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그손

연구분야 : A030400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068

한자 :
프랑스어 : Henri Louis Bergson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앙리 베르그송 [Bergson, Henri Louis]

<인형의 집>의 수용과 1920년대 ‘생명’담론

Reception of A Doll's House and the 'Life' Discourse of 1920's.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근대성과 기억: 발터 벤야민과 T. S. 엘리엇

Modernity and Memory: Walter Benjamin and T. S. Eliot

T. S. 엘리엇연구 | 20 | 2 | 2010 | 영어와문학

근대성과 기억: 발터 벤야민과 T. S. 엘리엇

Modernity and Memory: Walter Benjamin and T. S. Eliot

T. S. 엘리엇연구 | 20 | 2 | 2010 | 영어와문학

들뢰즈의 씨네마톨로지: 이미지의 발생과 소멸

Deleuzian Cinematology: The Emergence and Extinction of Image

비교문학 | 53 | 2011 | 인문학

들뢰즈의 영화 미학에서 정서의 문제 — 변용에서 시간으로

Le problème de l’affect dans l’esthétique du cinéma de Deleuze : de l’affection au temps

美學(미학) | 69 | 2012 | 철학

들뢰즈의 감성론과 예술론 : 내포적 강도와 이미지

La sensibilité et l'art chez Deleuze : intensité et image

美學(미학) | 66 | 2011 | 철학

The New Time Immediacy, the Encounter of Bergson and Nāgārjuna’s Thought

베르그송과 나가르주나의 사유가 만나는 새로운 시간, 卽時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생명력’과 역사의식의 간극―김우진의 ‘생명력’의 사유와 일본의 생명담론

Gap between the ‘Lifeforce' and Perception of History ―Speculation of ‘Life Force' of Yujin Kim andDiscourses of Vitalism in Japan

한국민족문화 | 40 | 2011 | 기타인문학

들뢰즈의 『시네마 1: 운동-이미지』에 나타난 ‘운동’에 관한 논제—운동에 관한 베르그손의 첫 번째 논제를 중심으로

The First Thesis on the Movement in Deleuze’s Cinema 1: The Movement-Image

문학과 영상 | 13 | 1 | 2012 | 영상문학

무한분할을 통해서 본 베르그송의 ‘지속’과 나가르주나의 ‘공’

Bergson’s ‘Duration’ and Nāgārjuna’s ‘Emptiness’ through the infinitesimal division

동아시아불교문화 | 8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생명력의 리듬’의 형식 —김우진의 <산돼지>

Form of "The rhythm of the Lifeforce" -Kim, Yu-jin's SanDoeji(A wild boar)

반교어문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공간과 시간의 결절 -르페브르와 베르그손-

L’entrecroisement de l’espace et le temps: Lefebvre et Bergson

현상학과 현대철학 | 46 | 2010 | 철학

공간과 시간의 결절 -르페브르와 베르그손-

L’entrecroisement de l’espace et le temps: Lefebvre et Bergson

현상학과 현대철학 | | 46 | 2010 | 철학

하이데거와 베르그손의 시간개념 비교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Time in Heidegger and Bergson

철학논총 | 64 | 2 | 2011 | 철학

『댈러웨이 부인』에 나타난 지속과 존재의 순간

Duration and Moments of Being in Mrs Dalloway

비교문학 | 51 | 2010 | 인문학

『댈러웨이 부인』에 나타난 지속과 존재의 순간

Duration and Moments of Being in Mrs Dalloway

비교문학 | | 51 | 2010 | 인문학

‘자기운동자’에서 ‘자기차생자’로: 플라톤과 베르그송 -소은 박홍규의 해석을 중심으로-

Du “soi-mouvant” au “soi-différant”: Platon et Bergson autour de l’interpretation de Sowoon Park Hong-Gyu

시대와 철학 | 21 | 4 | 2010 | 철학

‘자기운동자’에서 ‘자기차생자’로: 플라톤과 베르그송 -소은 박홍규의 해석을 중심으로-

Du “soi-mouvant” au “soi-différant”: Platon et Bergson autour de l’interpretation de Sowoon Park Hong-Gyu

시대와 철학 | 21 | 4 | 2010 | 철학

질 들뢰즈의 『영화1: 운동-이미지』에서 운동과 전체에 대하여

About The movement and the Whole in Gilles Deleuze's Cinema

인문사회과학연구 | 30 | 2011 | 학제간연구

들뢰즈의 운동-이미지와 영화

The Movement-image and Cinema in Deleuze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들뢰즈의 운동-이미지와 영화

The Movement-image and Cinema in Deleuze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베르그손 <지속> 이론의 근본적인 변화: 시간 구성에 있어서 미래의 주도적 역할

A Radical Change of Bergson’s Theory of Duration: The Role of Future in the Constitution of Time

철학연구 | 95 | 2011 | 철학

베르그송의 직관철학과 심-신 문제

Bergsonian Intuition and Mind-Body Problem

인문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베르그송의 직관철학과 심-신 문제

Bergsonian Intuition and Mind-Body Problem

인문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베르그손에서 창조적 정서와 열린 사회

The Creative Emotion and the Open Society in Bergson

철학사상 | 44 | 2012 | 철학

Modernist Challenges against Time and Space ― The Aesthetics of Bergson and Matisse

모더니즘의 시, 공간에 대한 도전 ― 베르그손과 마티스의 미학을 중심으로

美學(미학) | 70 | 2012 | 철학

베르그손의 의식 철학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 연구-

The Problem of Being and Subject in Bergson’s Philosophy of Consciousness: a Study of Free Will

철학사상 | 40 | 2011 | 철학

<생명의 형이상학> 대 <생명의 과학> -베르그손의 <내재성의 철학>에 대한 현대생물학의 관점으로부터의 반성-

The Metaphysics of Life vs. the Science of Life -Bergson’s Philosophy of Immanenc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Biology-

철학사상 | 38 | 2010 | 철학

<생명의 형이상학> 대 <생명의 과학> -베르그손의 <내재성의 철학>에 대한 현대생물학의 관점으로부터의 반성-

The Metaphysics of Life vs. the Science of Life -Bergson’s Philosophy of Immanenc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Biology-

철학사상 | | 38 | 2010 | 철학

생명의 인식과 지식의 통섭 - 베르그송과 윌슨의 생물학적 인식론을 중심으로 -

La reconnaissance de la vie et la Consilience de la connaissance - La comparaison entre H. Bergson et E. Wilson -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40 | 2012 | 프랑스문화학

[물질과 기억] 1장에서 펼쳐진 <의식의 연역>과 그 의미: ‘물질세계는 이미지들의 총체다’라는 주장은 어떻게 입증되는가?

Bergson’s and it’s Implication

철학연구 | 97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