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된 냉전, 그리고 혁명; 사르트르, 마르크시즘, 실존과 혁명
Translated Cold War and Revolution; Sartre, Marxism, Existentialism and Revolution
서강인문논총 |
31 |
2011 |
기타인문학
흥행 장의 정치경제학과 폭력의 구조, 1945~1961
The Political Economy to Hŭnghang Field and the Structure of Violence, 1945~1961
대동문화연구 |
74 |
2011 |
기타인문학
1960년대의 『한양』에 실린 소설의 문제의식 ―― 『 한양』의 매체사회학적 위상을 중심으로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Novel in 『Hanyang(한양)』 in the 1960s - On the Media Sociological Position of 『Hanyang(한양)』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의 『한양』에 실린 소설의 문제의식 ―― 『 한양』의 매체사회학적 위상을 중심으로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Novel in 『Hanyang(한양)』 in the 1960s - On the Media Sociological Position of 『Hanyang(한양)』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회보장법 형성의 풍토적 특징- ‘전문집단 헌신’ 주도 속의 ‘국민저항과 집권층대응’의 ‘정치적 산물’ -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Social Security Law Formation in South Korea- A Political Result of the Struggles Between People’s Resistance and Governmental Response, led by Devoted Expert Group -
서울대학교 법학 |
52 |
3 |
2011 |
법학
한국산업은행원의 식민지 기억과 탈식민 -『産友』(1954~1971)를 중심으로-
Korea Development Bank's employees' memory of the colonial period and decolonization -focused on Sanwoo(産友, 1954~1971)-
한국사연구 |
152 |
2011 |
역사학
사랑의 담론과 정치적인 것 :근원 회귀의 반복과 신인류 생산의 사이에서
Repeat of the return to the origin or the Produce of a new species? : Narrative of Love and the political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지배와 저항담론의 불협화음
The Dissonance of Dominant and Resistance Discourses in the 1st Republic of ROK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4 |
2010 |
역사학
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지배와 저항담론의 불협화음
The Dissonance of Dominant and Resistance Discourses in the 1st Republic of ROK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4 |
2010 |
역사학
‘외재하는 적’에서 ‘내재하는 적’과의 각축으로
경제와 사회 |
86 |
2010 |
사회학
‘외재하는 적’에서 ‘내재하는 적’과의 각축으로
경제와 사회 |
|
86 |
2010 |
사회학
유신체제 이전 충남대 학생운동의 양상과 성격
The Aspect and Nature of the Chungnam University Students' Movement before Yushin(維新) System
인문학연구 |
41 |
3 |
2012 |
기타인문학
이승만과 3·15 부정선거
Syngman Rhee and the 3·15 Unfair Election
역사비평 |
96 |
2011 |
역사학
4·18고대생시위 주체의 정체성과 사회운동 전개 -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
The Identity of KU Student Movement’s Leaders and Development of Social Movement - Based on Oral History Data -
史叢(사총)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4·18고대생시위 주체의 정체성과 사회운동 전개 -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
The Identity of KU Student Movement’s Leaders and Development of Social Movement - Based on Oral History Data -
史叢(사총) |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4·19 혁명과 5·16 군사혁명의 상징성과 국민통합
A Study on the Symbolic meaning of Reconciliation between 4`19 Revolutionary and 5`16 Military government as a Useful way of National Interpretation
한국보훈논총 |
11 |
3 |
2012 |
기타사회학
1940~60년대 시대의 ‘불안’과 조지훈의 대응
The anxiety of ages and the response of Cho Ji-Hun during 1940~1960s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4・18 고대행동과 한국의 민주주의 - 고대 민주주의의 논리와 전망 -
4・18 KU Activism and Korea’s Democracy - The Logic and the Prospects of Korea University’s Democracy -
史叢(사총)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4・18 고대행동과 한국의 민주주의 - 고대 민주주의의 논리와 전망 -
4・18 KU Activism and Korea’s Democracy - The Logic and the Prospects of Korea University’s Democracy -
史叢(사총) |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1960년대 초 경주피학살자유족회사건의전개과정과 성격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Gyeongju Survivors Association Incident in early 1960's
사림 |
35 |
2010 |
역사학
1960년대 초 경주피학살자유족회사건의전개과정과 성격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Gyeongju Survivors Association Incident in early 1960's
사림 |
|
35 |
2010 |
역사학
문학, 사건, 혁명 : 4․19와 한국문학 -백낙청과 김현의 초기 비평을 중심으로-
Literature, Event, Revolution : 4ㆍ19 and Korean Literature -Focused on Early Criticism of Paik Nak-chung and Kim Hyun-
국제어문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 사건, 혁명 : 4․19와 한국문학 -백낙청과 김현의 초기 비평을 중심으로-
Literature, Event, Revolution : 4ㆍ19 and Korean Literature -Focused on Early Criticism of Paik Nak-chung and Kim Hyun-
국제어문 |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현대문학에서의 ‘어머니’ 표상과 ‘희생’ 서사
The Representation of Mother and the Narrative of Sacrifice in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석당논총 |
50 |
2011 |
기타인문학
4․19와 장면정부의 수립: 『사상계』의 당대 정치담론을 통해 본 재고찰
4∙19 & the Establishment of Chang Myun Government: Rethinking Through Political Discourses of 'SaSangGye'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4․19와 장면정부의 수립: 『사상계』의 당대 정치담론을 통해 본 재고찰
4∙19 & the Establishment of Chang Myun Government: Rethinking Through Political Discourses of 'SaSangGye'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이브의 범죄와 혁명
The Crime of Eve and the Revolution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이브의 범죄와 혁명
The Crime of Eve and the Revolution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신동문 시 연구: 생애의 전환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Shin Dong-Moon's Poetry -Focusing on the turning point of his life-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허정과도정부 시기 한국 영화계 연구 -4.19혁명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uth Korean cinema in the period of the Heo-jeong interim administration - Focused on the 4.19 revolution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26 |
2010 |
기타인문학
허정과도정부 시기 한국 영화계 연구 -4.19혁명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uth Korean cinema in the period of the Heo-jeong interim administration - Focused on the 4.19 revolution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
26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현대문학에서의 ‘어머니’ 표상과 ‘희생’ 서사
The Representation of Mother and the Narrative of Sacrifice in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석당논총 |
50 |
2011 |
기타인문학
이청준, <가수(假睡)>의 소설학
Philosophy of Fiction-writing of Cheongjoon Lee’s Short Fiction,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신동문 시 연구: 생애의 전환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Shin Dong-Moon's Poetry -Focusing on the turning point of his life-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끝에서 본 기원과 비평/문학 연구
The Origin Viewed from the End and Critic/Literary Study
상허학보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1차 인혁당’ 연구
A Study on ‘People’s Revolution Party in 1960s
역사비평 |
95 |
2011 |
역사학
혁명, 시, 여성(성) —1960년대 참여시에 나타난 여성
Revolution, Poetry, and Women
여성문학연구 |
23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혁명, 시, 여성(성) —1960년대 참여시에 나타난 여성
Revolution, Poetry, and Women
여성문학연구 |
23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교실에서의 「광장」 읽기
Reading 「Guangjang」 in Literature-class
문학교육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교실에서의 「광장」 읽기
Reading 「Guangjang」 in Literature-class
문학교육학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4월혁명의 기억과 글쓰기 ― 문학 속의 4ㆍ19, 특히 소설을 중심으로 ―
The Memory of April Revolution and Writing ― Focussing on April Revolution in Literature, Particularly in Novels ―
작문연구 |
12 |
2011 |
한국어와문학
1960년 전후 (성)문화풍속과 ‘사랑’의 사회성 —손창섭의 <부부>(1962)를 중심으로—
The Sexual Customs in the proximity 1960 and the Publicity of Love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 전후 (성)문화풍속과 ‘사랑’의 사회성 —손창섭의 <부부>(1962)를 중심으로—
The Sexual Customs in the proximity 1960 and the Publicity of Love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반정부 시위의 정치동학 차이 비교: 한국의 4·19 민주항쟁과 버마의 샤프론혁명
A Comparative Study of the Different Political Dynamics between the April 19 Demonstration of South Korea in 1960 and Saffron Revolution of Burma in 2007
한국정치연구 |
20 |
1 |
2011 |
한국정치사회
1960년 전후 박경리의 글쓰기에 나타난 역사의식 -『내 마음은 호수』·『노을진 들녘』을 중심으로
Park Kyung-ni's Historical Consciousness which appears in 1960s works
人文科學硏究 |
29 |
2011 |
기타인문학
‘의거’와 ‘혁명’ 사이, 잊힌 여성의 서사들
Between ‘Movement’ and ‘Revolution’ : Epos of Forgotten Women
여성문학연구 |
23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의거’와 ‘혁명’ 사이, 잊힌 여성의 서사들
Between ‘Movement’ and ‘Revolution’ : Epos of Forgotten Women
여성문학연구 |
23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4·19혁명의 유산과 궁핍한 시대의 리얼리즘 ―1960~70년대 백낙청의 비평과 역사의식
The Legacy of Revolution and Realism of the Age of Poverty(dürftige Zeit) ―Criticism of Paik Nak-chung in 1960~1970's
상허학보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청년문화론에서의 ‘문화/정치’의 경계 문제
A Study on the boundary line of ‘culture/politics’ in Youth Culture’s theo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헌정체제론의 시각에서 본 4월혁명의 역사적 기원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April 19 Revolu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titutional Regime
한국정치연구 |
19 |
2 |
2010 |
한국정치사회
헌정체제론의 시각에서 본 4월혁명의 역사적 기원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April 19 Revolu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titutional Regime
한국정치연구 |
19 |
2 |
2010 |
한국정치사회
권태와 혁명: 4․19 공간의 이호철 소설 연구
Boredom and Revolution : Focusing on the Lee, Ho-Cheol's Works in the Space of 4․19 Revolution
비평문학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권태와 혁명: 4․19 공간의 이호철 소설 연구
Boredom and Revolution : Focusing on the Lee, Ho-Cheol's Works in the Space of 4․19 Revolution
비평문학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 마산의거에 대한 ‘특수성’과 ‘보편성’ 논쟁
The Debate of the 1960 Masan Movement's ‘Uniqueness’ and ‘Universality’
이화사학연구 |
43 |
2011 |
기타역사일반
1960년 전후 박경리의 글쓰기에 나타난 역사의식 -『내 마음은 호수』·『노을진 들녘』을 중심으로
Park Kyung-ni's Historical Consciousness which appears in 1960s works
人文科學硏究 |
29 |
2011 |
기타인문학
4월 혁명의 헌정사적 영향과 의회민주주의 실현의 과제 -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과 관련하여 -
Der Einfluß der April-Revolution und die Aufgabe der Verwirklichung der parlamentarischen Demokratie : in bezug auf die Verfassungsänderung und die Reform der Politik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4월 혁명의 헌정사적 영향과 의회민주주의 실현의 과제 -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과 관련하여 -
Der Einfluß der April-Revolution und die Aufgabe der Verwirklichung der parlamentarischen Demokratie : in bezug auf die Verfassungsänderung und die Reform der Politik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전통이 된 혁명, 혁명이 된 전통
Traditionalized Revolution, Revolutionized Tradition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통이 된 혁명, 혁명이 된 전통
Traditionalized Revolution, Revolutionized Tradition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4월 민주혁명과 혁명정신의 역사적 재현 문제
The April Democratic Revolution and The Problem of Historical Representation of Revolutionary Spirit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4월 민주혁명과 혁명정신의 역사적 재현 문제
The April Democratic Revolution and The Problem of Historical Representation of Revolutionary Spirit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4.19혁명기 노동운동의 민주주의 이행전략
Transference Strategy of Labor Movement for Democracy during Revolutional 4.19 Period
민주주의와 인권 |
10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4.19혁명기 노동운동의 민주주의 이행전략
Transference Strategy of Labor Movement for Democracy during Revolutional 4.19 Period
민주주의와 인권 |
10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국 헌법의 정신사: 헌법전문의 “4・19 민주이념 도입”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The History of Korean Constitution in terms of its Spirit: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April 19 Uprising into the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정치사상연구 |
17 |
1 |
2011 |
정치외교학
‘4‧19’와 현대 소설교육 -제2차 국어과 교육과정(1963~1973)을 중심으로-
4‧19 and Modern Novel Education in The 2nd Curriculum
문학교육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4‧19’와 현대 소설교육 -제2차 국어과 교육과정(1963~1973)을 중심으로-
4‧19 and Modern Novel Education in The 2nd Curriculum
문학교육학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알레고리로서의 4·19와 5·19 : 박종홍과 마루야마 마사오의 1960
4·19 and 5·19 as an Allegory : 1960 for Park jonghong and Maruyama Masao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알레고리로서의 4·19와 5·19 : 박종홍과 마루야마 마사오의 1960
4·19 and 5·19 as an Allegory : 1960 for Park jonghong and Maruyama Masao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회색인>에 나타난 '혁명'과 '글쓰기'
A Study on 'Revolution' and 'Writing' in 『The Grey Man』
비평문학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회색인>에 나타난 '혁명'과 '글쓰기'
A Study on 'Revolution' and 'Writing' in 『The Grey Man』
비평문학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4월혁명과 북한문학―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 『문학신문』을 중심으로
The April Revolution and North 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the Joseon Writers Alliance Bulletin 『Munhak Sinmun』
한국민족문화 |
40 |
2011 |
기타인문학
4월 혁명과 여성들의 참여 양상 - 여성신생활운동과 장면정권과의 갈등을 중심으로 -
The April Revolution and the Pattern of Women’s Participation - Focused on conflict between women’s new life movement and Jang Myeon’s government -
여성과 역사 |
12 |
2010 |
여성사(역사학)
4월 혁명과 여성들의 참여 양상 - 여성신생활운동과 장면정권과의 갈등을 중심으로 -
The April Revolution and the Pattern of Women’s Participation - Focused on conflict between women’s new life movement and Jang Myeon’s government -
여성과 역사 |
|
12 |
2010 |
여성사(역사학)
4월혁명과 이승만 정권의 붕괴 과정 -민주항쟁과 민주당, 미국, 한국군의 대응-
April Revolution and the Fall of Syngman Rhee Regime in South Korea - Struggle for Democracy and Reactions from Democratic Party, United States, and Korean Troops -
역사문화연구 |
36 |
2010 |
역사학
4월혁명과 이승만 정권의 붕괴 과정 -민주항쟁과 민주당, 미국, 한국군의 대응-
April Revolution and the Fall of Syngman Rhee Regime in South Korea - Struggle for Democracy and Reactions from Democratic Party, United States, and Korean Troops -
역사문화연구 |
|
36 |
2010 |
역사학
4월 혁명의 헌정사적 영향과 의회민주주의 실현의 과제 -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과 관련하여 -
Der Einfluß der April-Revolution und die Aufgabe der Verwirklichung der parlamentarischen Demokratie : in bezug auf die Verfassungsänderung und die Reform der Politik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4월 혁명의 헌정사적 영향과 의회민주주의 실현의 과제 -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과 관련하여 -
Der Einfluß der April-Revolution und die Aufgabe der Verwirklichung der parlamentarischen Demokratie : in bezug auf die Verfassungsänderung und die Reform der Politik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4.19혁명기 노동운동의 민주주의 이행전략
Transference Strategy of Labor Movement for Democracy during Revolutional 4.19 Period
민주주의와 인권 |
10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4.19혁명기 노동운동의 민주주의 이행전략
Transference Strategy of Labor Movement for Democracy during Revolutional 4.19 Period
민주주의와 인권 |
10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현대시 교육과 4‧19혁명
A Study on Teaching Contemporary Poetry and 4‧19 Revolution
문학교육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 교육과 4‧19혁명
A Study on Teaching Contemporary Poetry and 4‧19 Revolution
문학교육학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순수’한 청년들의 ‘평화’ 시위와 오염된 정치 공간의 정화 - 4월혁명기에 선호된 어휘에 대한 개념사적 접근을 중심으로
‘Pure’ young people's ‘peaceful’ demonstr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polluted political space - Focusing on the approach of conceptual history about the favored words in April Revolution period
상허학보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 교육과 4‧19혁명
A Study on Teaching Contemporary Poetry and 4‧19 Revolution
문학교육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 교육과 4‧19혁명
A Study on Teaching Contemporary Poetry and 4‧19 Revolution
문학교육학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4․19 공간 경험과 거리의 모더니티
Spatial Experience of April 19 Revolution And Modernity on the Streets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4․19 공간 경험과 거리의 모더니티
Spatial Experience of April 19 Revolution And Modernity on the Streets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양의 4월혁명 인식과 그 세계사적 의미 -영국, 프랑스, 미국의 언론과 외교문서를 바탕으로-
The Western Perception of the Korean April Revolution and its significance in World History: Based on the British, French and American Newspapers and diplomatic documents
史叢(사총)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서양의 4월혁명 인식과 그 세계사적 의미 -영국, 프랑스, 미국의 언론과 외교문서를 바탕으로-
The Western Perception of the Korean April Revolution and its significance in World History: Based on the British, French and American Newspapers and diplomatic documents
史叢(사총) |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4월혁명’과 일본
April Revolution and Japan
史叢(사총)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4월혁명’과 일본
April Revolution and Japan
史叢(사총) |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젊은 사자들’의 혁명과 증발되어버린 ‘그/녀들’ —4월혁명의 재현 방식과 배제의 수사학
‘Young Lions’ Revolution and The Lower Classes' Evaporation —Representation of April Revolution and rhetoric of elimination
여성문학연구 |
23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젊은 사자들’의 혁명과 증발되어버린 ‘그/녀들’ —4월혁명의 재현 방식과 배제의 수사학
‘Young Lions’ Revolution and The Lower Classes' Evaporation —Representation of April Revolution and rhetoric of elimination
여성문학연구 |
23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청년 세대'의 4월혁명과 저항 의례의 문화정치학
The "Young Generation"'s April Revoluti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Resistance Rituals
사이間SAI |
9 |
2010 |
기타국문학
'청년 세대'의 4월혁명과 저항 의례의 문화정치학
The "Young Generation"'s April Revoluti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Resistance Rituals
사이間SAI |
|
9 |
2010 |
기타국문학
4월혁명의 기억과 글쓰기 ― 문학 속의 4ㆍ19, 특히 소설을 중심으로 ―
The Memory of April Revolution and Writing ― Focussing on April Revolution in Literature, Particularly in Novels ―
작문연구 |
12 |
2011 |
한국어와문학
4・19민주항쟁 직후 한국 지식인들의 민주주의 인식 - 자유민주주의와 민주적 사회주의를 중심으로
Korean Intellectuals’ Perspective on Democracy after 4・19 Democratic Movement - Focused on Liberal Democracy and Democratic Socialism
史叢(사총)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4・19민주항쟁 직후 한국 지식인들의 민주주의 인식 - 자유민주주의와 민주적 사회주의를 중심으로
Korean Intellectuals’ Perspective on Democracy after 4・19 Democratic Movement - Focused on Liberal Democracy and Democratic Socialism
史叢(사총) |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소환되는 역사와 혁명의 기억 -최인훈과 이병주의 소설을 중심으로
Recalled History and Memories of 4·19 Revolution -focusing on Choi Inhoon and Yi Beongju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환되는 역사와 혁명의 기억 -최인훈과 이병주의 소설을 중심으로
Recalled History and Memories of 4·19 Revolution -focusing on Choi Inhoon and Yi Beongju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4·19와 5·16, 자유와 빵의 토포스
The Topology of April Uprising and May 16 Coup-d'état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4·19와 5·16, 자유와 빵의 토포스
The Topology of April Uprising and May 16 Coup-d'état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4월혁명 직후 학생운동의‘후진성’ : 극복 지향과 동요
The Student Movement after the April Revolution, and Their Aspiration to Overcome the ‘underdeveloped nature’ of the Korean Society
기억과 전망 |
|
22 |
2010 |
사회학
4ㆍ19 직후 정국수습 논의와 내각책임제 개헌
Argument over Settlement of Political Crisis and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to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Right After the 4ㆍ19 Uprising
이화사학연구 |
40 |
2010 |
기타역사일반
4ㆍ19 직후 정국수습 논의와 내각책임제 개헌
Argument over Settlement of Political Crisis and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to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Right After the 4ㆍ19 Uprising
이화사학연구 |
|
40 |
2010 |
기타역사일반
4월 혁명의 순환구조와 6.3 항쟁: 역사주기론의 시각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the April Revolution and the 6.3 Democratic Uprising: Focused on the Historical Cycle Approach
한국과 국제정치 |
26 |
2 |
2010 |
정치외교학
4월 혁명의 순환구조와 6.3 항쟁: 역사주기론의 시각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the April Revolution and the 6.3 Democratic Uprising: Focused on the Historical Cycle Approach
한국과 국제정치 |
26 |
2 |
2010 |
정치외교학
4월혁명 기억의 제도화와 사회적 결과
Institutionalization of the April Revolution’s Memory and Its Social Effects
기억과 전망 |
|
22 |
2010 |
사회학
4월 혁명과 한국의 민족주의
April Revolution and Korean Nationalism
史叢(사총)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