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 제도

연구분야 : B141010 사회과학 > 행정학 > 분야별행정 > 국방/안보행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209

STNet ID : 9002486

한자 : 兵役制度
영어 : the conscription system

d02-02 정치/법률제도

목적_t

군대의 병력 확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모병제 [ 募兵制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자유 병역 제도 [ 自由兵役制度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강제 병역 제도 [ 强制兵役制度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충군 [ 充軍 ]

R1:개념적

RT (관련어)

 

 

병역 [ 兵役 ]

병역의무부담의 형평성과 군필자 가산점제도: 쟁점과 정책제언

Opportunity Costs and Burden Distribution in the Conscription System

제도와 경제 | 5 | 2 | 2011 | 경제학일반

군구조 개편과 국방인적자원관리 개혁 방향

The Direction of Defense Human Resource Management Reform according to The Change of Korean Military Structure

국방정책연구 | 26 | 4 | 2011 | 정책학

한국군에 있어서 병역의무 이행에 관한 철학적 논의와 병역정책의 발전

Philosophical Discussion on the Execution of Military Service in Republic of Korea Army and the Development of Military Service Policy

한국동북아논총 | 16 | 4 | 2011 | 사회과학일반

남북한 군대 복무환경 연구

A Study of the Military Service Environments of South and North Korea

북한학보 | 37 | 1 | 2012 | 북한

일제말 파시즘기(1937~1945) 『매일신보』의 대중선동 양상과 논리 -지원병ㆍ징병제도를 중심으로-

Aspects and Logic of Mass Instigation by Maeil Shinbo(Daily News) during the Japanese Fascism Period(1937~1945) -focusing on the volunteer and conscription system-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9 | 2011 | 역사학

제1공화국의 병역제도 성립에 미친 영향 연구

National script abstract Factor study affecting in First Republic's military service system thesis process

군사연구 | 132 | 2011 | 역사학

북한이탈주민의 병역면제 정책에 대한 인식과 대안: 징집대상 연령층에 대한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Alternatives to the Military Service Exemption Policy for North Korean Defectors: With a focus on interviews with those in the range of draft age

국방정책연구 | 28 | 2 | 2012 | 정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