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연구분야 : A020609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 문화재학
G030000 예술체육 > 미술

클래스 : 물품/제품/생산품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997

한자 : 白磁
동의어(UF) : 백자기(白磁器)
한자 : 白瓷

a04-01 물품/제품/생산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자기 [ 瓷器 ]

isKindOf (상위 유형)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도자기 () [ 陶瓷器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고려 백자 () [ 高麗白磁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정요 [ 定黨 ]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청백자 [ 靑白瓷 ]

hasKind (종류)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상감 백자 () [ 象嵌白磁 ]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철화 백자 () [ 鐵畵白瓷 ]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청화 백자 () [ 靑華白瓷 ]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조선 백자 () [ 朝鮮白磁 ]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순백자 [ 純白瓷 ]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청자 [ 靑瓷 ]

조선 전기 공납용 백자제작에 따른 분청사기 양식변화

Evolution of the Buncheong War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the White Porcelain Takes over the Taxation Supply

미술사학 | 24 | 2010 | 미술

조선 전기 공납용 백자제작에 따른 분청사기 양식변화

Evolution of the Buncheong War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the White Porcelain Takes over the Taxation Supply

미술사학 | 24 | | 2010 | 미술

하재일기(荷齋日記)를 통해 본 조선 말기 분원

A Study on the Bunwon(分院) from 1891 to 1910 based on the Hajae(荷齋)’s Diary

강좌미술사 | 34 | 2010 | 미술

하재일기(荷齋日記)를 통해 본 조선 말기 분원

A Study on the Bunwon(分院) from 1891 to 1910 based on the Hajae(荷齋)’s Diary

강좌미술사 | | 34 | 2010 | 미술

楊口地域의 白磁와 白土

White Porcelains and White Clay in Yangu Area,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인문과학연구 | 33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상주 백자의 문헌적 일고찰

A Philological Study of the White Porcelain Made in Sangju in the Late Joseon Period

한국디자인포럼 | 34 | 2012 |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