제성

Literature and Politics - The Problematic Adaptation and Evaluation of Han Sulya’s History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북·중 관계에 미친 연안파의 위상 재조명: 정치·군사적 평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북·중 관계에 미친 연안파의 위상 재조명: 정치·군사적 평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한설야의 「혈로」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Han Sulya’s A Way of Blood and awareness of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만주지역 민족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Trends and Tasks of Manchurian National Movement History Research

군사연구 | 129 | 2010 | 역사학

만주지역 민족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Trends and Tasks of Manchurian National Movement History Research

군사연구 | | 129 | 2010 | 역사학

북한의 항일무장투쟁 전통과 민족 만들기-민족주의와 권력, 담론, 주체

한국사회학 | 46 | 1 | 2012 | 사회학

일제하 재만 항일무장투쟁의 추이와 의미(Ⅰ)

Trend & Meaning of Armed Anti-Japan Struggle in Manju Area under Japanese Imperialism(Ⅰ)

군사연구 | 130 | 2010 | 역사학

일제하 재만 항일무장투쟁의 추이와 의미(Ⅰ)

Trend & Meaning of Armed Anti-Japan Struggle in Manju Area under Japanese Imperialism(Ⅰ)

군사연구 | | 130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