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사

연구분야 : A090400 인문학 > 언어학 > 형태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286

STNet ID : 1000415

한자 : 補助詞
영어 : auxiliary particle

e03-01 언어/문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특수 조사 () [ 特殊助詞 ]

UF (비우선어)

 

 

도움토

UF (비우선어)

 

 

보조 조사 [ 補助助詞 ]

UF (비우선어)

 

 

도움 토씨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조사 () [ 助詞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장종결 보조사 () [ 文章終結補助詞 ]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부사격 조사 () [ 副詞格助詞 ]

서술문 종결형식의 변천 과정

The Shift Process of the Sentence Final Forms of Declarative

국어사연구 | 14 | 2012 | 국어사

‘븥- + -어’의 문법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Grammaticalization of ‘beut- + - eo’

동남어문논집 | 1 | 33 | 2012 | 기타국어학

明初高麗僧人滿空與泰山普照寺的復興

명초 고려의 승려 만공과 태산 보조사의 부흥

남도문화연구 | 20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선택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articles of Korean Learners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선택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articles of Korean Learners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國語學≫ 50년−통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Half a Century of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Present and Future of Syntax

國語學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國語學≫ 50년−통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Half a Century of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Present and Future of Syntax

國語學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교수·학습 방법 ― 중국어 표현과의 대응을 중심으로

Chinese Learner's Teaching/Learning Methods of Korean Case Particles ― Focusing on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Expression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교수·학습 방법 ― 중국어 표현과의 대응을 중심으로

Chinese Learner's Teaching/Learning Methods of Korean Case Particles ― Focusing on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Expression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특수조사 ‘-(이)나마’의 문법화 연구

Diachronic Research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Delimiter (i)nama,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특수조사 ‘-(이)나마’의 문법화 연구

Diachronic Research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Delimiter (i)nama,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충남방언 ‘-일랑사리’와 ‘-할래’ 구문 연구

A Study on the '-illangsari' and '-hallae' Constructions in Chungnam dialect

방언학 | 12 | 2010 | 한국어와문학

충남방언 ‘-일랑사리’와 ‘-할래’ 구문 연구

A Study on the '-illangsari' and '-hallae' Constructions in Chungnam dialect

방언학 | | 1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보조사 ‘나’의 교육 방안

A Study on Setting up the Educational Information of Auxiliary Particle ‘N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보조사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도, -조차, -마저, -까지’를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Teaching-learning Method of Auxiliary Particles for Education of Korean Grammar -Focusing on ‘-도, -조차, -마저, -까지’.

동남어문논집 | 1 | 33 | 2012 | 기타국어학

{-치고}의 문법적 특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Grammatical Status of {-chigo}

한글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치고}의 문법적 특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Grammatical Status of {-chigo}

한글 |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