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치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061

STNet ID : 9001712

한자 : 法治
영어 : constitutional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통치 [ 統治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패도 [ 覇道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제자백가서 [ 諸子百家書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상군서 [ 商君書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법(法) () [ 法 ]

명말 청초 經史학파의 專制的 帝國체제 비판 ― 黃宗羲와 顧炎武를 중심으로 ―

The debate of political reform by the school of classics and history in 17th-century China

명청사연구 | 36 | 2011 | 역사학

르네상스기 이태리 도시국가의 정부: 자유와 법치의 공화정

The Italian Republics in Renaissance: Towards the Balance between Liberty and Peace

한국정치연구 | 19 | 2 | 2010 | 한국정치사회

르네상스기 이태리 도시국가의 정부: 자유와 법치의 공화정

The Italian Republics in Renaissance: Towards the Balance between Liberty and Peace

한국정치연구 | 19 | 2 | 2010 | 한국정치사회

조선후기 예학과 실학, 그리고 詩樂 —문체반정과 악풍반정—

Poetry and Mus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nd practical science(實學)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朝鮮)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예학과 실학, 그리고 詩樂 —문체반정과 악풍반정—

Poetry and Mus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nd practical science(實學)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朝鮮)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의 행정개혁과 ‘중국모델’:신공공관리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개혁이념

On Reflection about New Public Management and New Reform Idea

현대사회와 행정 | 21 | 2 | 2011 | 사회과학일반

플라톤의 정치이론 체계에서 『법률(Nomoi)』의 의의 -『법률(Nomoi)』의 독해방식에 대한 하나의 제안-

The Significance of 『Nomoi(Laws)』 in the System of Plato’s Political Theory -A Suggestion on How to Read 『Nomoi(Laws)』-

법사학연구 | 42 | 2010 | 법사학

플라톤의 정치이론 체계에서 『법률(Nomoi)』의 의의 -『법률(Nomoi)』의 독해방식에 대한 하나의 제안-

The Significance of 『Nomoi(Laws)』 in the System of Plato’s Political Theory -A Suggestion on How to Read 『Nomoi(Laws)』-

법사학연구 | | 42 | 2010 | 법사학

중국의 법원개혁과 법관의 직업화

China’s Court Reform and Professionalization of Judges

중소연구 | 35 | 4 | 2012 | 사회과학

정부의 질과 불편부당성(Impartiality)

Quality of Government and Impartiality

정부학연구 | 17 | 3 | 2011 | 행정학

북한의 경제법제와 거시경제정책의 이중성: 중국과 베트남 경제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Oscillation of the Macro Economic Policy and Rule by Law in North Korea

한국정치연구 | 19 | 1 | 2010 | 한국정치사회

북한의 경제법제와 거시경제정책의 이중성: 중국과 베트남 경제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Oscillation of the Macro Economic Policy and Rule by Law in North Korea

한국정치연구 | 19 | 1 | 2010 | 한국정치사회

『管子』의 정치관에 나타난 위민의식

The Wee-Min(爲民) Principles in the political views of Guan Zi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管子』의 정치관에 나타난 위민의식

The Wee-Min(爲民) Principles in the political views of Guan Zi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孔子의 正名論에 대한 일고찰

Some Reflections on Confucian 'Rectification of Names(正名)'

철학연구 | 118 | 2011 | 철학

Democracy and Dictatorship: Neoliberalism and the State of Exception

민주주의와 독재: 신자유주의와 예외국가

마르크스주의 연구 | 7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Democracy and Dictatorship: Neoliberalism and the State of Exception

민주주의와 독재: 신자유주의와 예외국가

마르크스주의 연구 | 7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플라톤의 인치와 법치:철인통치의 법치화

Plato's rule of person and rule of law: Institutionalization of Philosopher's King through rule of law

Oughtopia (오토피아) | 25 | 1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플라톤의 인치와 법치:철인통치의 법치화

Plato's rule of person and rule of law: Institutionalization of Philosopher's King through rule of law

Oughtopia (오토피아) | 25 | 1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플라톤 정치사상에서 철인지배와 법치의 상보적 통합성: ‘좋은 법질서’(eunomia)를 향한 철학적 충동

Inter-supplementary Integration of the Rule of Wise Man and the Rule of Law in Plato’s Political Thought: Philosophical Impulse Toward ‘a Good Legal Order’(eunomia)

법철학연구 | 13 | 3 | 2010 | 법학

플라톤 정치사상에서 철인지배와 법치의 상보적 통합성: ‘좋은 법질서’(eunomia)를 향한 철학적 충동

Inter-supplementary Integration of the Rule of Wise Man and the Rule of Law in Plato’s Political Thought: Philosophical Impulse Toward ‘a Good Legal Order’(eunomia)

법철학연구 | 13 | 3 | 2010 | 법학

유가철학에서 본 리더의 자질론 - 선진유가철학을 중심으로 -

從儒家哲學看領袖的才能與品德

동양철학연구 | 69 | 2012 | 철학

한국의 법 전통과 소셜미디어 규제

Korea's Legal Tradition and Social Media Regulations

의정연구 | 18 | 1 | 2012 | 정치외교학

법과 법치 개념의 본질적 경합가능성에 대한 연구

The Essential Contestability of the Concepts of Law and the Rule of Law

법철학연구 | 15 | 2 | 2012 | 법학

중국 근대의 형성과 문화 ― 세계화시대의 동아시아 담론 ―

Formation of modernity and culture in China: a discourse of East Asia in globalized age

동양사학연구 | 115 | 2011 | 역사학

The Resource Curse, Corruption, Rule of Law

자원의 저주, 부패, 법치 수준

에너지경제연구 | 10 | 2 | 2011 | 경제학

중국의 법치 논쟁과 정치개혁

China's Debates on Rule of Law and Political Reform

한국과 국제정치 | 26 | 4 | 2010 | 정치외교학

중국의 법치 논쟁과 정치개혁

China's Debates on Rule of Law and Political Reform

한국과 국제정치 | 26 | 4 | 2010 | 정치외교학

정파의 대립과 법치: 데이비드 흄의 논의를 중심으로

Party-Strifes and the Rule of Law

한국정치연구 | 19 | 2 | 2010 | 한국정치사회

정파의 대립과 법치: 데이비드 흄의 논의를 중심으로

Party-Strifes and the Rule of Law

한국정치연구 | 19 | 2 | 2010 | 한국정치사회

경제대국으로 가는 제도개혁: 제안

Institutional Reform for a Stronger Foundation of the Korean Economy

제도와 경제 | 4 | 1 | 2010 | 경제학일반

경제대국으로 가는 제도개혁: 제안

Institutional Reform for a Stronger Foundation of the Korean Economy

제도와 경제 | 4 | 1 | 2010 | 경제학일반

형치, 법치, 그리고 덕치 : 조선의 좋은 정치[善政]

The Governances by Punishment, Law and Virtue: 'Good Politics' in Joseon Dynasty

동양문화연구 | 8 | 2011 | 기타인문학

상앙의 농전론 연구

Shang Yang’s theory of agriculture and war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상앙의 농전론 연구

Shang Yang’s theory of agriculture and war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신도 사상에서 법과 권력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Law and Power in ‘Shin Do’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신도 사상에서 법과 권력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Law and Power in ‘Shin Do’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한비자의 정치사상

Han-feizi(韓非子)'s Political Thought

철학연구 | 121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